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을 위한 복수액 분석 = Ascitic Fluid Analysis for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cy-Related and Nonmalignant Asci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3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은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계측치들이 감별을 위하여 사용되어져 왔는데 어느 것도 단독 사용시 두 군을 완벽히 구분짓지는 못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악성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에 있어서 여러 계측치들을 비교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계측치를 찾고 이 결과를 토대로 악성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구분에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진단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복수를 주소로 내원하여 복수 천자를 시행한 80명을 대상으로 이들 환자들을 악성 복수 환자군과 비악성 복수 환자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악성 복수군은 다시 암종증이 동반된 21명의 환자와 암종증의 증거가 없는 6명의 환자로 구분하였고 비악성 복수군은 다시 52명의 간경변증 환자군과, 1명의 간경변증이 없는 군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환자에게서 복수와 혈액에서 동시에 검체가 얻어졌고 계측치로 복수액의 콜레스테롤, CEA, LDH, 단백치, 세포진 검사, 복수액과 혈청의 LDH비, 단백비, 혈청-복수액 알부민 차를 구하였고, 각 계측치의 평균을 구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는데, 모든 계측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저자는 각 계측치마다 각 측정치를 적용하여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즉 가장 높은 진단 능력을 나타내는 측정치를 절단치로 정한 후 각 계측치에 적용하여 진 양성, 진 음성, 가 양성, 가 음성으로 분류한 후 민감도, 특이도, 양성 기대도, 음성 기대도, 진단 능력을 산출하였고, 연구된 계측치 중 민감도가 높은 계측치인 복수액의 콜레스테롤을 선별검사의 단계에 적용하고, 특이도가 높은 계측치인 세포진 검사와 복수와 혈청의 단백비를 악성 복수로 분류된 군에 적용하여 악성 복수를 확진하는 2단계 진단 과정을 80명이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복수액 분석 결과 복수액의 콜레스테롤치가(절단치: 30㎎/㎗) 93%의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고, 복수액의 세포진 검사와 복수액과 혈청의 단백비가(절단치: 0.5) 100%, 98%의 가장 높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2) 2단계의 진단과정을 통하여 복강내 암종 전이가 확인된 21명 모두 악성 복수군으로 분류되었다.
      3) 광범위한 간전이가 있는 악성 복수 모두 비악성군으로 분류되었다.
      4) 간 경변증으로 인한 52례에서 모두 비악성군으로 분류되었다.
      5) 전체 진단 과정을 통해 총 27명의 악성 복수 중 81.5%인 22명의 악성 복수군으로 진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들이 제시한 진단과정은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양상, 방사선학적 검사, 기타 검사 등을 토대로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은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계측치들이 감별을 위하여 사용되어져 왔는데 어느 것도 단독 사용시 두 군을 완벽히 구분짓...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은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계측치들이 감별을 위하여 사용되어져 왔는데 어느 것도 단독 사용시 두 군을 완벽히 구분짓지는 못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악성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에 있어서 여러 계측치들을 비교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계측치를 찾고 이 결과를 토대로 악성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구분에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진단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복수를 주소로 내원하여 복수 천자를 시행한 80명을 대상으로 이들 환자들을 악성 복수 환자군과 비악성 복수 환자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악성 복수군은 다시 암종증이 동반된 21명의 환자와 암종증의 증거가 없는 6명의 환자로 구분하였고 비악성 복수군은 다시 52명의 간경변증 환자군과, 1명의 간경변증이 없는 군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환자에게서 복수와 혈액에서 동시에 검체가 얻어졌고 계측치로 복수액의 콜레스테롤, CEA, LDH, 단백치, 세포진 검사, 복수액과 혈청의 LDH비, 단백비, 혈청-복수액 알부민 차를 구하였고, 각 계측치의 평균을 구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는데, 모든 계측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저자는 각 계측치마다 각 측정치를 적용하여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즉 가장 높은 진단 능력을 나타내는 측정치를 절단치로 정한 후 각 계측치에 적용하여 진 양성, 진 음성, 가 양성, 가 음성으로 분류한 후 민감도, 특이도, 양성 기대도, 음성 기대도, 진단 능력을 산출하였고, 연구된 계측치 중 민감도가 높은 계측치인 복수액의 콜레스테롤을 선별검사의 단계에 적용하고, 특이도가 높은 계측치인 세포진 검사와 복수와 혈청의 단백비를 악성 복수로 분류된 군에 적용하여 악성 복수를 확진하는 2단계 진단 과정을 80명이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복수액 분석 결과 복수액의 콜레스테롤치가(절단치: 30㎎/㎗) 93%의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고, 복수액의 세포진 검사와 복수액과 혈청의 단백비가(절단치: 0.5) 100%, 98%의 가장 높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2) 2단계의 진단과정을 통하여 복강내 암종 전이가 확인된 21명 모두 악성 복수군으로 분류되었다.
