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행정사학지」 기고논문(2009-2018) 분석: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KPAH(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Review): Focused on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5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rea and methodology of the public administrative history through 205 papers published in the KPAHR(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Review).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6 area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dministrative division, and it was further divided into field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analyzed about quantitative approach and description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you look at the number of papers and researchers, 73.7 percent of them have a single study, 76.3 percent of them have a university professor, and 12.7 percent have a joint study. Research support is low at 20.8%. According to research trends in the research area, researches are mainly focused on Korea and China, and on cities by region, by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Dynasty.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administrative system and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history and ideology are confined to the Joseon era. The research method was significantly more descriptive (93.2%) than quantitative (6.9%), and the focus was on problem-solving/ prescriptive research (52.2%) than normative/ theoretical Respectively. Statistical techniques were in order of factor analysis, causalit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mean, vari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on between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uld be made in relation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of researchers. Second, the research areas of administrative history should be diversified and administrative changes should be actively accepted. Third, the identity of the journal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research fund should be supported. Fourth, the basis of normative/ theoretical research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scholarshi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rea and methodology of the public administrative history through 205 papers published in the KPAHR(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Review).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6 areas accord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rea and methodology of the public administrative history through 205 papers published in the KPAHR(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Review).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6 area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dministrative division, and it was further divided into field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analyzed about quantitative approach and description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you look at the number of papers and researchers, 73.7 percent of them have a single study, 76.3 percent of them have a university professor, and 12.7 percent have a joint study. Research support is low at 20.8%. According to research trends in the research area, researches are mainly focused on Korea and China, and on cities by region, by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Dynasty.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administrative system and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history and ideology are confined to the Joseon era. The research method was significantly more descriptive (93.2%) than quantitative (6.9%), and the focus was on problem-solving/ prescriptive research (52.2%) than normative/ theoretical Respectively. Statistical techniques were in order of factor analysis, causalit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mean, vari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on between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uld be made in relation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of researchers. Second, the research areas of administrative history should be diversified and administrative changes should be actively accepted. Third, the identity of the journal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research fund should be supported. Fourth, the basis of normative/ theoretical research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scholarshi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9. 6~2018. 12까지 한국행정사학회에서 발간한 「한국행정사학지」 총 205편의 논문을 통하여 행정사의 연구 영역과 방법론을 분석한다. 연구 영역은 행정사 분류체계에 따라 6개 영역으로 분류한 다음에 이를 다시 분야별로 나누었으며, 연구방법론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계량적 접근방법에 의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회지 논문 편수와 논문 기고자 소속을 보면, 단독연구가 73.7%이고 그중에서 대학교수가 76.3%이며, 공동연구는 12.7%이다. 연구비 지원은 20.8%로 나타났다. 연구영역별 시대적 연구 경향을 보면, 조선시대와 대한민국시대가, 공간별로는 대한민국과 중국을, 지방보다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경향은 행정제도 및 관리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행정사상과 이념에 관한 것으로서 조선시대에 국한되어 있다. 연구 방법은 계량적 연구(6.9%)보다 서술적 연구(93.2%)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연구초점은 문제해결적/처방적 연구(52.2%)가 규범적/이론적 연구(47.8%)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및 인과관계, 기술통계(빈도, 평균, 분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첫째, 행정사학의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둘째, 학회지에 대한 연구자의 참여형태를 교수뿐만 아니라 시간강사, 연구원, 행정실무자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술지의 위상 강화와 정체성 제고를 위하여 연구비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행정사학의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규범적 연구와 처방적 연구가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09. 6~2018. 12까지 한국행정사학회에서 발간한 「한국행정사학지」 총 205편의 논문을 통하여 행정사의 연구 영역과 방법론을 분석한다. 연구 영역은 행정사 분류체계에 따라 6개 ...

