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 영향요인 = Influencing Factors of Near Miss Experience on Medi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1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s providing baseline data of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safe medication and prevention of near miss on medication, checking influencing factors of nurses near miss experience on medi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20.0 program to obtain mean, frequency, x²-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near miss experience on medication was working depart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 The nurses who were working in general ward had lesser chance to experience near miss rather than nurses working in special department (Odds ratio:2.23, 95%, Confidence Interval: 1.07∼4.67, p=.032). The 1 point higher in patient safety culture, the lesser chance to experience in near miss (Odds ratio: 2.24, 95% Confidence Interval: 1.02∼4.95, p=.045). To sum up the result of this study, nurses working in special department had higher chance to experience near miss rather than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The higher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was the lower near miss was experienced. Thus, miss surveillance system for improvement of nurses'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should be developed. Moreover, educational program for medication considering nurses' career and department' character should be requested with simulation training considering and theory education.
      번역하기

      The study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s providing baseline data of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safe medication and prevention of near miss on medication, checking i...

      The study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s providing baseline data of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safe medication and prevention of near miss on medication, checking influencing factors of nurses near miss experience on medi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20.0 program to obtain mean, frequency, x²-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near miss experience on medication was working depart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 The nurses who were working in general ward had lesser chance to experience near miss rather than nurses working in special department (Odds ratio:2.23, 95%, Confidence Interval: 1.07∼4.67, p=.032). The 1 point higher in patient safety culture, the lesser chance to experience in near miss (Odds ratio: 2.24, 95% Confidence Interval: 1.02∼4.95, p=.045). To sum up the result of this study, nurses working in special department had higher chance to experience near miss rather than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The higher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was the lower near miss was experienced. Thus, miss surveillance system for improvement of nurses'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should be developed. Moreover, educational program for medication considering nurses' career and department' character should be requested with simulation training considering and theor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근접오류 예방과 안전한 투약간호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중소병원의 환자안전문화 구축에 기여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0.0을 이용하여 χ2-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투약 근접오류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근무부서와 환자안전문화였다. 모수 추정치 값의 승산비(odds ratio)는 특수부서 근무자보다 일반병동 근무자가 근접오류를 경험하지 않을 교차비가 2.23(95% 신뢰구간: 1.07∼4.67, p=.032)이었으며, 환자안전문화 점수가 1점 증가할 때 근접오류를 경험하지 않을 교차비가 2.24(95% 신뢰구간: 1.02∼4.95, p=.045)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수부서 근무자가 일반병동 근무자보다 근접오류를 경험할 확률이 높고, 환자안전문화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근접오류를 경험할 확률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병원차원의 오류감시시스템의 개발과 간호조직 차원에서 경력 및 부서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투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론 교육과 함께 시뮬레이션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근접오류 예방과 안전한 투약간호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중소병원의 환자안전문...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근접오류 예방과 안전한 투약간호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중소병원의 환자안전문화 구축에 기여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0.0을 이용하여 χ2-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투약 근접오류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근무부서와 환자안전문화였다. 모수 추정치 값의 승산비(odds ratio)는 특수부서 근무자보다 일반병동 근무자가 근접오류를 경험하지 않을 교차비가 2.23(95% 신뢰구간: 1.07∼4.67, p=.032)이었으며, 환자안전문화 점수가 1점 증가할 때 근접오류를 경험하지 않을 교차비가 2.24(95% 신뢰구간: 1.02∼4.95, p=.045)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수부서 근무자가 일반병동 근무자보다 근접오류를 경험할 확률이 높고, 환자안전문화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근접오류를 경험할 확률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병원차원의 오류감시시스템의 개발과 간호조직 차원에서 경력 및 부서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투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론 교육과 함께 시뮬레이션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은,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조사" 병원간호사회 13 (13): 169-179, 2007

      2 강민아, "환자안전 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태도" 한국보건행정학회 15 (15): 110-135, 2005

      3 이순교,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중앙대학교대학원 2015

      4 박미향, "한 대학병원 직원이 경험한 근접오류의 유형과 요인"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5 최의순, "피로의 개념분석" 9 (9): 61-69, 2003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이숙현,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215-2229, 2016

      8 조슨에,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이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2010

      9 전재희,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감성지능의 역할" 간호행정학회 20 (20): 302-312, 2014

      10 전숙희, "일반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의향과 환자 안전 문화 인식간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599-1611, 2017

      1 김정은,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조사" 병원간호사회 13 (13): 169-179, 2007

