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晦堂 許萬策을 통해 살펴본 激變期 中世的 知性의 삶과 文學의 한 斷面 = A Study on the Life and Literature of Medieval intellectuals through Heo Man-chaeg(許萬策)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29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important poi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e lived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and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fore, he lived in a turbulent era. but He is well-informed in medieval knowledge. and He tried to keep his medieval beliefs(the neo-Confucianism view of the world). As a result, his Chinese poetry was created mainly for creating human relationships. Especially, he created many mansi.[A Chinese poem written for the dead calls mansa(輓詞) or mansi(挽詩).] Writing mansi is a very important way to identify human relationships. Many of his literary works are mansi. This shows that he emphasized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with medieval beliefs. The rest of his Chinese poetry are mostly created for human relations. His life and literature are mostly related to medieval beliefs and relationships. His medieval beliefs are very much reflected in his literary works.
      번역하기

      The most important poi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e lived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and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fore, he lived in a turbulent era. but He is well-informed in medieval knowledge. and He tried to keep his medieval beliefs(...

      The most important poi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e lived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and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fore, he lived in a turbulent era. but He is well-informed in medieval knowledge. and He tried to keep his medieval beliefs(the neo-Confucianism view of the world). As a result, his Chinese poetry was created mainly for creating human relationships. Especially, he created many mansi.[A Chinese poem written for the dead calls mansa(輓詞) or mansi(挽詩).] Writing mansi is a very important way to identify human relationships. Many of his literary works are mansi. This shows that he emphasized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with medieval beliefs. The rest of his Chinese poetry are mostly created for human relations. His life and literature are mostly related to medieval beliefs and relationships. His medieval beliefs are very much reflected in his literary 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라는 격변기를 살다간 중세적 지성 중 한 명인 회당 허만책의 생애와 문학의 한 단면을 살핀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의 진정한 목적은 궁극적으로 허만책이라는 인물 자체를 연구하는데 있지 않다. 오히려 허만책이라는 인물의 삶과 문학을 통해 격변기를 살았던 중세적 지성의 일정한 전형이 있는지를 탐색하고, 중세적 삶과 문학을 지키던 삶의 현재적 가치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격변기 지성의 문집은 학문적 성취보다는 후손들의 사랑과 공경에 근거하여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격변기 지성의 한시는 관계망 한시를 중심으로 창작되는 경향성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셋째, 격변기 지성은 전통적 사고, 즉 성리학의 세계관을 묵수하고 이를 교육에 결부시키는 경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라는 격변기를 살다간 중세적 지성 중 한 명인 회당 허만책의 생애와 문학의 한 단면을 살핀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의 진정한 목적은 궁극적으로 허만책이라...

      본 논문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라는 격변기를 살다간 중세적 지성 중 한 명인 회당 허만책의 생애와 문학의 한 단면을 살핀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의 진정한 목적은 궁극적으로 허만책이라는 인물 자체를 연구하는데 있지 않다. 오히려 허만책이라는 인물의 삶과 문학을 통해 격변기를 살았던 중세적 지성의 일정한 전형이 있는지를 탐색하고, 중세적 삶과 문학을 지키던 삶의 현재적 가치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격변기 지성의 문집은 학문적 성취보다는 후손들의 사랑과 공경에 근거하여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격변기 지성의 한시는 관계망 한시를 중심으로 창작되는 경향성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셋째, 격변기 지성은 전통적 사고, 즉 성리학의 세계관을 묵수하고 이를 교육에 결부시키는 경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창규, "자암 조성원과 한천재의 문화위상" 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 : 2013

      2 조창규, "우암 송시열을 통해 살펴본 포은 정몽주의 지성사적 위상" 포은학회 17 : 63-81, 2016

      3 조창규, "珈山 鄭寅準의 生涯와 漢詩" 동양한문학회 44 : 161-180, 2016

      4 許萬策, "晦堂集"

      5 이상필, "南冥學派의 展開過程에서 來庵 鄭仁弘에 대한 認識 再考" 동양한문학회 36 (36): 193-212, 2013

      6 최석기, "一山 趙昺奎의 학문과 문학" 경남문화연구원 (32) : 1-42, 2011

      1 조창규, "자암 조성원과 한천재의 문화위상" 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 : 2013

      2 조창규, "우암 송시열을 통해 살펴본 포은 정몽주의 지성사적 위상" 포은학회 17 : 63-81, 2016

      3 조창규, "珈山 鄭寅準의 生涯와 漢詩" 동양한문학회 44 : 161-180, 2016

      4 許萬策, "晦堂集"

      5 이상필, "南冥學派의 展開過程에서 來庵 鄭仁弘에 대한 認識 再考" 동양한문학회 36 (36): 193-212, 2013

      6 최석기, "一山 趙昺奎의 학문과 문학" 경남문화연구원 (32) : 1-4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