      이 연구는 2009. 6~2018. 12까지 한국행정사학회에서 발간한 「한국행정사학지」 총 205편의 논문을 통하여 행정사의 연구 영역과 방법론을 분석한다. 연구 영역은 행정사 분류체계에 따라 6개 영역으로 분류한 다음에 이를 다시 분야별로 나누었으며, 연구방법론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계량적 접근방법에 의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회지 논문 편수와 논문 기고자 소속을 보면, 단독연구가 73.7%이고 그중에서 대학교수가 76.3%이며, 공동연구는 12.7%이다. 연구비 지원은 20.8%로 나타났다. 연구영역별 시대적 연구 경향을 보면, 조선시대와 대한민국시대가, 공간별로는 대한민국과 중국을, 지방보다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경향은 행정제도 및 관리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행정사상과 이념에 관한 것으로서 조선시대에 국한되어 있다. 연구 방법은 계량적 연구(6.9%)보다 서술적 연구(93.2%)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연구초점은 문제해결적/처방적 연구(52.2%)가 규범적/이론적 연구(47.8%)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및 인과관계, 기술통계(빈도, 평균, 분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첫째, 행정사학의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둘째, 학회지에 대한 연구자의 참여형태를 교수뿐만 아니라 시간강사, 연구원, 행정실무자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술지의 위상 강화와 정체성 제고를 위하여 연구비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행정사학의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규범적 연구와 처방적 연구가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대희, "행정학자들의 행정사 연구 경향" 서울행정학회 24 (24): 391-404, 2013

      2 이가종, "행정학분야 학술정보체제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25 (25): 403-421, 1991

      3 윤영진,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과 과제:「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 게재논문의 총괄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1-29, 2013

      4 한승연, "행정사의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한국행정학회 43 (43): 81-104, 2009

      5 한승연, "행정사-한국행정학 60년 1956∼2016" 법문사 2017

      6 김춘식, "행정사 연구와 교육의 역사적 변화" 12 : 111-129, 2003

      7 이대희, "행정사 연구" 14 : 77-100, 2004

      8 권경득,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30 (30): 139-153, 1996

      9 김경수, "한국행정사학회의 연구현황과 과제" 18 : 251-270, 2006

      10 최호택, "한국행정사연구의 차원과 타당성: 한국행정사학지의 연구주제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28) : 237-255, 2011

      1 이대희, "행정학자들의 행정사 연구 경향" 서울행정학회 24 (24): 391-404, 2013

      2 이가종, "행정학분야 학술정보체제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25 (25): 403-421, 1991

      3 윤영진,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과 과제:「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 게재논문의 총괄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1-29, 2013

      4 한승연, "행정사의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한국행정학회 43 (43): 81-104, 2009

      5 한승연, "행정사-한국행정학 60년 1956∼2016" 법문사 2017

      6 김춘식, "행정사 연구와 교육의 역사적 변화" 12 : 111-129, 2003

      7 이대희, "행정사 연구" 14 : 77-100, 2004

      8 권경득,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30 (30): 139-153, 1996

      9 김경수, "한국행정사학회의 연구현황과 과제" 18 : 251-270, 2006

      10 최호택, "한국행정사연구의 차원과 타당성: 한국행정사학지의 연구주제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28) : 237-255, 2011

      11 장동희, "한국행정사" 법문사 1988

      12 한태천, "한국행정논집 분석" 12 (12): 781-802, 2000

      13 김인철, "한국정책학 분야의 연구내용과 그 성격" 26 (26): 1049-1066, 1992

      14 한승연, "한국의 행정사 연구 분석: 1956~2016년까지 발간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39) : 253-277, 2016

      15 윤재풍, "한국의 행정사" 대영문화사 2001

      16 이병렬, "한국 지방자치학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기고논문(1989-2001)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23-42, 2002

      17 이가종, "학술지 인용분석에 관한 연구" 30 (30): 97-112, 1996

      18 Perry, James L., "Research Methodology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75-1984" 46 (46): 215-226, 1986

      19 Meier, Kenneth J., "Public Administration as a Science of the Artifical: A Methodology for Prescription" 50 (50): 459-466, 1996

      20 Stallings, Robert A.,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Work in PAR, 1940-1984" 48 (48): 580-586, 1988

      21 Houston, D. 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An Assess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0 (50): 678-680, 1990

      22 Gladden, E. N., "A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1" Frank Cass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