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사이버대학교 10년사 =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25358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고려사이버대학교 출판부, 2011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8.519 판사항(22)

      • ISBN

        9788996682202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고려사이버대학교 10년사 =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 [고려사이버대학교 출판부 편]

      • 형태사항

        xxi, 544 p. : 삽화 ; 23 cm

      • 일반주기명

        색인과 부록수록

      • 소장기관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주보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일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간행사 = ⅲ
      • 축사 / 김정배[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 xi
      • 1 고려사이버대학교의 설립배경과 설립자 = 1
      • 고려사이버대학교 설립 당시의 시대적 배경 = 2
      • 목차
      • 간행사 = ⅲ
      • 축사 / 김정배[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 xi
      • 1 고려사이버대학교의 설립배경과 설립자 = 1
      • 고려사이버대학교 설립 당시의 시대적 배경 = 2
      • 한국디지털대학교의 설립배경 = 14
      • 화정 김병관 동아일보 명예회장 겸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이 설립자로 = 14
      • 재단법인 한국디지털교육재단의 설립 = 15
      • 한국디지털대학교 설립과정에서 출범한 디유넷 = 19
      • 한국디지털대학교의 설립인가 = 23
      • 김중순 교수를 총장내정자로 추천 = 28
      • 2 한국디지털대학교의 출범 = 33
      • 한국디지털대학교의 개교식과 총장 취임식 = 34
      • 신입생 선발과 교직원 임명 = 43
      • 교원 및 사무직원 임명 = 43
      • 신입생 모집 = 46
      • 재정적인 중압감 = 50
      • 한국 최초로 온라인 선거를 통한 총학생회장 선출 = 53
      • 3 1차 5개년 계획을 통한 학교발전 = 55
      • 양양 워크숍과 1차 5개년 계획 = 58
      • 제1차 연도 계획(2001년 3월∼2002년 2월) : 태동기 = 60
      • 제2차 연도 계획(2002년 3월∼2003년 2월) : 안정과 발전준비 = 62
      • 제3차 연도 계획(2003년 3월∼2004년 2월) : 발전기 = 64
      • 제4차 연도 계획(2004년 3월∼2005년 2월) : 성숙기 = 66
      • 제5차 연도 평가(2005년 3월∼2006년 2월) : 평가 = 67
      • 1차 5개년 계획의 실현을 위한 노력 = 68
      • 고려대학교를 위시한 여러 대학교와 학술단체들과의 학술교류협정 = 71
      • 경북 봉화에서 전남 완도까지의 교류협정 노력 = 73
      • 증과와 학생 정원 증가 = 78
      • KDU Cyber Fair 개최(2002년 10월 8일) = 79
      • 한국디지털대학교의 성장(2003학년도) = 81
      • 신임 교직원의 대거 임명 = 82
      • 재단법인 한국디지털교육재단의 변화 = 86
      • 1차 5개년 계획을 통한 학교의 성장과 발전 = 88
      • 콘텐츠 자체개발과 독자적인 시스템 운영계획 = 88
      • 콘텐츠 자체개발 준비 = 89
      • 독자적인 교육정보시스템 및 인프라 운영준비 = 91
      • 디지털정보학과와 삼성 SDS와의 공동운영 = 93
      • 정보화교육 킴페인 = 97
      • 질 개선을 위한 사이버 포럼 개최 = 99
      • 한국 산업의 인터넷 파워 - 사이버대학 부문1위(네티즌) 웹사이트 선정 = 103
      • 4 자유게시판을 통한 학내소요와 제1회 학위수여식 = 105
      • 첫 조기졸업생 배출 = 106
      • 총장과의 간담회를 전후한 학교 자유게시판을 통한 학생들의 소요 = 109
      • 학생회(총학)를 조직하지 못한 5대 총학생회 = 122
      • 한국디지털대학교의 첫 학위수여식과 김중순 박사의 제2대 총장 취임 = 125
      • 한국디지털대학교의 첫 학위수여식 = 125
      • 김중순 박사의 제2대 총장 취임 = 131
