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Gottman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 부부의 심리적 특성 연구 = A Stud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Korean Couples Based on Gottman’s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y
      Korean couples based on Gottman’s scientific theory about marriage. The
      package of questionaries were administered to the five hundred couples and
      four hundred eighty nine couples’data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s:
      1.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ngth of marriage and age
      of the couples,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example, the couples reported
      that they felt more marital dissatisfaction with each other when they lived
      longer together. However,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court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wives’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usbands’.
      2. The husband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on love map and
      meaning of life than the wives. This means that men claim that they know
      better about their wives’needs, and think more important of their marriage
      vice versa.
      3. Eight factors showed the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marital
      dissatisfaction. For example, the problems with love-map, creating shared
      meaning, fondness and admiration, four horsemen(criticism, contempt,
      defensiveness, and stonewalling), soft start-up, accepting influence, and
      compromise factors contributed negatively to the marital satisfaction.
      4. The fondness and admiration factors among the eight variables
      predicted marital dissatisfaction best. Other factors such as spending time
      together, negative communication styles, and accepting spouse influence in order reasonably predicted the marital dissatisfac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y Korean couples based on Gottman’s scientific theory about marriage. The package of questionaries were administered to the five hundred couples and four hundred eighty nine coupl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y
      Korean couples based on Gottman’s scientific theory about marriage. The
      package of questionaries were administered to the five hundred couples and
      four hundred eighty nine couples’data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s:
      1.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ngth of marriage and age
      of the couples,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example, the couples reported
      that they felt more marital dissatisfaction with each other when they lived
      longer together. However,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court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wives’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usbands’.
      2. The husband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on love map and
      meaning of life than the wives. This means that men claim that they know
      better about their wives’needs, and think more important of their marriage
      vice versa.
      3. Eight factors showed the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marital
      dissatisfaction. For example, the problems with love-map, creating shared
      meaning, fondness and admiration, four horsemen(criticism, contempt,
      defensiveness, and stonewalling), soft start-up, accepting influence, and
      compromise factors contributed negatively to the marital satisfaction.
      4. The fondness and admiration factors among the eight variables
      predicted marital dissatisfaction best. Other factors such as spending time
      together, negative communication styles, and accepting spouse influence in order reasonably predicted the marital dissatisfa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순, "효과적인 부부상담을 위한 성숙한 커뮤니케이션 방안 모색 -Satir의 성장모델을 중심으로-" 9 (9): 2004

      2 Gottman, J. M.,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문학사상사 2002

      3 권정혜,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 논문집 1998

      4 한남제, "한국 도시부부의 적응에 관한 일 연구.효성여대 여성문제연구소" 16 : 19-35, 1988

      5 최규련, "한국 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1988

      6 유영주, "한국 도시가족의 부부간의 만족도 연구" 4 : 1978

      7 곽배희, "이혼율 급증, 어떻게 볼 것인가. 동아일보"

      8 김주혜, "의사소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부부들의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9 박영화,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 와 상대방효과" 10 (10): 2005

      10 고재홍, "부부의 유사성과 결혼 만족도간의 관계: 프로파일 유사성 분석" 17 (17): 2003

      1 이경순, "효과적인 부부상담을 위한 성숙한 커뮤니케이션 방안 모색 -Satir의 성장모델을 중심으로-" 9 (9): 2004

      2 Gottman, J. M.,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문학사상사 2002

      3 권정혜,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 논문집 1998

      4 한남제, "한국 도시부부의 적응에 관한 일 연구.효성여대 여성문제연구소" 16 : 19-35, 1988

      5 최규련, "한국 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1988

      6 유영주, "한국 도시가족의 부부간의 만족도 연구" 4 : 1978

      7 곽배희, "이혼율 급증, 어떻게 볼 것인가. 동아일보"

      8 김주혜, "의사소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부부들의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9 박영화,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 와 상대방효과" 10 (10): 2005

      10 고재홍, "부부의 유사성과 결혼 만족도간의 관계: 프로파일 유사성 분석" 17 (17): 2003

      11 최윤화, "부부관계증진 프로그램이 부부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9 (9): 13-25, 2000

      12 공성숙, "부부관계증진 집단 프로그램이 부부의 결혼만족도, 긍정적 감정, 갈등조정방식, 의사소통 악화요인에 미치는 효과" 35 (35): 2005

      13 허윤정,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14 권정혜, "부부 적용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19 (19): 207-218, 2000

      15 송말희, "도시주부의 커뮤니케이션 이해도와 결혼만족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4 (4): 33-47, 1986

      16 이동원, "도시부부의 결혼의 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8

      17 김미숙, "도시 부부의 결혼안정성 및 그 관련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18 최규련, "농촌 부부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73-85, 2002

      19 채규만, "과학적인 부부치료모델과 기법-Gottman이론을 중심으로" 2005

      20 강진경, "결혼지속연수에 따른 한국 부부의 사랑구조의 변화 양상" 19 (19): 2001

      21 이인수, "결혼만족도 척도의 타당화 연구" 4 (4): 1-14, 1986

      22 한영춘, "가정병태와 청소년 문제" 여문각 1979

      23 Gottman, J. M., "Why marriages succeed or fail" New York: Simon and Schister 1994

      24 Lewis, R. A.,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New York: Free Press 1979

      25 Gottman, J. M., "The marriage clinic: A scientifically based marital therapy"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London 1999

      26 Acitelli, L. K., "The importance of similarity and understanding of partner’s marital ideals to relationship satisfaction" 8 : 167-185, 2001

      27 Gottman, J. M., "The Seven Principles for making marrying work" Three River Press 1999

      28 Jacobson, N. S., "Research on couple therapy: What do we know? Where we are going?" 61 : 85-93, 1993

      29 Gottman, J. M., "Psychology and the study of marital process" 49 : 169-197, 1998

      30 Gottman, J. M., "Predicting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riage" 17 : 3-7, 1991

      31 Gottman, J. M., "Predicting marital happiness and stability from newlywed interactions" 60 : 5-22, 1998

      32 Acitelli, L. K., "Perceptions of conflict in the first year of marriage: How important are similarity and understanding" 10 : 5-19, 1993

      33 Snyder, D. K.,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813-823, 1979

      34 Rice, P. F., "Marriage and parenthood" Allyn and Bacon 1979

      35 Lindsey. N., "Marriage and divorce: Degrees of “I do.”An analysis of the ever changing paradigm of divorce" 9 : 265-286, 1998

      36 Gottman, J. M., "Marital interaction: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cademy Press 1979

      37 Jacobson, N. & G., "Marital Therapy" Brunner/Mazel 1979

      38 Bradbury, T. 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in close relationship: A contextual model of marriage as an integrative framework" 54 : 713-721, 1988

      39 공성숙, "Gottman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부부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12 (12): 2004

      40 서선미, "Gottman 부부치료 원리를 활용한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1 Gottman, J. M., "Decade review: Observing marital interaction" 62 : 927-947, 2000

      42 Bowman, M. L., "Coping efforts and marital satisfaction, measuring marital coping and its correlates" 52 (52): 463-474, 1990

      43 Bodenmann, G., "Communication patterns during marital conflict: Acrosscultural replication" 5 : 343-356, 1998

      44 Haukins, J. L., "Association between compan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30 : 647-648, 1968

      45 Jacobson, N. S., "A Component analysis of behavioral marital therapy: One-year follow-up" 23 : 549-555,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therapy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5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