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 판단기준 설정 및 화물자동차운송업에의 적용 = Establishing the Standard for Judgment of the Labor-Characteristic of the Special Labor and its Application to the Trucking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05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문제가 제기되어 온 점을 배경으로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타당한 노동자성 판단기준을 설정하고, 판단기준관련 실태를 검토하여 화물자동차...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문제가 제기되어 온 점을 배경으로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타당한 노동자성 판단기준을 설정하고, 판단기준관련 실태를 검토하여 화물자동차운송업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먼저 서구국가들(ILO 포함)이 적용하고 있는 노동자성 판단기준을 노동자성에 관한 이론적 성과, 지표들의 성격 그리고 사용하는 국가의 빈도 등을 검토하여 사용종속성, 조직종속성 및 경제종속성 각각의 핵심지표와 보완지표로 구분하여 재정리하였다. 핵심지표로서, 사용종속의 경우 '업무수행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지휘ㆍ감독을 받음', '근무의 시간과 장소를 지정받음', '근로제공관계의 계속성과 사용자에의 전속성이 있음', '제3자를 고용하여 업무를 대행할 수 없음', 조직종속의 경우 '노무제공자가 기업조직의 중요한 구성요소임', 경제종속의 경우 '보수가 수입의 유일한 혹은 주요한 원천임'을 제시하였다.
      화물자동차운수업에 대해 핵심지표 6개 각각에 관한 실태를 검토하여 노동자성을 판단한 결과, 사용종속성, 조직종속성, 경제종속성 모두 높은 편이어서 화물자동차운송 특수고용직은 노동자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장자영노동자라고 할 수 있는 경우가 2/3 정도이고 전속성이 없지만 여타의 사용종속성, 조직종속성, 경제종속성 모두 높아 종속적 취업자라고 할 수 있는 경우가 1/3 정도라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a reasonable standard for judgment of the labor-characteristic and to judge the labor-characteristic of the special labor in the trucking industr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examining 'reality which is relate...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a reasonable standard for judgment of the labor-characteristic and to judge the labor-characteristic of the special labor in the trucking industr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examining 'reality which is related with the standard for judgment' by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This thesis began with examining standards for judgment of the labor-characteristic which western nations(including ILO) apply and then rearranged each core index and supplementary index of 'the managerial subordination', 'the organizational subordination' and 'the economic subordination' by reviewing theoretical performance about the labor-characteristic, the characteristic of the index of the labor-characteristic and the frequency of nations etc.
      This thesis proposed 'working under specific directing and supervising in the work-perform process', 'the time and the place of working being appointed', 'existence of continuous working relation and belonging exclusively to employer' and 'not-being able to substituting working with employing another labor' as core indexes of 'managerial subordination', 'the worker concerned being a important element of the company' as core index of 'organizational subordination' and 'the compensation being a only or important source of the income' as core index of 'economic subordination'.
      Then it proposed that the labor-characteristic of the special labor in the trucking industry may be high because their 'the managerial subordination', 'the organizational subordination' and 'the economic subordination' is high as the results of judging by examining the six core index-related reality. But it suggested considering that the proposition of the worker that may be disguised independent worker is a degree of two among three and the proposition of the worker that is subordinated worker because their the degree of all types of subordination is high but the degree of 'existence of continuous working relation and belonging exclusively to employer' is low is a degree of one among thre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관련 동향: 연구의 현실적 배경
      • Ⅲ. 노동자성의 판단기준/지표
      • Ⅳ. 화물자동차운송업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관련 실태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관련 동향: 연구의 현실적 배경
      • Ⅲ. 노동자성의 판단기준/지표
      • Ⅳ. 화물자동차운송업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관련 실태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삼, "화물자동차운송업의 특수고용노조운동" 도서출판 부산·연대·혁신 2009

      2 윤영삼, "화물운송시장의 구조적 문제점과 제도개선 방향" 2013

      3 권두섭, "화물운송노동자 생존권 보장을 위한 법개정방안" 2013

      4 윤애림, "화물운송 차주겸 기사의 근로자성" 한국노동법학회 (44) : 169-205, 2012

      5 윤영삼, "화물연대의 활동방침 수립을 위한 연구" 운수노동정책연구소 2011

      6 윤영삼, "화물노동자의 노동실태와 생활실태" 민주노총 2003

      7 윤영삼, "호주 도로안전운임제의 내용과 시사점 - 한국의‘표준운임제’논의와 관련하여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321-339, 2014

      8 황경환, "판례를 통해 본 미국 공정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의 의미" 법학연구소 25 (25): 273-297, 2009

      9 이후송,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실태분석 및 노동법적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11

      10 전국경제인연합회,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입법 추진의 문제점"

      1 윤영삼, "화물자동차운송업의 특수고용노조운동" 도서출판 부산·연대·혁신 2009

      2 윤영삼, "화물운송시장의 구조적 문제점과 제도개선 방향" 2013

      3 권두섭, "화물운송노동자 생존권 보장을 위한 법개정방안" 2013

      4 윤애림, "화물운송 차주겸 기사의 근로자성" 한국노동법학회 (44) : 169-205, 2012

      5 윤영삼, "화물연대의 활동방침 수립을 위한 연구" 운수노동정책연구소 2011

      6 윤영삼, "화물노동자의 노동실태와 생활실태" 민주노총 2003

      7 윤영삼, "호주 도로안전운임제의 내용과 시사점 - 한국의‘표준운임제’논의와 관련하여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321-339, 2014

