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cutting flute의 길이 및 형태에 따른 식립 및 제거 토크의 비교 = Effect of cutting flute length and shape on insertion and removal torque of orthodontic mini-impl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63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length and shape of cutting flut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orthodontic mini-implants. Methods: Three types of mini-implants with different flute patterns (Type A with 2.6 mm long flute, Type B with 3.9 mm long and straight flute, Type C with 3.9 mm long and helical flute) were inserted into the biomechanical test blocks (Sawbones Inc., USA) with 2 mm and 4 mm cortical bone thicknesses to test insertion and removal torque. Results: In 4 mm cortical bone thickness, Type C mini-implants showed highest maximum insertion torque, then Type A and Type B in order. Type C also showed shortest total insertion time and highest maximum removal torque, but Type A and B did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sertion time and removal torque. In 2 mm cortical bone thick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insertion time and maximum removal torque in three types of mini-implants, but maximum insertion torque of Type A was higher than two other Types of mini-implants. Conclusions: Consideration about length and shape of cutting flute of mini-implant is also required when the placement site has thick cortical bone.
      번역하기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length and shape of cutting flut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orthodontic mini-implants. Methods: Three types of mini-implants with different flute patterns (Type A with 2.6 mm long fl...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length and shape of cutting flut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orthodontic mini-implants. Methods: Three types of mini-implants with different flute patterns (Type A with 2.6 mm long flute, Type B with 3.9 mm long and straight flute, Type C with 3.9 mm long and helical flute) were inserted into the biomechanical test blocks (Sawbones Inc., USA) with 2 mm and 4 mm cortical bone thicknesses to test insertion and removal torque. Results: In 4 mm cortical bone thickness, Type C mini-implants showed highest maximum insertion torque, then Type A and Type B in order. Type C also showed shortest total insertion time and highest maximum removal torque, but Type A and B did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sertion time and removal torque. In 2 mm cortical bone thick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insertion time and maximum removal torque in three types of mini-implants, but maximum insertion torque of Type A was higher than two other Types of mini-implants. Conclusions: Consideration about length and shape of cutting flute of mini-implant is also required when the placement site has thick cortical b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elf-tapping screw의 특징적 구조인 cutting flute의 길이 및 형태 변화에 따른 미니 임플랜트의 식립 및 제거 토크를 비교해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외경, 내경, 길이 및 pitch 등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cutting flute의 형태만 다른 세 종류의 미니 임플랜트를 사용하였다(A군; 2.6 mm 길이의 flute가 형성된 그룹, B군; 3.9 mm의 길이이면서 직선형의 flute를 갖는 그룹, C군; 3.9 mm의 길이이면서 나선형의 flute를 갖는 그룹). 골밀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실험용 인공골(Sawbones Inc., USA)을 사용하였으며, 수직력 및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구동식 토크 시험기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총 삽입 시간은 2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세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4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C군 > B군 > A군 순으로 짧은 삽입 시간을 보였다. 최대 삽입 토크는 2 mm 두께의 시편에서는 A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높은 값을 보이나, 4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C군 > A군 > B군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최대 제거 토크는 2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으나, 4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C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피질골이 두꺼운 부위에 미니 임플랜트를 식립할 경우 cutting flute의 길이 및 형태 또한 고려하여 미니 임플랜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self-tapping screw의 특징적 구조인 cutting flute의 길이 및 형태 변화에 따른 미니 임플랜트의 식립 및 제거 토크를 비교해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외경, 내경, 길이 및 pitch 등 다른 조건...

      본 연구는 self-tapping screw의 특징적 구조인 cutting flute의 길이 및 형태 변화에 따른 미니 임플랜트의 식립 및 제거 토크를 비교해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외경, 내경, 길이 및 pitch 등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cutting flute의 형태만 다른 세 종류의 미니 임플랜트를 사용하였다(A군; 2.6 mm 길이의 flute가 형성된 그룹, B군; 3.9 mm의 길이이면서 직선형의 flute를 갖는 그룹, C군; 3.9 mm의 길이이면서 나선형의 flute를 갖는 그룹). 골밀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실험용 인공골(Sawbones Inc., USA)을 사용하였으며, 수직력 및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구동식 토크 시험기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총 삽입 시간은 2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세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4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C군 > B군 > A군 순으로 짧은 삽입 시간을 보였다. 최대 삽입 토크는 2 mm 두께의 시편에서는 A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높은 값을 보이나, 4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C군 > A군 > B군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최대 제거 토크는 2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으나, 4 mm 두께의 피질골 시편에서는 C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피질골이 두꺼운 부위에 미니 임플랜트를 식립할 경우 cutting flute의 길이 및 형태 또한 고려하여 미니 임플랜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영윤, "다양한 교정용 미니 스크류의 인공 피질골 두께에 따른 삽입 토오크와 Pull-out 강도 비교" 대한치과교정학회 37 (37): 5-15, 2007

      2 김종완,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초기 안정성에 대한 원추형태와 길이에 관한 기계역학적 분석" 대한치과교정학회 36 (36): 55-62, 2006

      3 김종완,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이중 피치와 직경의 차이가 삽입 및 제거 토크에 미치는 영향 평가" 대한치과교정학회 36 (36): 275-283, 2006

