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창규, "자암 조성원과 한천재의 문화위상" 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 : 2013
2 조창규, "우암 송시열을 통해 살펴본 포은 정몽주의 지성사적 위상" 포은학회 17 : 63-81, 2016
3 조창규, "珈山 鄭寅準의 生涯와 漢詩" 동양한문학회 44 : 161-180, 2016
4 許萬策, "晦堂集"
5 이상필, "南冥學派의 展開過程에서 來庵 鄭仁弘에 대한 認識 再考" 동양한문학회 36 (36): 193-212, 2013
6 최석기, "一山 趙昺奎의 학문과 문학" 경남문화연구원 (32) : 1-42, 2011
1 조창규, "자암 조성원과 한천재의 문화위상" 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 : 2013
2 조창규, "우암 송시열을 통해 살펴본 포은 정몽주의 지성사적 위상" 포은학회 17 : 63-81, 2016
3 조창규, "珈山 鄭寅準의 生涯와 漢詩" 동양한문학회 44 : 161-180, 2016
4 許萬策, "晦堂集"
5 이상필, "南冥學派의 展開過程에서 來庵 鄭仁弘에 대한 認識 再考" 동양한문학회 36 (36): 193-212, 2013
6 최석기, "一山 趙昺奎의 학문과 문학" 경남문화연구원 (32) : 1-4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