      • 첫 원격대학 실태조사와 한국디지털대학교의 실태 = 142
      • 5 교육정보시스템의 강화
      • 안정적인 교육서비스를 위한 노력 = 146
      • 콘텐츠 질 개선을 위한 스튜디오 구축과 고화질(HD) 제작 스튜디오 설비 = 154
      • 아산정책연구원과의 협약에 따라 세계적 석학과 명사들이 우리 스튜디오에서 대담 = 158
      • 모바일 러닝 시스템 구축과 고려대와 함께 스마트 TV 서비스를 위한 준비 = 161
      • 6 화정 김병관 이사장 취임과 화정관 기공식 = 163
      • 제3대 재단법인 한국디지털교육재단 이사장 취임과 화정관 기공식 = 164
      • 교사부지가 계동으로 정해지기까지 = 170
      • 화정관의 매입과 임대, 건립과정과 김병관 이사장의 사임 = 176
      • 김병관 이사장의 사임 = 178
      • 화정관의 건립과정 = 179
      • 7 화정관 중공식과 김병관 이사장의 와병 = 183
      • 화정관 준공식과 입주 = 184
      • 화정관으로 입주 = 193
      • 화정 선생의 별세 = 198
      • 8 사회봉사사업으로서의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 = 209
      •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 시작의 배경 = 210
      • 온라인교육의 필요성 대두 = 212
      • 포스코(POSCO)의 재정적인 지원 = 216
      • POSCO, 전라남도, 경상북도 그리고 한국디지털대학교와의 MOU = 218
      • '인 바운드' 국제화를 통한 '아웃 바운드' 국제화 노력 :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과의 학술교류협정 체결 = 224
      •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의 경과 = 227
      • 캠페인의 중간 평가 = 234
      • 사회봉사사업이산 교육으로 = 239
      • 9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의 성과와 전망 = 241
      •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의 전국적인 확대 = 242
      • 한글 보급의 글로벌화에 기여 = 246
      • 골드만삭스의 지원 = 248
      • 고급한국어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 = 248
      • 골드만삭스의 지원 = 250
      •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을 통해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의 현주소 = 255
      • 한국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이해와 오해 = 255
      • 한국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정책이 지향해야 할 점 = 258
      •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의 확대 = 261
      • 다문화가정 출신을 위한 대학 진학기회 부여 = 261
      • 다문화주의의 학술적인 연구 = 262
      • 다문화연구소 설립 = 264
      • 10 장단기 발전계획의 수립과 자체평가 = 267
      • 2006년 한국디지털대학교 장단기 발전계획 = 268
      • 제2차 한국디지털대학교 장단기 발전계획 = 271
      • 발전 방향과 목표 = 272
      • 학교의 현황 = 273
      • 현황분석과 발전 방향 = 275
      • 실천과제 및 전략 = 282
      • 자체평가(2007년 2∼4월) 및 실사단 평가 = 288
      • 교육계획 영역 = 290
      • 수업 영역 = 291
      • 인적자원 영역 = 292
      • 물적 자원 영역 = 293
      • 경영과 행정 영역 = 294
      • 교육성과 영역 = 296
      • 실사단의 평가 = 300
      • 실사단이 인정한 우수사례 :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과 사이버포럼 = 305
      • 실사평가보고서의 활용 = 306
      • 11 고등교육법으로의 전환 = 307
      • 한국디지털대학교 발전계획 성안(2007년 8월∼2008년 2월 15일) = 308
      • 발전계획의 개요 = 309
      • 학교이념ㆍ목적ㆍ목표에 대한 수정 = 313
      • 고등교육법으로의 전환 = 316
      • 전환 배경 = 316
      • 한국디지털대학교가 직면한 도전 : 고등교육법으로의 전환 준비 = 320
