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하버드 대학교의 연구 단체인 프로젝트 제로(Project Zero) 팀이 진행한 예술교육 프로젝트인 아츠프로펠(Arts PROPEL) 이론을 그룹 피아노 레슨에 활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03035
2025
-
피아노 레슨 ; 그룹 레슨 ; 아츠 프로펠 ; Arts PROPEL ; Piano lesson ; Group piano lesson
600
KCI등재
학술저널
95-116(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하버드 대학교의 연구 단체인 프로젝트 제로(Project Zero) 팀이 진행한 예술교육 프로젝트인 아츠프로펠(Arts PROPEL) 이론을 그룹 피아노 레슨에 활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
본 연구는 하버드 대학교의 연구 단체인 프로젝트 제로(Project Zero) 팀이 진행한 예술교육 프로젝트인 아츠프로펠(Arts PROPEL) 이론을 그룹 피아노 레슨에 활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그룹 피아노 레슨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츠 프로펠 이론을 기반으로 한 그룹 피아노 레슨프로그램과 평가 도구를 설계하고, 이를 3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총 6차시에 걸쳐 적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촬영한 동영상과 매 레슨마다 작성한 교사의 관찰일지, 연구 참여자들이 수업 중에 작성한 일지와 평가지, 연습계획서 등을 모두 수집하였으며 참여자 인터뷰를 포함한 모든 포트폴리오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아츠 프로펠 이론이 적용된 그룹 피아노 레슨은 참여자들의 인지적 사고, 연주 능력, 음악성, 음악적 태도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고른 발전을 이끌어냈으며, 피아노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pplying the Arts PROPEL theory, an arts education project conducted by Project Zero, a research group at Harvard University, to group piano lessons and to propose new directions for group piano i...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pplying the Arts PROPEL theory, an arts education project conducted by Project Zero, a research group at Harvard University, to group piano lessons and to propose new directions for group piano instruction. To achieve this, a group piano lesson program and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Arts PROPEL theory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 six sessions.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then investigated. Comprehensive data collection included video recordings of the lessons, teacher observation journals written after each session, student journals and evaluation sheets completed during the lessons, practice plans, and student interviews. All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as a portfolio. The analysis revealed that group piano lessons incorporating the Arts PROPEL theory effectively enhanced students’ performance skills, cognitive thinking, musical attitudes, and musicianship. Additionally, the program proved effective in motivating students in their piano learning.
시각 장애인들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피아노 전공을 대상으로
창의적 즉흥연주의 두뇌 메커니즘: 즉흥연주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의 검토
스크리아빈의 신지학적 상징주의 연구: 피아노 소나타 제 7, 9, 10번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