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요소 기반의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전략 연구 -남원문화도시 도시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rban Brand Design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Cultural Element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Urban Brand Design in Namwon Culture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3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any competition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ities intensify, they continue to show high interest and investment in urban marketing using urban brands. To this end, it has become important to reflec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each city in the urban brand design, but the establishment of empirical systematiz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duce urban brand design with a more systematic and strategic approach by establishing cultural elements of urban brand design.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urban brand design was understood and the image components of the urban brand classified by Jeon Hyung-yeon (2008) were supplemented to organize them into natural, historical, and modern elements. Those elements were applied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Namwon Cultural City urban brand. One of the four designs selected in the first round by 10 members of the Namwon Culture Cities Committee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aking a 15-day vote from June 15 to June 30, 2019 for gathering opinions from Namwon citizens with the help of Namwon City Hall. After that, the city brand was confirmed through a meeting of officials and experts, and it was actually used for urban marketing. It is hoped that this systematic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image component analysis will be used for basic data for empirical design.
      번역하기

      As many competition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ities intensify, they continue to show high interest and investment in urban marketing using urban brands. To this end, it has become important to reflec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

      As many competition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ities intensify, they continue to show high interest and investment in urban marketing using urban brands. To this end, it has become important to reflec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each city in the urban brand design, but the establishment of empirical systematiz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duce urban brand design with a more systematic and strategic approach by establishing cultural elements of urban brand design.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urban brand design was understood and the image components of the urban brand classified by Jeon Hyung-yeon (2008) were supplemented to organize them into natural, historical, and modern elements. Those elements were applied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Namwon Cultural City urban brand. One of the four designs selected in the first round by 10 members of the Namwon Culture Cities Committee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aking a 15-day vote from June 15 to June 30, 2019 for gathering opinions from Namwon citizens with the help of Namwon City Hall. After that, the city brand was confirmed through a meeting of officials and experts, and it was actually used for urban marketing. It is hoped that this systematic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image component analysis will be used for basic data for empirical desig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외 도시 간 다경쟁이 심화되며 도시브랜드를 활용한 도시마케팅에 지속적인 높은 관심과 투자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한 도시브랜드 디자인에 각 도시의 문화적 특성과 정체성 반영이 중요하게 되었으나 실증적인 체계화의 정립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문화적 요소를 정립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시브랜드 디자인을 이해하고 전형연(2008)이 분류한 도시브랜드의 이미지 구성요소를 보완하여 자연적 요소, 역사적 요소, 현대적 요소로 정리하였다. 전술한 요소를 남원문화도시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였다.
      남원문화도시위원회의 10명의 위원들에 의하여 1차에서 선택된 4개의 디자인은 남원시청의 도움으로 남원시민의 참여와 의견수렴을 위한 2019년 6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15일간 투표를 통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이후 관계자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해 도시브랜드를 확정하고 도시마케팅에 실제 활용하였다. 이러한 이미지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체계적 개발전략이 실증적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국내외 도시 간 다경쟁이 심화되며 도시브랜드를 활용한 도시마케팅에 지속적인 높은 관심과 투자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한 도시브랜드 디자인에 각 도시의 문화적 특성과 정체성 반영이 ...

      국내외 도시 간 다경쟁이 심화되며 도시브랜드를 활용한 도시마케팅에 지속적인 높은 관심과 투자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한 도시브랜드 디자인에 각 도시의 문화적 특성과 정체성 반영이 중요하게 되었으나 실증적인 체계화의 정립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문화적 요소를 정립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시브랜드 디자인을 이해하고 전형연(2008)이 분류한 도시브랜드의 이미지 구성요소를 보완하여 자연적 요소, 역사적 요소, 현대적 요소로 정리하였다. 전술한 요소를 남원문화도시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였다.
      남원문화도시위원회의 10명의 위원들에 의하여 1차에서 선택된 4개의 디자인은 남원시청의 도움으로 남원시민의 참여와 의견수렴을 위한 2019년 6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15일간 투표를 통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이후 관계자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해 도시브랜드를 확정하고 도시마케팅에 실제 활용하였다. 이러한 이미지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체계적 개발전략이 실증적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주현 ; 임헌혁, "한국 6대 광역시의 도시브랜드에 함의된 조형요소와 정체성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203-214, 2013

      2 루돌프 아른하임,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1995

      3 권재경 ; 최원수, "도시이미지 유형에 따른 도시브랜드 정체성 형성의 영향요인"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0 (10): 15-26, 2012

      4 장창식, "도시브랜드 유형 분석을 통한 아이덴티티 개발 전략 연구 - 포천시 도시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68) : 141-150, 2022

      5 권상구, "기초디자인" 미진사 77-, 1988

      6 장영중, "글로벌 기업의 통합적디자인 아이덴티티 체계에 관한 기초연구" 24 (24): 2011

      7 주혜영, "국내기업 심볼마크 디자인의 시대적 특성 : 1973년부터 2011년까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8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f2a225128be43dc963c63e1ed32212f"

      9 Kavaratzis, Mihalis, "Rethinking Place Branding" 2014

      1 노주현 ; 임헌혁, "한국 6대 광역시의 도시브랜드에 함의된 조형요소와 정체성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203-214, 2013

      2 루돌프 아른하임,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1995

      3 권재경 ; 최원수, "도시이미지 유형에 따른 도시브랜드 정체성 형성의 영향요인"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0 (10): 15-26, 2012

      4 장창식, "도시브랜드 유형 분석을 통한 아이덴티티 개발 전략 연구 - 포천시 도시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68) : 141-150, 2022

      5 권상구, "기초디자인" 미진사 77-, 1988

      6 장영중, "글로벌 기업의 통합적디자인 아이덴티티 체계에 관한 기초연구" 24 (24): 2011

      7 주혜영, "국내기업 심볼마크 디자인의 시대적 특성 : 1973년부터 2011년까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8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f2a225128be43dc963c63e1ed32212f"

      9 Kavaratzis, Mihalis, "Rethinking Place Branding"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