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수와 사관생도 간의 교수역량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Professor and Cadet about Teaching Competency's Recogn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39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의 교수자 즉, 교수의 주된 임무는 교육(teaching)과 연구(research) 그리고 봉사(service) 분야이다. 이러한 교수의 임무 중에서도 교육(teaching) 분야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학령인구 감소 등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대학교육의 질’ 제고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역량의 발전과 전반적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수역량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 교수역량에 대하여 피 교수자가 인식하는 평가 결과는 대학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교수가 지각하는 평가 결과는 교수활동의 개선에 환류되어 피 교수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육군3사관학교 교수와 사관생도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을 비교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3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교수역량 이론, 교수역량 측정 도구, 육군3사관학교 학위교육 제도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교수 및 생도들을 대상으로 '교사 역량' 척도를 활용한 교수 역량 인식을 측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t-검정 및 분산분석 수행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연령과 직급에 따른 교수역량 인식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사관생도의 인구통계학적 요소에서 학년, 학점, 전공에 따라 교수역량 인식의 차이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교수와 생도 간 교수역량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의 준비영역, 강의 진행영역, 강의 정리영역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수들에게 교수 역량 강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사관학교의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관학교의 '교육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번역하기

      대학의 교수자 즉, 교수의 주된 임무는 교육(teaching)과 연구(research) 그리고 봉사(service) 분야이다. 이러한 교수의 임무 중에서도 교육(teaching) 분야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학령인구 감소 등의 ...

      대학의 교수자 즉, 교수의 주된 임무는 교육(teaching)과 연구(research) 그리고 봉사(service) 분야이다. 이러한 교수의 임무 중에서도 교육(teaching) 분야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학령인구 감소 등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대학교육의 질’ 제고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역량의 발전과 전반적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수역량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 교수역량에 대하여 피 교수자가 인식하는 평가 결과는 대학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교수가 지각하는 평가 결과는 교수활동의 개선에 환류되어 피 교수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육군3사관학교 교수와 사관생도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을 비교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3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교수역량 이론, 교수역량 측정 도구, 육군3사관학교 학위교육 제도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교수 및 생도들을 대상으로 '교사 역량' 척도를 활용한 교수 역량 인식을 측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t-검정 및 분산분석 수행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연령과 직급에 따른 교수역량 인식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사관생도의 인구통계학적 요소에서 학년, 학점, 전공에 따라 교수역량 인식의 차이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교수와 생도 간 교수역량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의 준비영역, 강의 진행영역, 강의 정리영역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수들에게 교수 역량 강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사관학교의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관학교의 '교육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성희 ; 나일주, "초등 교수역량요소 도출 및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간 교수역량 인식 비교"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343-368, 2009

      2 장명희,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3 육군3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50년사" 육군3사관학교 2018

      4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5 윤필현, "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CBHRM)체제 개발 - 종합유선 케이블TV 기업을 대상으로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67-194, 2008

      6 이정열 ; 정대규, "병력감축에 관한 육군 간부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5 (5): 219-248, 2020

      7 권영성,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8 국방부 인사복지실, "군 교수 인사관리훈령"

      9 최미순, "교수자와 피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20 (20): 1353-1373, 2020

      10 서금택 ; 천미숙, "교수자 역량 진단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 분석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71-482, 2018

      1 진성희 ; 나일주, "초등 교수역량요소 도출 및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간 교수역량 인식 비교"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343-368, 2009

      2 장명희,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3 육군3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50년사" 육군3사관학교 2018

      4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5 윤필현, "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CBHRM)체제 개발 - 종합유선 케이블TV 기업을 대상으로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67-194, 2008

      6 이정열 ; 정대규, "병력감축에 관한 육군 간부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5 (5): 219-248, 2020

      7 권영성,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8 국방부 인사복지실, "군 교수 인사관리훈령"

      9 최미순, "교수자와 피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20 (20): 1353-1373, 2020

      10 서금택 ; 천미숙, "교수자 역량 진단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 분석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71-482, 2018

      11 이정열, "교수와 사관생도 간의 교수역량 인식 차이와 커뮤니케이션 기대위반의 영향에 관한 연구" 충성대연구소 2021

      12 최미순 ; 오민아 ; 조혜영,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ies)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교수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01-1321, 2019

      13 양은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 :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4 육군3사관학교, "교수부 행정예규 600" 육군3사관학교 2021

      15 이현영, "공과대학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과 교수역량,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강의평가 간의 관계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6 Balam, E., "Studentratings of college teaching: A comparison of faculty and their students" 35 (35): 209-221, 2010

      17 Van Buren, M, "State of the Industry Report 2001" American Society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001

      18 Dickinson, L, "Self-instruction in language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9 Moreno-Murcia, J. A., "Questionnaire evaluating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Evalua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4 (4): 54-61, 2015

      20 McCormick, A. C., "Higher education quality through the lens of student engagement: Lessons from NSSE" 2013

      21 Leary, H.,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utor background, tutor training, and student learning : A problem-based learning meta-analysis" 7 (7): 40-66, 2013

      22 Feldman, K. A, "Effective college teaching from students and faculty's view: Matched or mismatched priorities?" 28 : 291-344, 1988

      23 Dubois, D. D., "Competency-based human management" Davies-Black Publishing 2004

      24 Kuzmanovic, M., "A Conjoint-based approach to student evaluations of teaching performance" 40 (40): 4083-4089, 2013

      25 육군3사관학교, "2021년도 전공학과 소개서(생도 58기)" 육군3사관학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3 0.2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