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회의 돌봄 사역: Heinz Kohut의 자아심리학과 신약의 제자의 모습을 통한 돌봄 사역자의 자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29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교회안의 목회 돌봄 사역을 위한 돌봄 사역자들의 자세에 관해 논한다. 돌봄 사역자들이 갖추어야 할 자세로서 주님의 돌봄의 모습을 제시하고 돌봄 사역에 참여하는 자들의 자세가 이를 닮아야 함을 강조한다. 먼저 현대 심리학의 주요한 이론 중의 하나로서 교회의 돌봄 사역 이론에서 자주 언급되는 Heinz Kohut의 자아 심리학이 제시하는 돌봄 자세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해서 논한다. 그리고 심리학 이론으로서 갖는 이 이론의 인본주의적 약점을 비판하면서, 이 이론이 기여한 진실한 돌봄의 자세의 필요와 이의 치유 효과에 대해서는 신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사용하되 인본주의적 위험들은 거부해야 함을 강조한다. 더 강력하고 보다 성경적인 돌봄의 자세를 위해, Kohut의 자아 심리학이 제시한 공감적 돌봄의 자세를 예수 그리스도의 돌봄의 사역 안에서 재해석 한다. 이를 통해 교회의 돌봄 사역의 동기와 과정은 인간의 관계의 필요를 채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예수의 돌봄의 모습을 닮아가는 것이 제자의 모습이며 돌봄 사역자가 가져야할 자세임을 지적한 후, 이러한 돌봄의 자세가 지역교회 사역에 갖는 함축성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교회안의 목회 돌봄 사역을 위한 돌봄 사역자들의 자세에 관해 논한다. 돌봄 사역자들이 갖추어야 할 자세로서 주님의 돌봄의 모습을 제시하고 돌봄 사역에 참여하는 자들의 자세...

      이 논문은 교회안의 목회 돌봄 사역을 위한 돌봄 사역자들의 자세에 관해 논한다. 돌봄 사역자들이 갖추어야 할 자세로서 주님의 돌봄의 모습을 제시하고 돌봄 사역에 참여하는 자들의 자세가 이를 닮아야 함을 강조한다. 먼저 현대 심리학의 주요한 이론 중의 하나로서 교회의 돌봄 사역 이론에서 자주 언급되는 Heinz Kohut의 자아 심리학이 제시하는 돌봄 자세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해서 논한다. 그리고 심리학 이론으로서 갖는 이 이론의 인본주의적 약점을 비판하면서, 이 이론이 기여한 진실한 돌봄의 자세의 필요와 이의 치유 효과에 대해서는 신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사용하되 인본주의적 위험들은 거부해야 함을 강조한다. 더 강력하고 보다 성경적인 돌봄의 자세를 위해, Kohut의 자아 심리학이 제시한 공감적 돌봄의 자세를 예수 그리스도의 돌봄의 사역 안에서 재해석 한다. 이를 통해 교회의 돌봄 사역의 동기와 과정은 인간의 관계의 필요를 채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예수의 돌봄의 모습을 닮아가는 것이 제자의 모습이며 돌봄 사역자가 가져야할 자세임을 지적한 후, 이러한 돌봄의 자세가 지역교회 사역에 갖는 함축성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s an attitude of care-givers in the area of church’s caring ministry. it suggests Jesus’caring ministry as an ideal attitude of care-giving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is attitude to the caregivers. To do this, this essay first discusses the importance and effects of care-givers’attitude mentioned in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an often-mentioned theory in pastoral care literature. After evaluation on the theory, then,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the reinterpretation of Kohut’s contribution in terms of Jesus’caring ministry is followed. For more powerful and biblical attitude of church’s care-givers, the article tries to reinterpret the empathic caring attitude in the light of Jesus’caring ministry. Through this reinterpretation, this essay argues that the cause and process of church’s caring ministry must be based on God’s love that is best revealed in Jesus’suffering and death, not on the meeting the relational needs in people. After pointing out that imitating Jesus’caring attitude is an essential element of discipleship, and church’s care-givers should follow this, the essay provides some implications of this discipleship attitude in caring people at church.
      번역하기

      This article discusses an attitude of care-givers in the area of church’s caring ministry. it suggests Jesus’caring ministry as an ideal attitude of care-giving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is attitude to the caregivers. To do this, this essa...

