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즉흥연주에 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를 검토하여 창의성의 원형적 행동인 즉흥연주의 두뇌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03034
2025
-
즉흥연주 ; 창의성 ; 인지신경과학 연구 ; 인지 과정 ; 두뇌 네트워크 ; 개념 요소 ; 개념적 프레임워크 ; Musical improvisation ; Creativity ; Cognitive neuroscience ; Cognitive ; process ; Brain network ; Conceptual elements ; Conceptual framework
600
KCI등재
학술저널
57-94(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즉흥연주에 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를 검토하여 창의성의 원형적 행동인 즉흥연주의 두뇌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즉흥연주에 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를 검토하여 창의성의 원형적 행동인 즉흥연주의 두뇌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즉흥연주에 대한 인지신경과학적정의의 개념 요소를 추출 및 분석하였으며, 즉흥연주에 수반되는 하위 인지 과정들의 신경 관련성을 설명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즉흥연주 동안 인지 제어의 역할과 관련된 선행 연구의 불일치한 결과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인지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즉흥연주의 정의를 설명할 때 핵심적으로 다루어지는 개념 요소는 새로움, 생성, 음악적·운동적 산출물, 자발성, 시간성, 적절성, 복잡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흥연주에 수반되는 인지 과정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두뇌 메커니즘은 상측두회의 청지각-행동 사이클과 전두엽 및 소뇌에 의한 인지적 운동 제어, 중앙 집행 네트워크의 일부인 배외측 전전두엽 피질에 의한 인지적 억제와 기본 모드 네트워크에 의한 내부 지향 프로세스, 그리고 복잡성을 처리하는 다중 요구 시스템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 또한 즉흥연주 동안 중앙 집행 네트워크와 기본 모드 네트워크의 상호적 역할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창의적 행동으로서의 즉흥연주의 인지신경과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전체론적 관점을 제공하는 초기 시도로서 의의를 가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ntegrated explanation for understanding the brain mechanisms of musical improvisation as a prototypical creative behavior by reviewing cognitive neuroscience studies of musical improvisation. To this end, the conceptual ...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ntegrated explanation for understanding the brain mechanisms of musical improvisation as a prototypical creative behavior by reviewing cognitive neuroscience studies of musical improvisation. To this end, the conceptual elements of the definitions of improvisation in cognitive neuroscience were extracted. Then, I presented a conceptual framework explaining the neural correlates of the cognitive processes of improvisation and discussed the inconsistent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role of cognitive control during improvisation. As a result, the conceptual elements that are core to explaining the cognitive scientific definitions of improvisation were identified as novelty, generation, musical/motor output, spontaneity, temporality, appropriateness, and complexity. The brain mechanisms of the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improvisation can be structured as the auditory perception-action cycle in the superior temporal gyrus, cognitive motor control by the frontal lobe and cerebellum, cognitive inhibition of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internally directed processes in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and the multi-demand system that processes complexity. In addition,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entral executive network (ECN) and the DMN during creative improvis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an initial attempt to provide a holistic view of the brain mechanisms of improvisation as a creative behavior.
시각 장애인들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피아노 전공을 대상으로
스크리아빈의 신지학적 상징주의 연구: 피아노 소나타 제 7, 9, 10번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