      8 황경환, "판례를 통해 본 미국 공정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의 의미" 법학연구소 25 (25): 273-297, 2009

      9 이후송,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실태분석 및 노동법적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11

      10 전국경제인연합회,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입법 추진의 문제점"

      11 한인상,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를 위한 입법․정책적 개선방안" 2013

      12 배권탁,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 방안(입법)에 관한 연구 : 학습지회사·학습지교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8

      13 국민권익위원회,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권익보호 방안" 2012

      14 국민권익위원회,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권익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정 권고"

      15 윤조덕,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고용보험 적용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16 김영문, "특수형태근로 종사자 관련 외국의 규정: EU와 EIRO 보고서 및 시사점"

      17 정인수, "특수형태근로 및 관련업종의 실태·쟁점·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6

      18 한국노사관계학회, "특수형태 업무종사자 실태조사" 2011

      19 최영호, "특수고용형태 노무공급자의 근로자성 판단기준" 비정규노동자 기본권보장과 차별철폐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2001

      20 김민주, "특수고용직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요인- 화물자동차운송업 중심의 탐색적 실증연구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157-178, 2013

      21 장화익, "특수고용의 국제동향" 25-42, 2007

      22 윤애림, "특수고용노동자의 근로자성과 입법의 방향"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3 : 12-358, 2003

      23 이호근, "특수고용노동자 보호를 위한 외국경험과 법제도 개선방안" 여성단체연합 2005

      24 한국비정규노동센터 편집부, "특수고용관련 프랑스 입법례·판례 검토" 15 : 92-99, 2002

      25 강성태, "특수고용관계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의 판단" 11 : 35-52, 2000

      26 조용만, "특수고용관계 종사자의 근로자성 인정여부에 관한 노동법적 접근" 한국노동연구원 2003

      27 노사정위원회 비전형근로자보호방안연구위원회, "제10차 회의결과" 2013

      28 단병호 국회의원실, "정부의 운수업 특수고용노동자 보호대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9 김성희, "이른바 특수고용직의 노동자성 판단지표의 대안과 노동자성 평가" 1-13, 2006

      30 불안정노동연구모임, "신자유주의와 노동의 위기: 불안정노동 연구" 문화과학사 2000

      31 윤애림, "산재보험법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특례제도의 문제점과 대안"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3) : 47-91, 2012

      32 국가인권위원회, "산재보험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권고"

      33 Pernica, S., "비정규직 노동자의 조직화" 36-44, 2006

      34 이호근, "비정규 및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관련 사회적 대화의 전개과정, 그 의의와 과제" 2011

      35 노동부, "비전형근로자대책 보고서" 2000

      36 김영두, "불안정 노동의 보호를 위한 새로운 교두보? : ILO 고용관계 권고가 국내 특수 고용 논의에 주는 함의"

      37 오상호, "독일의 근로자개념과 근로자성 판단" 비교법학연구소 44 : 347-390, 2015

      38 조경배, "독립노동과 유사근로자 그리고 위장자영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0 (0): 298-335, 2004

      39 윤애림, "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구조개선’방안 비판" 민주노총ㆍ장그래살리기운동본부 2015

      40 조경배, "노동3권의 주체로서 근로자개념과 특수고용노동자" 한국노동법학회 (22) : 421-409, 2006

      41 김기덕, "근로자의 정의"

      42 김형배, "근로자개념의 변천과 관련법의 적용 : 유사근로자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노동연구원 2004

      43 ILO, "The scope of the employment relationship:Report V"

      44 JILPT, "The Mechanism for Establishing and Changing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2004

      45 Yun, A., "The ILO Employment Relationship Recommendation and its Relevance in Korea" 2007

      46 Burchell, B., "The Employment Status of Individuals in Nonstandard Employment" 1999

      47 Clayton, A., "Study On Employment Situations And Worker Protection In Australia: A Report to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The Centre for Employment and Labour Relations Law at the University of Melbourne 1999

      48 Dekker, F., "Self-employed without employees" 38 (38): 765-788, 2010

      49 ILO, "Report V(1): Contract Labour"

      50 ILO, "Report V(1), V(2), V(2B): The employment relationship"

      51 ILO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No. 363 Report"

      52 ILO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No. 359 Report"

      53 윤애림, "ILO 고용관계 권고와 한국의 특수고용 입법논의" 한국노동법학회 (23) : 157-183, 2006

      54 ILO, "ILO Employment Relationship Recommendation, No.198"

      55 Muehlberger, U., "Hierarchical forms of outsourcing and the creation of dependency" 28 (28): 709-727, 2007

      56 Perdisini, R., "Economically dependent workers, employment law and industrial relations"

      57 Adam, G., "Economically dependent workers to get full social protection"

      58 Spooner, K., "Defining the employment relationship" 14 (14): 63-82, 2006

      59 Schulze, B., "Adapting labour law and social security to the needs of the ‘new self-employed’" 19 (19): 147-159, 2009

      60 한국비정규노동센터, "2014년 3월 경제활동 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분석"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2.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7 2.17 3.20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