      This article discusses an attitude of care-givers in the area of church’s caring ministry. it suggests Jesus’caring ministry as an ideal attitude of care-giving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is attitude to the caregivers. To do this, this essay first discusses the importance and effects of care-givers’attitude mentioned in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an often-mentioned theory in pastoral care literature. After evaluation on the theory, then,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the reinterpretation of Kohut’s contribution in terms of Jesus’caring ministry is followed. For more powerful and biblical attitude of church’s care-givers, the article tries to reinterpret the empathic caring attitude in the light of Jesus’caring ministry. Through this reinterpretation, this essay argues that the cause and process of church’s caring ministry must be based on God’s love that is best revealed in Jesus’suffering and death, not on the meeting the relational needs in people. After pointing out that imitating Jesus’caring attitude is an essential element of discipleship, and church’s care-givers should follow this, the essay provides some implications of this discipleship attitude in caring people at chu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글
      • II. 펴는 글
      • 1. 돌봄 사역과 Heinz Kohut의 자아 심리학
      • 2. 돌봄 사역에서 Kohut 이론의 평가와 문제점
      • 3. 예수 그리스도의 돌봄 사역의 모습
      • I. 들어가는 글
      • II. 펴는 글
      • 1. 돌봄 사역과 Heinz Kohut의 자아 심리학
      • 2. 돌봄 사역에서 Kohut 이론의 평가와 문제점
      • 3. 예수 그리스도의 돌봄 사역의 모습
      • 4. 제자도의 한 예로서 돌봄사역: 주님의 돌봄의 모습을 실천하고 닮아감
      • III.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elch, Edward T, "Who Are We? Needs, Longings, and the Image of God in Man" 13 (13): 25-38, 1994

      2 Randall, Robert L, "What People Expect from Church : Why Meeting People's Needs is More Important Than Church Meetings" Abingdon 1993

      3 Crabb, Lawrence J. Jr, "Understanding People : Deep Longings for Relationship"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7

      4 Gorday, Peter J, "The Self Psychology of Heinz Kohut: What's It All About Theologically?" 48 (48): 445-467, 2000

      5 Kohut, Heinz, "The Search for the Self : Selected Writings of Heinz Kohut" International Universities 1978

      6 Wispe, Lauren, "The Psychology of Sympathy" Plenum 1991

      7 Hahn, Robert A, "Sickness and Healing :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Yale University 1996

      8 Gardiner, Judith Kegan, "Self Psychology as Feminist Theory" 12 (12): 761-780, 1987

      9 Koppel, Michael S, "Self Psychology and End of Life Pastoral Care" 53 (53): 139-151, 2004

      10 Lee, Ronald R., "Psychotherapy after Kohut: A Textbook of Self Psychology" Routledge 1991

      1 Welch, Edward T, "Who Are We? Needs, Longings, and the Image of God in Man" 13 (13): 25-38, 1994

      2 Randall, Robert L, "What People Expect from Church : Why Meeting People's Needs is More Important Than Church Meetings" Abingdon 1993

      3 Crabb, Lawrence J. Jr, "Understanding People : Deep Longings for Relationship"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7

      4 Gorday, Peter J, "The Self Psychology of Heinz Kohut: What's It All About Theologically?" 48 (48): 445-467, 2000

      5 Kohut, Heinz, "The Search for the Self : Selected Writings of Heinz Kohut" International Universities 1978

      6 Wispe, Lauren, "The Psychology of Sympathy" Plenum 1991

      7 Hahn, Robert A, "Sickness and Healing :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Yale University 1996

      8 Gardiner, Judith Kegan, "Self Psychology as Feminist Theory" 12 (12): 761-780, 1987

      9 Koppel, Michael S, "Self Psychology and End of Life Pastoral Care" 53 (53): 139-151, 2004

      10 Lee, Ronald R., "Psychotherapy after Kohut: A Textbook of Self Psychology" Routledge 1991

      11 Randall, Robert L, "Pastor and Parish : The Psychological Core of Ecclesiastical Conflicts" Human Sciences 1988

      12 Kill, Anthony Steven, "Kohut's Psychology of the Self as a Model for Theological Dynamics" 41 (41): 17-32, 1986

      13 Kohut, Heinz, "Introspection, Empathy, and the Semicircle of Mental Health, In Empathy" Analytic 81-100, 1981

      14 Kohut, Heinz, "How Does Analysis Cure?" University of Chicago 1984

      15 Hummel, Leonard M, "Heinz Kohut & Empathy: A Perspective from a Theology of the Cross" 21 (21): 64-74, 2001

      16 Cook, Carol J, "Empathy: A Bridge between Worlds, a Landscape of Care" 20 (20): 29-38, 2006

      17 McCarthy, Marie, "Empathy: A Bridge Between" 46 : 119-128, 1992

      18 Schlauch, Chris R, "Empathy as the Essence of Pastoral Psychotherapy" 44 : 3-17, 1990

      19 Jervis, L. Ann, "Empathy and the New Testament" 2000

      20 McCarthy, Marie, "Empathy Amid Diversity: Problems and Possibilities" 3 : 15-28, 1993

      21 Basch, Michael F, "Empathic Understanding: A Review of the Concepts and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31 : 101-126, 1983

      22 Wilkins, Michael J, "Discipleship, In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IVP 176-189, 1992

      23 Hardee, James T, "An Overview of Empathy" 7 (7): 51-5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복음주의 실천신학 논총 -> 복음과 실천신학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88 0.87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