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대 게르만어들 중 풍부한 코퍼스(corpus)를 보유하고 있는 언어로 잘 알려진 고트어를 중심으로 고트어 명사곡용 패러다임에서 발견되는 변이형(variation)들을 분석함으로써 언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1771
-
2008년
Korean
명사곡용 ; 어간류 ; synchronic variation ; Gothic ; nominal declension paradigm ; semantic field ; common semantic feature ; Proto-Germanic ; diachronic change ; stem class ; 의미장 ; 대표명사 ; 성 ; 고트어 ; 역사비교언어학 ; 고대고지독일어 ; 게르만조어 ; 격체계 ; 고대게르만어 ; 동원어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대 게르만어들 중 풍부한 코퍼스(corpus)를 보유하고 있는 언어로 잘 알려진 고트어를 중심으로 고트어 명사곡용 패러다임에서 발견되는 변이형(variation)들을 분석함으로써 언어...
이 연구는 고대 게르만어들 중 풍부한 코퍼스(corpus)를 보유하고 있는 언어로 잘 알려진 고트어를 중심으로 고트어 명사곡용 패러다임에서 발견되는 변이형(variation)들을 분석함으로써 언어의 공시적 변이(synchronic variation) 현상과 통시적 변화(diachronic change) 현상 사이의 유기적인 상호 관련성을 탐구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자료 중심의 경험주의적 언어 분석에 현대의 기능주의적(functionalism)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역사비교언어학의 재조명과 함께 언어 변화의 보편 원리 및 방향성에 대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명사곡용 패러다임에서 발견되는 여러 변이형들을 야기한 동인(Motiv)으로서 여러 가지 요소들이 관여하고 있음을 밝혀냈으며, 그러한 변이형들 중 역사적 변화의 흔적, 또는 역사적 변화의 전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들을 살펴보고 그 변화 방향을 예상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고대고지독일어, 중세고지독일어 동원어(cognate)들과 비교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또한 각 어간류에 속하는 어휘들을 대상으로 이들을 공통적으로 묶을 수 있는 보편적인 특질, 공통된 의미자질이나 그 밖의 다른 여러 자질들을 살펴봄으로써 고트어에서 각 명사들에 대한 어간류의 할당 및 분포에 대해서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각도에서의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 철저하게 고트어의 실제 문헌상에서 검증되는 실현형에 따라 각 어간별 명사곡용 패러다임을 설정하고 각 어간에 속하는 어휘들의 정확한 어휘 목록을 작성하였다.
● 소속 어간류가 분명치 않은 어휘들과 더불어 규칙적인 곡용 패러다임에 위배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어휘들을 정리, 기술하고 목록화 하였다. 그리고 각 어휘별로 그러한 불규칙성이 나타나게 된 여러 가지 원인들을 논하였다.
● 공시적으로 불규칙적인 변이형을 나타나게 한 원인별로 불규칙한 변이형을 보이는 어휘들을 정리하였다.
1) 격들 사이의 기능적 위계
2) 의미장(semantic field)
3) 명사의 성(gender)
4) 복합적인 원인 또는 원인 규명 불가
● 위의 원인별로 정리한 어휘들이 고대고지독일어, 고대북구어(Old Norse), 고대영어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아울러 고대고지독일어에서 중세고지독일어로 내려오면서 역사적으로는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알아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the corelation between synchronic variation and diachronic change by analyzing the variation attested in the Gothic nominal declension paradigm. The Gothic language is well known to us that it retains the rich corpus among the ol...
This study researched the corelation between synchronic variation and diachronic change by analyzing the variation attested in the Gothic nominal declension paradigm. The Gothic language is well known to us that it retains the rich corpus among the old Germanic languages.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new perspective for universal principle of language change and direction by interpreting the historical data analysis using the modern functionalism.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variations found in the nominal declension paradigm are caused by various motives like stem class, semantic field, gender and so on, and observed the examples showing the traces or sign for historical chagne. This predicted, additionally, the direction of change based on these observance, and tried to verify this hypothesis through the comparison of corresponding cognates in Old High German, Middle High German, etc.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universal feature like common semantic features which can bind all nouns belong to each stem class, and in the new perspective approached to the assignment and distribution of stem class to each noun in the Gothic language.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follows:
● Accurate lexical list was made out according to factually attested forms in the Gothic texts, and nominal declension paradigm in each stem class was framed.
● Unclear lexical items with irregular declension paradigm were arranged and listed, separately, and the causes for it are discussed in each item.
● In accordance with reasons causing the irregular variations the lexical list was made out. The reasons verified are as follows:
1) Functional hierarchy among cases
2) semantic field of nouns
3) gender
4) complex reasons
The lexial items with irregular variations were compared with cognates in Old High German, Old Norse and Old English, and observed how they are changed historically from Old High German to Modern German.
<The result the study>
● In the declension paradigm, there is the the functional hierarchy among cases and it is also related to number, that is, singular and plural. Generally, singular nominative form has the function representing a noun and a stem class. Therefore, it plays the most implortant role in the declension paradigm.
● The nouns with the similar semantic field appear in the same stem class or with the same gender, and they belong to the stem class in which cover terms are. Particularly, masculine nouns retain the original gender in spite of their shifts of stem class. This fact shows that masculine gender has the most stable and powerful status among three genders, and simultaneously it plays the very important role in the nominal declension paragd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