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병역제도는 창군 이래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제도의 급격한 변화 없이 경로의존성을 유지한 채 진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 이후부터 각 행정부별 제도의 비교·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43985
2022
Korean
병역제도 ; 경로의존성 ; 징병제 ; 모병제 ; military service system ; path dependence ; conscription ; recruitment
KCI등재
학술저널
135-162(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 병역제도는 창군 이래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제도의 급격한 변화 없이 경로의존성을 유지한 채 진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 이후부터 각 행정부별 제도의 비교·검...
대한민국 병역제도는 창군 이래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제도의 급격한 변화 없이 경로의존성을 유지한 채 진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 이후부터 각 행정부별 제도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역사적 맥락 속에서 변화하는 병역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한민국 병역제도는 여러 결정요인에 의해 변화를 거듭하여 왔으나, 제도의 관성을 유지하려는 자기강화적 속성에 의해 경로의존적으로 제도가 유지 또는 진화되어 왔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도의 급격한 변화는 결절된 균형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발생한다. 따라서, 인구감소나 통일과 같은 병역제도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하는 다가올 외부 충격을 미리 예측하고 경로 이탈 또는 창조에 관한 정책을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지태, "행정법신론" 신영사 1997
2 김두성, "한국병역제도론" 제일사 2003
3 이태우, "한국군의 모병제 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병역유형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국민대 2014
4 이웅, "한국군 병역제도 유형에서의 인력활용 효율성 향상 방안 연구 :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개발학회 17 (17): 1-32, 2017
5 김연수, "한국 행정개혁의 경로의존성 분석 :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6 허남식, "한국 정부조직 개편의 경로의존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개발학회 20 (20): 227-259, 2020
7 김신숙, "한국 병역제도의 변화 연구 : 대체복무정책 변동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6
8 김두성, "한국 병역제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2
9 권희면, "통일한국의 병역제도 구상" 38 : 165-186, 1997
1 유지태, "행정법신론" 신영사 1997
2 김두성, "한국병역제도론" 제일사 2003
3 이태우, "한국군의 모병제 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병역유형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국민대 2014
4 이웅, "한국군 병역제도 유형에서의 인력활용 효율성 향상 방안 연구 :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개발학회 17 (17): 1-32, 2017
5 김연수, "한국 행정개혁의 경로의존성 분석 :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6 허남식, "한국 정부조직 개편의 경로의존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개발학회 20 (20): 227-259, 2020
7 김신숙, "한국 병역제도의 변화 연구 : 대체복무정책 변동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6
8 김두성, "한국 병역제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2
9 권희면, "통일한국의 병역제도 구상" 38 : 165-186, 1997
10 김창주, "통일한국의 병역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4
11 하혜수, "지방분권정책의 경로의존성 연구" 2007
12 하태수, "제도변화의 형태 : 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39 (39): 113-137, 2001
13 정의창, "정부조직변화의 경로의존성"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1 (11): 61-96, 2005
14 김상연, "전작권·국방개혁 2020 수술대에" 서울신문
15 문화체육관광부, "이명박정부의 국정백서(원칙있는 대북 통일 정책과 선진안보)" 2013
16 이종훈, "이명박, 모병제 도입 검토할 필요" 동아일보
17 이창헌, "이명박 정부시대의 남북관계: 분석과 평가 - ‘상생과 공영의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정치정보학회 16 (16): 225-266, 2013
18 윤경환, "이대녀도 강제로 군대 가는 세상이 올 수 있는가" 서울경제
19 김홍환, "읍면동 정책에 대한 경로의존성 분석" 서울행정학회 29 (29): 203-230, 2018
20 이민화, "원자력 정책의 신제도주의적 특성 연구 : 후쿠시마 사고 전후 국가별 원자력 정책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21 김건위 ; 현승현 ; 최인수, "우리나라 인감증명제도의 변화와 경로의존성 분석: 직접증명방식에서 간접증명방식의 전환"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37-62, 2016
22 김신숙,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메디치 2020
23 SBS뉴스, "안보정책 불안정...군 장병과 일반인 인식에 큰 차이"
24 하연섭, "신제도주의의최근경향:이론적 자기 혁신과 수렴" 한국행정학회 36 (36): 339-359, 2002
25 윤해라, "설익은 남녀 군복무 대선 공약에 젠더갈등 우려" 뉴시스
26 이상목, "병역제도의 전환 가능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 한국규제학회 14 (14): 133-162, 2005
27 김용탁, "병역제도와 실무" 계명사 1977
28 김광식, "병역제도 전환사례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007
29 안석기, "병역자원부족 시대의 병역제도 쟁점" 3-4, 2020
30 "병무청 홈페이지"
31 이웅, "미래 병역제도의 합리적 대안 모색에 관한 연구 : 의무병제와 지원병제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2016
32 한겨레, "문재인부터 남경필까지...한 눈에 쏙 들어오는 군·병역 공약"
33 유용원, "모병제 군 복무 단축 진짜 가능할까?" 주간조선
34 김태은, "두 가지 환류, 그리고 내생적 제도변화: 종합부동산세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27-56, 2011
35 김혜선, "노무현은 왜 모병제 카드를 꺼냈을까" 월요신문
36 SBS뉴스, "노대통령 ‘프랑스군을 배워라"
37 이현지, "국방인력 유형별 합리적 활용기준연구" 2020
38 한국갤럽리포트, "경제전망, 군대관련 인식, 모병제·여성 징집 등 병역제도"
39 김진수 ; 서순탁, "경로의존성 관점에서 본 세종시정책의 변동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5-29, 2014
40 Haltiner, Karl W., "The Definite End of the Mass Army in Weste rn Europe?" 25 (25): 7-36, 1988
41 Mahoney, James, "Path Dependence in Historical Sociology" 29 : 507-548, 2000
42 North, Douglass C.,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s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3 Kransner, Stephen D., "Approaches to the State: Alternative Conc eptions and Historical Dynamics" 16 (16): 223-246, 1984
44 나태종, "21세기 한국의 병역제도 발전방안 연구 : 안보환경 변화와 외국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45 정주성, "21세기 병무행정 비전 및 정책방향" 2000
46 조관호, "2020 국방인력운영 분석과 전망(Ⅰ)" 2020
6·25전쟁기 낙동강 방어선의 형성과 성격: 영덕-낙동강 방어선을 중심으로
한국군 군사영어 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교재 개선방안 연구
전역 육군 장교의 군대 폭력 경험이 대군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 배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2 | 0.12 | 0.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2 | 0.13 | 0.278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