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형유리구슬을 비파괴 분석법으로 검증하고 충청지역 출토 유리구슬과 비교분석하여 지역별 시대별 유리구슬의 특징을 분류하고자한다. CaO, $Al_2O_3$(안정제), MgO 등 미량검출 성분은 차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53761
박재형 ; 정광용 ; 조순흠 ; Park, Jae Hyung ; Chung, Kwang Yong ; Cho, Sun Heum
2014
Korean
학술저널
5-23(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완형유리구슬을 비파괴 분석법으로 검증하고 충청지역 출토 유리구슬과 비교분석하여 지역별 시대별 유리구슬의 특징을 분류하고자한다. CaO, $Al_2O_3$(안정제), MgO 등 미량검출 성분은 차이...
완형유리구슬을 비파괴 분석법으로 검증하고 충청지역 출토 유리구슬과 비교분석하여 지역별 시대별 유리구슬의 특징을 분류하고자한다. CaO, $Al_2O_3$(안정제), MgO 등 미량검출 성분은 차이가 미미하였으며, $SiO_2$(주제), $Na_2O$(융제) 분석결과 값 차이가 다른 성분에 비해 컸다. 선행연구 비교 분석결과 문성리 유적 Soda Glass 군은 LCHA형, HCLA형, LCA-B형이 모두 나타났으며, 백제시대 유리구슬로 추정된다. Potash glass 군의 경우 문성리 유적 유리 Potash glass 군은 I형, III형이 모두 나타났다. MgO와 $K_2O$ 함량에 따른 융제($Na_2O$) 성분원료 구분하면 선행연구 및 문성리 유적 유리구슬 모두 MgO 와 $K_2O$의 함량이 1.5 wt.% 이하이므로 광물원료에서 소다를 취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출토 금박구슬의 계통분류에 따라 문성리 유적 금박유리구슬을 분류하면 금박 네트론유리(Soda Glass) I형(학곡리, 양동리, 탕정, 남산리, 두정동, 복암리) 유사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ssibility of non-destructive inspection glass beads for verification.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ungcheong area with glass beads excavated Age-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beads shall be classified by region. Trace amounts ...
The possibility of non-destructive inspection glass beads for verification.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ungcheong area with glass beads excavated Age-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beads shall be classified by region. Trace amounts of ingredients such as CaO, $Al_2O_3$ (stabilizer), MgO, the difference is negligible. $SiO_2$ (subjects), $Na_2O$ (flux) analysi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was greater than in the other ingredients. Composition differences occurred rough surface to a non-uniform cross-section analysis is considered. Minimize the error value, such as the surface of carbon-coated Study, there are additional requirements. Produced at the time of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ncient glass and important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to inform the proces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each region in the production of glass technology era according to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arts and crafts, can be identified.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측정방법에 따른 유물 전시관 내 농도 분포 특성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