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인도불교에서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 * -불타, 부파불교 , 용수의 중도설을 중심으로 =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Indian Buddhis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논자는 본 연구에서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하여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중도...

      논자는 본 연구에서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하여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타는 중도를 고락중도, 유무중도, 일이중도, 단상중도 등의 의미로 사용하였지만, 부파불교의 논사들은 불타의 중도설을 고락중도와 단상중도를 중심으로 이해하였다.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부파불교의 법유론은 불타가 설했던 유무중도와 단상중도의 단절과 불연속성을 함축한 다. 그러나 용수의 중관사상은 불타가 설했던 유무중도 및 일이중도와 단상중도의 복원과 연속성을 함축한다.
      용수는 그 밖에도 부파불교의 법유론이 불타의 중도설만이 아니라, 사성제, 연기, 삼법인 등과 같은 불타의 근본 가르침과 세간의 도덕 관습들을 모두 올바르게 설명할 수 없으며, 오직 일체법이 연기이고, 무자성, 공, 가명, 중도임을 승인할 때에만 비로소 불타의 근본 가르침과 세간의 도덕 관습이 모두 올바르게 성립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로부터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부파불교 법유론에 대한 용수의 비판 동기는 불타의 중도설 복원을 통한 불타의 근본 가르침 및 세간적 도덕 관습의 복원이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both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standpoint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Middle Way conception. In order ...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both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standpoint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Middle Way conception. In order to catch out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this study compared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Early Buddhism with that of Schola Buddhism and of Nagarjuna.
      In Early Buddhism, the Middle Way was generally used in four conceptions; the Pain-Pleasure Middle Way,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the Sameness-Difference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But the scholars of Schola Buddhism understood the Middle Way of the Buddha through two conceptions of the Pain-Pleasure Middle Way and the Eternity- Extinction Middle Way.
      When we compared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Early Buddhism with that of Schola Buddhism and of Nagarjuna, we can know that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implies the cutting and discontinuity of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of the Early Buddhism, but Nagarjuna’s Madhyamika Philosophy implies the restoration and continuity of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the Sameness-Difference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of Early Buddhism.
      Nagarjuna proved that only when we admit that all things are the Middle Way,the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and the moral customs of people can be correctly establish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a new perspective. In short,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were the restoration of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and moral customs of people through the restoration of Middle Way the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II. 불타의 중도설
      • III. 부파불교의 법유론에서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
      • IV. 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의 연속성
      • V. 결론
      • I. 서론 II. 불타의 중도설
      • III. 부파불교의 법유론에서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
      • IV. 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의 연속성
      • V.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수영, "초기 불교의 중도 개념 재검토" 인도연구소 21 (21): 57-86, 2015

      2 龍樹菩薩, "중론 (4권)"

      3 남수영, "중관사상의 이해" 여래 2015

      4 서성원, "제일의공경과 Vasubandhu" 인도철학회 (3) : 1993

      5 劉宋 求那跋陀羅, "잡아함경 (50卷)"

      6 櫻部建, "아비달마의철학" 민족사 2004

      7 권오민, "아비달마구사론 제1권" 동국역경원 2002

      8 김정근, "쁘라산나빠다 전4권" 푸른가람 2011

      9 대림스님, "맛지마니까야 전4권" 초기불전연구원 2012

      10 五百大阿羅漢, "대비바사론 (200권)"

      1 남수영, "초기 불교의 중도 개념 재검토" 인도연구소 21 (21): 57-86, 2015

      2 龍樹菩薩, "중론 (4권)"

      3 남수영, "중관사상의 이해" 여래 2015

      4 서성원, "제일의공경과 Vasubandhu" 인도철학회 (3) : 1993

      5 劉宋 求那跋陀羅, "잡아함경 (50卷)"

      6 櫻部建, "아비달마의철학" 민족사 2004

      7 권오민, "아비달마구사론 제1권" 동국역경원 2002

      8 김정근, "쁘라산나빠다 전4권" 푸른가람 2011

      9 대림스님, "맛지마니까야 전4권" 초기불전연구원 2012

      10 五百大阿羅漢, "대비바사론 (200권)"

      11 尊者世親, "구사론 (30권)"

      12 吉元信行, "アビダルマ思想" 法藏館 1982

      13 Kamaleswar Bhattacharya, "VV; The Dialectical Method of Nāgārjuna(Vigrahavyāvartanī)" Motilal Banarsidass 1978

      14 Oldenberg, Hermann, "VP 1; The Vinaya Pitakam: one of the principle of Buddhist holy scriptures in the Pali language. vol. 1: The Mahavagga" Pali text society 1997

      15 L. Feer, "SN 2; Saṁyutta-Nikāya 2" PTS 1970

      16 "PP; Mūla-madhyamaka-kārikās de Nāgārjuna avec la Prasannapadā Commentaire de Candrakīrti" 4 : 1913

      17 J. W. De Jong, "MMK; Mūla-madhyamaka-kārikāh of Nagarjuna" Adyar Library and Research Centre 1977

      18 P. Pradhan, "Akb; Abhidharmakośabhāṣyam of Vasubandhu" K. P. Jayaswal Research Institute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