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해양 지능화작전 추진과 대응 방안 = China’s Maritime Intelligent Operations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Responses to be tak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를 포함한 서태평양 해역에서는 해양에서부터 중국을 적극적으로 압박하려는 미국과 자국의 핵심해역에 미국의 진입을 거부하고 외해로 적극적 진출을 추구하는 중국 간의 경쟁이 ...

      한반도를 포함한 서태평양 해역에서는 해양에서부터 중국을 적극적으로 압박하려는 미국과 자국의 핵심해역에 미국의 진입을 거부하고 외해로 적극적 진출을 추구하는 중국 간의 경쟁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미국과 중국은 상대방을 압도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접목한 혁신적 전력을 확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있는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적극 노력 중이다.
      특히 중국은 무인수상정, 무인잠수정 및 해양작전용 무인항공기의 개발 및 배치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의 군사적 활용 역시 적극 추진 중이다. 이렇게 중국은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접목한 해양 지능화작전을 펼쳐 미국의 해양압박전략에 대응함과 동시에 원해로의 진출을 가속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중국의 해양 지능화작전 추진은 중국과 인접한 한국에 잠재적 위협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중국은 서해에 다수의 함정을 상시 배치하고 있는데, 지능화작전을 추진하면서 무인수 상정, 무인잠수정 등도 배치할 가능성 높다. 이는 서해가 중국의 무인체계의 시험장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주변국 군사역량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 역시 전투용 무인체계의 실용화, 인공지능의 군사적 활용성 등을 적극 추진해야한다. 그래야만 미래 해양전장에서 주변국의 도발행위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including off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which is actively pressuring China from the sea, and China, has been increasing. In order to win this competition, the U.S. and ...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including off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which is actively pressuring China from the sea, and China, has been increasing. In order to win this competition, the U.S. and China are actively working to procure innovative smart weapons combin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nd establish operational concepts to effectively operate them that can overwhelm their adversaries.
      In particular, the U.S. Navy's Distributed Maritime Operations and Chinese Navy’s Maritime Intelligent Operations are different in their procedures, but they are similar in the basic concept of using evolv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to react more quickly than the adversaries and attack more rapidly. This means that China wants to achieve real-time battlefield awareness and speed up the decision cycle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gain an upper hand in the maritime battlefield. The Korean Navy should also be able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maritime battlefields by making combat unmanned systems practical and improving the military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형, "중국의 민군융합 통한 ‘지능화군’(知能化軍) 건설 전략" 한국해양전략연구소 (166) : 2019

      2 이상국, "중국군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어떻게 보고 있나" 한국국방연구원 20 (20): 2020

      3 김현승, "중국 해양안보전략에 관한 분석 및 평가: 아더 라이케의 전략 분석틀을 중심으로" (45) : 33-59, 2019

      4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중국 해군의 「무인잠수전력(AUV/UUV)」개발 현황" 한국군사문제연구원 (680) : 2020

      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중국 과학기술ㆍ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① 중국의드론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35) : 2019

      6 신성호, "자율무기에 대한 국제사회 논쟁과 동북아" 국제학연구소 28 (28): 1-28, 2019

      7 조현석, "인공지능, 자율무기체계와 미래 전쟁의 변환" 21세기정치학회 28 (28): 115-140, 2018

      8 김현승, "미 해군 수상함부대전략 평가 및 한국 해군에게 주는 시사점" (41) : 52-84, 2017

      9 김덕기, "국제관함식을 통해서 본 중국해군의 현재와 미래: 과연 미국에 도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을까" 한국해양전략연구소 (158) : 2019

      10 董治强, "认知域下智能化战争制胜机理"

      1 이창형, "중국의 민군융합 통한 ‘지능화군’(知能化軍) 건설 전략" 한국해양전략연구소 (166) : 2019

      2 이상국, "중국군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어떻게 보고 있나" 한국국방연구원 20 (20): 2020

      3 김현승, "중국 해양안보전략에 관한 분석 및 평가: 아더 라이케의 전략 분석틀을 중심으로" (45) : 33-59, 2019

      4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중국 해군의 「무인잠수전력(AUV/UUV)」개발 현황" 한국군사문제연구원 (680) : 2020

      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중국 과학기술ㆍ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① 중국의드론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35) : 2019