      4 김종완, "고정원을 위한 micro-implant 매식시drilling 유무에 따른 안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 32 (32): 107-115, 2002

      5 Foley WL, "Uniaxial pullout evaluation of internal screw fixation" 47 : 277-280, 1989

      6 Wikenheiser MA, "Thermal response and torque resistance of five cortical half-pins under simulated insertion technique" 13 : 615-619, 1665

      7 Kim YH, "The study about retention of miniscrews used for intraoral anchorage" 39 : 684-687, 2001

      8 Park HS, "The skeletal cortical anchorage using titanium microscrew implants" 29 : 699-706, 1999

      9 Oh MY, "The clinical use of miniscrew for intraoral anchorage (1)" 38 : 18-21, 2000

      10 Yano S, "Tapered orthodontic miniscrews induce bone-screw cohesion following immediate loading" 28 : 541-546, 2006

      1 송영윤, "다양한 교정용 미니 스크류의 인공 피질골 두께에 따른 삽입 토오크와 Pull-out 강도 비교" 대한치과교정학회 37 (37): 5-15, 2007

      2 김종완,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초기 안정성에 대한 원추형태와 길이에 관한 기계역학적 분석" 대한치과교정학회 36 (36): 55-62, 2006

      3 김종완,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이중 피치와 직경의 차이가 삽입 및 제거 토크에 미치는 영향 평가" 대한치과교정학회 36 (36): 275-283, 2006

      4 김종완, "고정원을 위한 micro-implant 매식시drilling 유무에 따른 안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 32 (32): 107-115, 2002

      5 Foley WL, "Uniaxial pullout evaluation of internal screw fixation" 47 : 277-280, 1989

      6 Wikenheiser MA, "Thermal response and torque resistance of five cortical half-pins under simulated insertion technique" 13 : 615-619, 1665

      7 Kim YH, "The study about retention of miniscrews used for intraoral anchorage" 39 : 684-687, 2001

      8 Park HS, "The skeletal cortical anchorage using titanium microscrew implants" 29 : 699-706, 1999

      9 Oh MY, "The clinical use of miniscrew for intraoral anchorage (1)" 38 : 18-21, 2000

      10 Yano S, "Tapered orthodontic miniscrews induce bone-screw cohesion following immediate loading" 28 : 541-546, 2006

      11 Kuroda S, "Root proximity is a major factor for screw failure in orthodontic anchorage" 131 (131): 68S-73S, 2007

      12 Motoyoshi M, "Recommended placement torque when tightening an orthodontic mini-implant" 17 : 109-114, 2006

      13 Deguchi T, "Quantitative evaluation of cortical bone thickness with computed tomographic scanning for orthodontic implants" 129 : 721.e7-721.e12, 2006

      14 Costa A, "Miniscrews as orthodontic anchorage a preliminary report" 13 : 201-209, 1998

      15 Kanomi R, "Mini-implant for orthodontic anchorage" 31 : 763-767, 1997

      16 Lim SA, "Insertion torque of orthodontic miniscrews according to changes in shape, diameter and length" 78 : 234-240, 2008

      17 Heidemann W, "Influence of different pilot hole sizes on torque measurements and pullout analysis of osteosynthesis screws" 26 : 50-55, 1998

      18 Kim JW, "Histomorphometric and mechanical analysis of the drill-free screw as orthodontic anchorage" 128 : 190-194, 2005

      19 Moon CH,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ccess rate of orthodontic miniscrews placed in the upper and lower posterior buccal region" 78 : 101-106, 2008

      20 Park HS,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success of screw implants used as orthodontic anchorage" 130 : 18-25, 2006

      21 Yerby S, "Effect of cutting flute design on cortical bone screw insertion torque and pullout strength" 15 : 216-221, 2001

      22 Seebeck J, "Effect of cortical thickness and cancellous bone density on the holding strength of internal fixator screws" 22 : 1237-1242, 2004

      23 Koistinen A, "Effect of bone mineral density and amorphous diamond coatings on insertion torque of bone screws" 26 : 5687-5694, 2005

      24 Heidemann W, "Drill free screws: a new form of osteosynthesis screw" 26 : 163-168, 1998

      25 Evans M, "Design and testing of external fixator bone screws" 12 : 457-462, 1990

      26 Kuroda S, "Clinical use of miniscrew implants as orthodontic anchorage: success rate and postoperative discomfort" 131 : 9-15, 2007

      27 You ZH, "Biomechanical properties of small bone screws" 52 : 1293-1302, 1994

      28 Ansell RH, "A study of some factors which affect the strength of screws and their insertion and holding power in bone" 1 : 279-302, 1968

      29 Cheng SJ, "A prospective study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failure of mini-implants used for orthodontic anchorage" 19 : 100-106, 2004

      30 Park HS, "A new proctocol of the sliding mechanics with micro-implant anchorage (MIA)" 30 : 677-685, 2000

      31 Liou EJW, "A computed tomographic image study on the thickness of the infrazygomatic crest of the maxilla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for miniscrew insertion" 131 : 352-35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0.47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55 0.31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