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담헌 홍대용의 「의산문답」 연구 -문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isanmundap」 by Hong, Dae-y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03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on「Uisanmundap(The catechetic method in the mountain Uimuryeo)」by Hong Dae-yong. 「Uisanmundap」 is constructed by the catechism of Heo-ja提Sil-ong about the difference of an animal and a human, the shape of celestial bodies, and center of the world. The most important is Heo-ja’s skeptical questions about the Confucian ideas on the Sinocentrism and Sil-ong answer about it. Heo-ja is confucian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eo-ja enlightened about advanced ideas by Sil-ong in the mountain Uimuryeo. There are many symbols in this text. ‘Heo-ja提Sil-ong’ is a pair of character, double. ‘The stone gate’ in the mountain Uimuryeo, is the entry to the symbolic place of enlightenment. The Sil-ong’s nest is the symbolic place of enlightenment. These points are in harmony with the narrative situation. The contents of this text is Heo-ja’s enlightenment through Sil-ong’s teach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is the breaking from the Sinocentrism. This is the process of Heo-ja’s intelligent growth.
      번역하기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on「Uisanmundap(The catechetic method in the mountain Uimuryeo)」by Hong Dae-yong. 「Uisanmundap」 is constructed by the catechism of Heo-ja提Sil-ong about the difference of an animal and a human, the shape of cele...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on「Uisanmundap(The catechetic method in the mountain Uimuryeo)」by Hong Dae-yong. 「Uisanmundap」 is constructed by the catechism of Heo-ja提Sil-ong about the difference of an animal and a human, the shape of celestial bodies, and center of the world. The most important is Heo-ja’s skeptical questions about the Confucian ideas on the Sinocentrism and Sil-ong answer about it. Heo-ja is confucian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eo-ja enlightened about advanced ideas by Sil-ong in the mountain Uimuryeo. There are many symbols in this text. ‘Heo-ja提Sil-ong’ is a pair of character, double. ‘The stone gate’ in the mountain Uimuryeo, is the entry to the symbolic place of enlightenment. The Sil-ong’s nest is the symbolic place of enlightenment. These points are in harmony with the narrative situation. The contents of this text is Heo-ja’s enlightenment through Sil-ong’s teach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is the breaking from the Sinocentrism. This is the process of Heo-ja’s intelligent grow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길진숙, "홍대용의 의산문답(山問答) 읽기와 문학 교육적 성찰" 우리어문학회 (29) : 165-199, 2007

      2 박성래, "홍대용의 과학사상" 23 : 1981

      3 김태준, "홍대용과 그의 시대" 일지사 1982

      4 김태준, "홍대용 평전" 민음사 1987

      5 노먼 프리드먼, "현대소설의 이론" 예림기획 1997

      6 현길언, "한국현대소설의 모티프 연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31 : 1997

      7 최현주, "한국성장소설의 세계" 박이정 2002

      8 계승범,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 문제" 한국사연구회 (159) : 265-294, 2012

      9 조동일, "조선후기 인성론의 혁신에 대한 문학의 반응" 1991

      10 김인규, "조선시대 최고의 과학사상가, 홍대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1 길진숙, "홍대용의 의산문답(山問答) 읽기와 문학 교육적 성찰" 우리어문학회 (29) : 165-199, 2007

      2 박성래, "홍대용의 과학사상" 23 : 1981

      3 김태준, "홍대용과 그의 시대" 일지사 1982

      4 김태준, "홍대용 평전" 민음사 1987

      5 노먼 프리드먼, "현대소설의 이론" 예림기획 1997

      6 현길언, "한국현대소설의 모티프 연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31 : 1997

      7 최현주, "한국성장소설의 세계" 박이정 2002

      8 계승범,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 문제" 한국사연구회 (159) : 265-294, 2012

      9 조동일, "조선후기 인성론의 혁신에 대한 문학의 반응" 1991

      10 김인규, "조선시대 최고의 과학사상가, 홍대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11 홍대용, "조선시대 최고의 과학사상가, 홍대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12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002

      13 홍대용, "임하경륜 의산문답" 건국대학교출판부 1984

      14 홍대용, "임하경륜 의산문답" 건국대학교출판부 1999

      15 홍대용, "을병연행록 1-2" 경진 2012

      16 에릭 에크로이드, "심층심리학적 꿈 상징 사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17 홍대용, "실학총서 4" 탐구당 1981

      18 나병철,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8

      19 제라르 즈네뜨,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20 허태용, "북학론에서 도출되는새로운 역사해석의 가능성" 한국역사민속학회 (43) : 203-229, 2013

      21 박희병, "범애와 평등-홍대용의 사회사상" 돌베개 2013

      22 윤주필, "방외인문학의 전통(2): 한문고전을 통해 본 방외 방외인 우언의 연원" 연민학회 1996

      23 임종태, "무한우주의 우화 - 홍대용의 과학과 문명론" 역사문제연구소 (71) : 261-285, 2005

      24 김정호, "동양정치사상사"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6

      25 홍대용, "담헌서" 민족문화추진회 2000

      26 홍대용, "국역 홍대용 담헌서 2" 한국학술정보 2008

      27 홍대용, "국역 담헌서 4"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74

      28 이상은, "국역 담헌서 1" 민족문화추진회 1974

      29 홍대용, "국역 담헌서 1"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74

      30 이강엽, "고소설의 ‘짝패(double)’ 인물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26) : 333-361, 2008

      31 박희병, "洪大容 硏究의 몇 가지 爭點에 대한 檢討" 진단학회 1995

      32 윤주필, "朝鮮朝 寓言小說의 反文明性: 「의산문답」의 허구적 장치를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12 : 1998

      33 조규익, "使行路程으로서의 登州, 그 心象空間的 性格과 意味"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443-466, 2010

      34 윤주필, "26史에 나타난 方外人傳의 전개 양상(1): 『史記』ㆍ『漢書』의 선례" 중국어문학연구회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