      6 신성호, "자율무기에 대한 국제사회 논쟁과 동북아" 국제학연구소 28 (28): 1-28, 2019

      7 조현석, "인공지능, 자율무기체계와 미래 전쟁의 변환" 21세기정치학회 28 (28): 115-140, 2018

      8 김현승, "미 해군 수상함부대전략 평가 및 한국 해군에게 주는 시사점" (41) : 52-84, 2017

      9 김덕기, "국제관함식을 통해서 본 중국해군의 현재와 미래: 과연 미국에 도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을까" 한국해양전략연구소 (158) : 2019

      10 董治强, "认知域下智能化战争制胜机理"

      11 石丰登, "潜龙三号”实现无人值守探测"

      12 林杞, "海南建设国家深海基地南方中心的思考" 5 (5): 29-36, 2019

      13 林龙信, "水面无人作战系统技术发展与作战应用" 26 (26): 107-114, 2018

      14 李经, "水下无人作战系统装备现状及发展趋势" 39 (39): 1-7, 2017

      15 肖常鹏, "智能化作战特点规律研究" 16 (16): 34-37, 2019

      16 邹力, "智能化作战应“化”在哪里.”"

      17 董超, "无人水面艇海洋调查国内应用进展与展望" 18 (18): 1-9, 2019

      18 王勤, "无人机在海军作战领域应用" 3 (3): 36-39, 2012

      19 谢井, "无人机在海上电子战中的运用及影响" (1) : 99-100, 2014

      20 中国国务院新闻办公室, "新时代中国的国防" 2019

      21 孙斌, "新形势下南海权益护持创新手段研究 - 以无人水面航行器为例" 37 (37): 43-46, 2016

      22 赵汗青, "新型垂直起降固定翼舰载无人机曝光 国防部回应"

      23 中国国务院新闻办公室, "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 2017

      24 刘江平, "揭开无人海战的序幕 中国“瞭望者”Ⅱ无人艇" (1) : 26-30, 2019

      25 刘丹, "我国无人机海洋维权执法的国际法问题初探" 3 (3): 8-20, 2017

      26 环球时报, "外电关注中国“无人战船”JARI-USV进展"

      27 李建文, "国内首艘导弹无人艇亮相中国航展"

      28 林娟娟, "军事智能化正深刻影响未来作战"

      29 高悦, "优势互补 各施所长: “三龙”探海助力深海科研"

      30 邱志明, "事智能技术在海战领域应用的几点思考" 2 : 1-5, 2019

      31 搜狐网, "中国舰队再次穿越冲绳 途中进行无人机起降训练"

      32 杜哲元, "中国海军战略演变中的作战海区问题研究" 25 (25): 66-80, 2017

      33 妹子杨, "中国海军“水下无人机”首次揭开神秘面纱"

      34 射游麟, "中共海军战略转型之意含与影响" 51 (51): 33-48, 2017

      3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海翼-7000”水下滑翔机"

      36 Mahnken, Thamas G, "Tightening the Chain: Implementation a Strategy of Maritime Pressure in the Western Pacific" Center for Strategic and Budgetary Assessments 2019

      37 Kania, Elsa, "The PLA’s Unmanned Aerial Systems: New Capabilities for a “New Era” of Chinese Military Power" China Aerospace Studies Institute, U.S. Air University 2018

      38 Li, Nan, "The Chinese Navy: Expanding Capabilities, Evolving Roles"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2011

      39 U.S. Department of Defense, "Indo-Pacific Strategy Report:Preparedness, Partnerships, and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Department of Defense 2019

      40 Kline, Jeffrey E, "Impacts of the Robotics Age on Naval Force Design, Effectiveness, and Acquisition" 70 (70): 63-77, 2017

      41 David R. Strachan, "China Enters the UUV Fray: HSU001 provides an intriguing look into China’s unmanned undersea ambitions"

      42 Liu Zhen, "Beijing deploys drones for South China Sea surveillance"

      43 U.S. Department of Defense,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9" Department of Defense 2019

      44 정호섭,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지향하는 미 해군의 분산해양작전" 한국국방연구원 35 (35): 61-93, 2019

      45 김덕기, "21세기 중국 해군"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0

      46 中国国务院新闻办公室, "2015年中国的国防: 中国的军事战略" 2015

      47 中国国务院新闻办公室, "2010年中国的国防"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n National Security Affairs -> Research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0.97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