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아이디어는 늘 기업경영의 틀 속에 존재한다. 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원천은 바로 고객이고, 다음은 내부 종사자(구성원)들의 태도에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09069
2003
Korean
639.505
학술저널
7-33(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운 아이디어는 늘 기업경영의 틀 속에 존재한다. 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원천은 바로 고객이고, 다음은 내부 종사자(구성원)들의 태도에 있다. ...
새로운 아이디어는 늘 기업경영의 틀 속에 존재한다. 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원천은 바로 고객이고, 다음은 내부 종사자(구성원)들의 태도에 있다.
MIT대학의 연구에 의하며, 산업재의 경우 혁신 아이디어의 60%는 고객에 의해 나오고 나머지 40%는 기업 구성원에 의한다는 것이다. 신상품을 개발하고자 할 때, 표적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정량적인 측정: 분석도중요하지만, FGI 나 Creator Group Interview, Depth Interview등을 통해 전혀 예상치 못한 좋은 아이디어를 신상품 개발에 활용, 표적 집단에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 믹스를 개발 할 수 있다.
디자인 경영은 양적 게임(Volume game)이 아니고 질적 게임(Volume game)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고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는 기업의 신뢰와 이미지를 아름답게 가꾸는 동력이다.
매출이 성장하고 이익을 보이는 기업을 Good Company라고 한다면 한 걸음 더 나아가 사회와 소비자에게 존경받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 올바른 가치와 사회적 기여를 통해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Great Company가 되어 소비자, 생산자 모두에게 존경받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
디자인 경영은 최고 경영자(CEO)의 책임이다. 따라서 기업 문화에서 디자인 감성경영은 CEO의 디자인 철학과 디자인 리더십에 달려 있으며, 디자인 개발환경을 사내외에 얼마만큼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시장과 고객정보 분석을 토대로 디자인을 통한 디자인 목표에 도달했는가가 핵심이 된다.
분야 별로 국내의 삼성 애니콜, 풀무원의 찬마루, 유한 킴벌리와 국외의 일렉트로룩스(스웨덴), 코카콜라(미국), 이낙스(일본)은 구조와 과정과 조직과 디자인 감성 경영에서 전형을 만들어 왔다.
디자인 감성경영은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첫째기능은 기업의 감성 경영 전략과 같은 맥락에서 디자인 전략을 수립 시행하되 일관성,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두 번째 기능은 바람직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소개발과 갖고 싶은 구매충동을 일으키는 상품의 매력을 창출하는 일이다.
세 번째 기능은 디자이너와 사내 종사자들이 자사를 위해 창의적인 분위기, 디자인 업무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다.
끝으로 디자인 감성 경영환경은 좋은 디자인을 창출 할 수 있는 원동력 즉, 구성원의 복지와 드림(Dream)을 생산하는 사람중시 경영의 조타수가 되는 일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문화 유적단지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스트릿 퍼니쳐 디자인 연구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