      • 고등교육법으로의 전환 신청준비 = 322
      • 한국디지털대학교의 헌장 = 324
      • 설립취지문 = 325
      • 고등교육법으로의 전환 신청 = 327
      •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고등교육법상의 사이버대학으로 인가 취득 = 331
      • '고등교육법상의 전환'이라는 날개를 달고 세계를 향해 웅비한다 = 332
      • 12 김중순 제3대 총장 취임과 국제화선언 = 339
      • 김중순 제3대 총장 취임 = 340
      • 제2대 총장 재임기간의 중요 성과에 대한 개관 = 340
      • 제3대 김중순 총장 취임과 취임사 = 345
      • 양종 총동문회 회장의 축사 = 351
      • 본격적인 국제화로의 진입 = 353
      • 조지아사우스웨스턴주립대학교와의 학술교류협정 = 355
      • 영어강의 콘텐츠 개발과 한국디지털대학교의 세계화 노력 = 357
      • 로살린카터 연구소와의 제휴방안 검토 = 359
      • 13 지미 카터와 영부인 로살린 카터 여사의 방문 = 361
      • '돌봄'(Caregiving) 교육과 연구를 위한 RCI-Korea 설립 = 362
      • RCI-Korea를 설립하기까지의 배경 = 365
      • 카터 대통령 부부의 고려사이버대학교 방문 = 369
      • RCI와 고려사이버대학교와의 MOU 체결 및 RCI-Korea 설립 = 371
      • 로살린 카터 여사의 기조연설 = 380
      • RCI-Korea의 발전 = 386
      • RCI-Korea 케어기빙연구소 설립 = 387
      • 2010년 RCI 미국 전국대회의 초청과 참여 = 389
      • 학부와 대학원에 케어기빙학과 신설 준비 = 390
      • 14 고려사이버대학교로의 재탄생 = 393
      •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으로의 합병 = 394
      • 합병 배경 = 394
      • 김정배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과 김재호 이사의 통합 결단 = 397
      • 김학준 이사장 선출 = 398
      • 고려사이버대학교로의 교명 변경 = 400
      •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의 통합의결 = 404
      • 학교법인 한국디지털대학교의 해산 = 406
      •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의 일원으로 = 409
      • 15 한국의 10대 대학 중의 하나가 되기 위한 이정표 - '비전 2020' 선포 = 411
      • 고려사이버대학교의 10년간의 성장개요와 성장지표 = 412
      • 한국 10대 대학으로의 진입을 위한 비전 2020 : '대한민국 대학브랜드 Top 10' 선포 = 418
      • 비전 2020 : 대한민국 대학브랜드 Top 10 = 422
      • 비전 선포식에서 설정한 목표의 달성을 낙관적으로 믿는 근거 = 427
      • 부록 = 433
      • 1.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임원 현황 = 434
      • 2. 학교법인 한국디지털대학교 10년 간의 임원 현황 = 435
      • 3. 연도/학기별 처장단 명단 = 438
      • 4. 교원임용 현황 = 440
      • 5. 고려사이버대학교 교원 출신교별 분포 = 444
      • 6. 고려사이버대학교 직원 명단(연도별) = 446
      • 7. 고려사이버대학교 역대 총학생회장 명단 = 450
      • 8. 고려사이버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한 학교와 단체명단(일자 포함) = 451
      • 9. 고려사이버대학교가 수여하는 각종 자격증 = 455
      • 10. '사이버포럼' 개최 목록(주제 및 개최일자) = 457
      • 11. 고려사이버대학교 학생 구성 분포 = 465
      • 12. 한국디지털대학교ㆍ고려대학교 학술 교류 협정서 = 466
      • 13. 한국디지털대학교ㆍ한국마이크로소프트(유) 산학협력 양해각서 = 467
      • 14. 다문화가정 설명회를 위한 MOU 기관/일자 = 468
      • 15. RCI-Korea 협약 원문 = 482
      • 16. 켄달 블랜차드 총장 기념사 영어 원문 = 484
      • 17. 로살린 카터 여사의 기조강연 원문 = 487
      • 18. 로살린 카터 여사의 고려사이버대학교 방문 후의 편지 = 490
      • 19. 과거 10년간 언론에 보도된 고려사이버대학교에 관한 기사 목록 = 491
      • 찾아보기 = 5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