      2 강민아, "환자안전 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태도" 한국보건행정학회 15 (15): 110-135, 2005

      3 이순교,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중앙대학교대학원 2015

      4 박미향, "한 대학병원 직원이 경험한 근접오류의 유형과 요인"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5 최의순, "피로의 개념분석" 9 (9): 61-69, 2003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이숙현,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215-2229, 2016

      8 조슨에,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이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2010

      9 전재희,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감성지능의 역할" 간호행정학회 20 (20): 302-312, 2014

      10 전숙희, "일반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의향과 환자 안전 문화 인식간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599-1611, 2017

      11 구선애, "일개 종합병원의 자발적 보고에 의한 환자안전관련 Near miss 실태 분석 : 마취회복실 부서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09

      12 김혜선, "의사와 간호사의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와 사건보고의도의 관련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3 안기옥, "응급실내 의료오류 보고체계의 시범적 운영" 대한응급의학회 18 (18): 218-226, 2007

      14 오춘애, "신규 간호사의 투약오류 인지 및 경험에 대한 조사 연구" 기본간호학회 14 (14): 6-17, 2007

      15 윤형준, "사고 예방을위한 아차사고 관리 프로그램 개발" 38 (38): 166-172, 2000

      16 최정열, "비행안전에 영향을 미치는조종사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1-20, 2014

      17 병원간호사회,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보고서" 2013

      18 정준,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91-109, 2006

      19 구영진, "병동간호사의 근접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영향요인" 부산대학교대학원 2017

      20 황영선, "군 의료기관 종사자의 안전사고 및 근접오류 경험률 관련요인"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21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건강보험 통계연보" 2013

      22 배수진,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정도" 건양대학교대학원 2017

      23 오정현,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대학원 2017

      24 장은희, "간호사의 피로 측정도구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5 이순영, "간호사의 투약오류 분석 및 개선방안"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8

      26 박진희, "간호사의 투약에서의 근접오류경험의 영향요인과 결과" 동아대학교대학원 2017

      27 이선화, "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의향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대학원 2017

      28 김명희, "간호 대학생의 약물계산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기초간호학회 14 (14): 174-182, 2012

      29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reducing errors in healthcare:Research in action"

      30 G. D. Glancy, "The clinical use of risk assessment" 40 : 12-17, 2005

      31 L. M. Wagner, "Reporting near-miss events in nursing homes" 54 (54): 85-93, 2006

      32 황연수, "RFID와 바코드를 이용한 Closed-loop medicatio administration 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투약 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아주대학교대학원 2017

      33 S. Weyers, "Psychosocial work stress is associated with poor self‐rated health in danish nurses : A test of the effort–reward imbalance model" 20 (20): 26-34, 2006

      34 l. l. Leape, "Preventing adverse drug events" 52 (52): 379-382, 1995

      35 E. A. Henneman, "Near miss model for describing the nurse’s role in the recovery of medical errors" 20 (20): 196-201, 2004

      36 장호석, "Near Miss 사고 예방 활동과 환자안전관리 문화형성이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14 (14): 138-144, 2010

      37 S. G. Hart, "NASA-task load index(NASA-TLX); 20 years later" 50 (50): 904-908, 2006

      38 M. B. Weinger, "Multiple measures of anesthesia workload during teaching and nonteaching cases" 98 (98): 1419-1425, 2004

      39 J. P. Santell, "Medication errors : Experience of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USP)MEDMARX reporting system" 43 (43): 760-767, 2003

      40 P. Hoonakker, "Measuring workload of ICU nurses with a questionnaire survey : The NASA task load index(TLX)" 1 (1): 131-143, 2011

      41 E. K. Kim, "Management of adverse event and medication safety for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20-21, 2006

      42 A. F. Grasha, "Into the abyss : Seven principles for identifying the causes of and preventing human error in complex systems" 57 (57): 554-564, 2000

      43 E. Ream, "Fatigue : A concept analysis" 33 (33): 519-529, 1996

      44 A. Parry, "Factors contributing to registered nurse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 : A narrative review" 52 (52): 403-420, 2015

      45 A. R. Paradis, "Excess cost and length of stay associated with voluntary patient safety event reports in hospitals" 24 (24): 53-60, 2009

      46 P. L. Spath, "Error reduction in health care’ A systems approach to Improving patient safety" John Wiley & Sons 2011

      47 E. Moyen, "Clinical review : Medication errors in critical care" 12 (12): 1-7, 2008

      48 B. Cohoon, "Causes of near misses : perception of perioperative nurses" 93 (93): 551-565,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