      3) 광범위한 간전이가 있는 악성 복수 모두 비악성군으로 분류되었다.
      4) 간 경변증으로 인한 52례에서 모두 비악성군으로 분류되었다.
      5) 전체 진단 과정을 통해 총 27명의 악성 복수 중 81.5%인 22명의 악성 복수군으로 진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들이 제시한 진단과정은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양상, 방사선학적 검사, 기타 검사 등을 토대로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malignancy-related ascites(MRA) and non-malignant ascites (NMA) is important for furthe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urposes. Although many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none has provided a complete distinction between MRA and NMA. We investigated several ascitic fluid parameters to determine the differential power, and to differentiate malignant-related from nonmalignant-related ascites with a sequence of sensitive parameters followed by sepcific parameters.
      For the present study, 80 patients with ascit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MAR and NMA. The MRA group was consisted of 27 patients with proven malignancy by image study, biopsy, and follow up; 21 of these patients had peritoneal carcinomatosis, but the remaining 6 showed no evidence of peritoneal carcinomatosis. The NMA group was consisted of 53 patients with no evidence of malignancy; among these patients, one had SLE, and others had liver cirrhosis. The samples of blood and ascites were obtained simultaneously, and then the levels of ascites cholesterol, CEA, protein, and LDH, cytology, albumin gradient, ascites/serum concen-tration ratios of LDH(LDH A/S), and ascites/serum concentration ratios of protein(protein A/S) were measured.
      Applying cut-off limits for determined parameters, we estimated the diagnostic efficacy of each parameter. Among the eight parameters investigated, ascites fluid cholesterol yielded the best sensitive value of 93%(cut-off value 30mg/dl), and cytologic examination and the protein A/S(cut-off value 0.5) showed the most specific value of 100% and 96%,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diagnostic sequence with cholesterol as a sensitive parameter followed by the combination of cytologic examination and protein A/S as specific parameters, was tested in 80 patients. This diagnostic sequence identified 81.5% of patients with malignancy, and all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were classified as malignancy-related ascites.
      In spite of many limitations, this proposed diagnostic sequence may permit a cost-effective and simple differentiation of malignacy-related ascites from nonmalignant ascites.
      번역하기

      The differentiation between malignancy-related ascites(MRA) and non-malignant ascites (NMA) is important for furthe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urposes. Although many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none has provided a complete distinction between MRA ...

      The differentiation between malignancy-related ascites(MRA) and non-malignant ascites (NMA) is important for furthe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urposes. Although many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none has provided a complete distinction between MRA and NMA. We investigated several ascitic fluid parameters to determine the differential power, and to differentiate malignant-related from nonmalignant-related ascites with a sequence of sensitive parameters followed by sepcific parameters.
      For the present study, 80 patients with ascit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MAR and NMA. The MRA group was consisted of 27 patients with proven malignancy by image study, biopsy, and follow up; 21 of these patients had peritoneal carcinomatosis, but the remaining 6 showed no evidence of peritoneal carcinomatosis. The NMA group was consisted of 53 patients with no evidence of malignancy; among these patients, one had SLE, and others had liver cirrhosis. The samples of blood and ascites were obtained simultaneously, and then the levels of ascites cholesterol, CEA, protein, and LDH, cytology, albumin gradient, ascites/serum concen-tration ratios of LDH(LDH A/S), and ascites/serum concentration ratios of protein(protein A/S) were measured.
      Applying cut-off limits for determined parameters, we estimated the diagnostic efficacy of each parameter. Among the eight parameters investigated, ascites fluid cholesterol yielded the best sensitive value of 93%(cut-off value 30mg/dl), and cytologic examination and the protein A/S(cut-off value 0.5) showed the most specific value of 100% and 96%,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diagnostic sequence with cholesterol as a sensitive parameter followed by the combination of cytologic examination and protein A/S as specific parameters, was tested in 80 patients. This diagnostic sequence identified 81.5% of patients with malignancy, and all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were classified as malignancy-related ascites.
      In spite of many limitations, this proposed diagnostic sequence may permit a cost-effective and simple differentiation of malignacy-related ascites from nonmalignant ascit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3 0.0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