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지선, "환경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연구경향 비교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4) : 21-44, 2015
2 박선미, "텃밭활동에서 나타난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89-416, 2007
3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4 홍성희,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23-147, 2012
5 정미라,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547-571, 2012
6 한미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인식 형성의 패러다임적 의미 탐색 -텃밭활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7 (7): 171-203, 2008
7 김영주, "자연친화교육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 역량모델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97-321, 2013
8 박선영, "자연친화교육 및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79-105, 2013
9 곽향림, "자연친화 활동으로서 생명체 돌보기에 대한 구성주의 공동체교실에서의 실행과 반성"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57-584, 2014
10 김지혜, "자연친화 교육 활동에서 나타난유아교사의 교수 행동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07-340, 2007
1 오지선, "환경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연구경향 비교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4) : 21-44, 2015
2 박선미, "텃밭활동에서 나타난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89-416, 2007
3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4 홍성희,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23-147, 2012
5 정미라,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547-571, 2012
6 한미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인식 형성의 패러다임적 의미 탐색 -텃밭활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7 (7): 171-203, 2008
7 김영주, "자연친화교육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 역량모델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97-321, 2013
8 박선영, "자연친화교육 및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79-105, 2013
9 곽향림, "자연친화 활동으로서 생명체 돌보기에 대한 구성주의 공동체교실에서의 실행과 반성"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57-584, 2014
10 김지혜, "자연친화 교육 활동에서 나타난유아교사의 교수 행동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07-340, 2007
11 이연선, "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37-361, 2007
12 조형숙,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 교육프로그램 : 자연과 친해지고 교감하며 탐구하기" 다음세대 2007
13 이일주,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301-321, 2012
14 정윤희, "유아교육기관의 생태환경과 융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175-197, 2014
15 이명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숲체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75-200, 2011
16 허우정, "유아교육기관 원장용 생태소양척도 개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83-99, 2013
17 정지현, "유아교육과정과 교사 전문성의 패러다임 전환적 의미 연구: 생태유아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49-271, 2006
18 조형숙, "유아교사의 자연친화 교육활동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57-178, 2005
19 황해익, "유아교사의 생태적 유아교육전문성 자기평가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305-334, 2009
20 김윤희,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83-102, 2011
21 김은영, "유아교사의 생태실천행동, 경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131-153, 2014
22 허우정, "유아교사용 생태소양척도 개발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253-276, 2012
23 고선미, "유아교사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 : 1974년~1998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4 박희숙, "유아교사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11-232, 2007
25 이일주, "유아 대상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교원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51-169, 2013
26 김은주,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 (2): 119-140, 2003
27 한미라,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에 나타나는 돌봄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35-263, 2008
28 한미라,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체험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29-63, 2007
29 박선미,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경험을 통한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의 가능성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231-250, 2009
30 서영희,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기관 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5 (5): 115-145, 2007
31 임재택,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숲 이미지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99-117, 2012
32 김성재,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인식한 숲유치원의 교육적 가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23-249, 2014
33 황지애,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전남지역 3년제 유아교육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99-117, 2012
34 김미진,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29-55, 2012
35 한남주, "생태유아교육의 이해와 실천과정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31-49, 2011
36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67-186, 2004
37 박주연,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5 (5): 47-72, 2007
38 이미영,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47-170, 2011
39 신세니, "생태유아교육과정으로의 전환에서 겪는 경력교사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27-57, 2011
40 민광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69-77, 2006
41 박지인,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이야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3 (3): 123-143, 2004
42 김형미, "생태유아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육학회 9 (9): 91-117, 2009
43 김은주, "생태유아교육 실천과 보육교사의 특성 및 인식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8 (28): 151-165, 2010
44 정혜영, "생태유아교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89-220, 2011
45 권미량,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프로그램 모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137-156, 2005
46 권미량, "생태유아교사교육의 교육원리에 관한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75-99, 2005
47 하은옥, "생태유아교사 평가를 위한 평가영역 및 준거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75-96, 2007
48 김은주, "생태유아교사 되어가기: 경력에 따른 생애사적 접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19-147, 2011
49 이애심, "생태 유아교육 교사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5 (5): 25-55, 2006
50 박예원, "보육교사의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동·식물 기르기 수업 활용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67-388, 2013
51 이소영, "병설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27-44, 2009
52 김묘선, "매일형 숲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보람"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75-112, 2013
53 서영희, "만5세반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과정 운영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03-129, 2011
54 이연선, "레지오 유아교육기관과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교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85-110, 2014
55 김은주,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한계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7 (7): 17-40, 2008
56 김성재, "구성주의 교사교육 관점의 ‘숲유치원 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547-570, 2014
57 박선미, "교사 발달의 생존기에 대한 질적 연구: 생태보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0 (30): 41-55, 2009
58 허자, "공립병설유치원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숲유치원설립․운영에 대한 인식변화 및 협력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31, 2013
59 정명수, "경기지역 민간 어린이집 교사·원장의 생태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철학, 프로그램 현황"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 91-112, 2006
60 김은주, "〔쟁점연구 : 교육방법〕유아교육에서의 수업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생태유아교육적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53-82, 2010
61 이소영, "‘숲교사’라는 호칭을 통해 본 P 어린이집 보조교사가 겪는 경험의 의미"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79-109, 2015
62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강의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중심적인 사고와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49-70, 2011
63 Fjortoft, I.,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lay ground for children : The impact of outdoor play activities in pre-primary school children" 29 (29): 111-117, 2001
64 Murray, S., "Research into initial teacher education in Australia : A survey of literature 1995-2004" 1 : 1-15, 2007
65 Wilson, R. A., "Nature and young children : A natural connection" 50 (50): 4-11, 1995
66 Dowell, K., "Nature and its influence on children’s outdoor play" 15 (15): 24-35, 2011
67 O’Brien, E., "Marvellous opportunity for children to learn: A participatory evaluation for Forest School in England and Wales" Forestry Commission 2006
68 Louv, R., "Last child in the woods: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 deficit disorder" Algonquin Books of Chapel Hill 2005
69 Larimore, R. A., "Establishing nature-based preschool" Interpress 2011
70 Klaar, S., "Doing, knowing, caring and feeling : Exploring relations between nature-oriented teaching and preschool children’s learning" 22 (22): 37-58, 2014
71 Gleave, J., "Children’s time to play : A literature review" Play England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