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리아빈(Alexander Scriabin, 1872-1915)은 19세기 후반부터 등장한 신지학(Theosophy)과 러시아 상징주의의 영향 아래 종교관을 음악에 투영시키기 위하여 신비화음(Mystic chord)을 만들어 내었다. 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03036
2025
-
600
KCI등재
학술저널
117-154(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스크리아빈(Alexander Scriabin, 1872-1915)은 19세기 후반부터 등장한 신지학(Theosophy)과 러시아 상징주의의 영향 아래 종교관을 음악에 투영시키기 위하여 신비화음(Mystic chord)을 만들어 내었다. 신...
스크리아빈(Alexander Scriabin, 1872-1915)은 19세기 후반부터 등장한 신지학(Theosophy)과 러시아 상징주의의 영향 아래 종교관을 음악에 투영시키기 위하여 신비화음(Mystic chord)을 만들어 내었다. 신비화음은 전통적인 3도 음정을 기본으로 하는 관습에서 벗어나 완전, 증, 감4도를 다양하게 쌓아 만들었으며 신지학적인 상징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신지학은 스크리아빈의 음악을 이해하는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지목된다. 그의 신지학적 사상은 후기 작품에 두드러지며, 특히 후기 피아노 소나타는 소환, 빛, 비행, 악, 공명, 에로티시즘과 같은 신지학적 상징 표현들로 가득하다. 본문에서는 신지학적 측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된 < 피아노 소나타 No. 7 Op. 64 > “백미사”, < 피아노 소나타 No. 9 Op. 68 > “흑미사”와 함께 그의 마지막 < 피아노 소나타 No. 10 Op. 70 >을 택하여 신지학적 상징 표현들을 분석하였으며 이가 의미하는 바를 연구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exander Scriabin (1872-1915), influenced by Theosophy and Russian Symbolism that e merged in the late 19th century, created the Mystic chord to project h is religious views into his music. The Mystic chord escaped the traditional harmonic convention...
Alexander Scriabin (1872-1915), influenced by Theosophy and Russian Symbolism that e merged in the late 19th century, created the Mystic chord to project h is religious views into his music. The Mystic chord escaped the traditional harmonic conventions based on thirds, and instead builds upon various perfect, augmented, and diminished fourths, holding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osophy. Therefore, Theosophy is considered an essential element in understanding Scriabin’s music. His Theosophical ideas are particularly prominent in his late works, and his late piano sonatas are filled with Theosophical symbols such as summon, light, flight, evil, resonance, and eroticism. This study analyzes the Theosophical symbolic expressions in his organically connected < Piano Sonata No. 7 Op. 6 4 > “White Mass,” < Piano Sonata No. 9 Op. 68 > “Black Mass,” and his final < Piano Sonata No. 10 Op. 70 >, exploring their meanings.
시각 장애인들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피아노 전공을 대상으로
창의적 즉흥연주의 두뇌 메커니즘: 즉흥연주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의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