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order to collect data essential to improving physic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n Cheju Province, I have made a research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practical use of the sports facilities, and according to questionaires and statistics found ou...
In order to collect data essential to improving physic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n Cheju Province, I have made a research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practical use of the sports facilities, and according to questionaires and statistics found out the following facts :
1. The playgrounds are larger in size than the standard one.
2. Most schools are not furnished with even half of the required sports facilities and goods.
3. The curricula of physical education are successfully carried on.
4. Circuit training. a fundamental physical exercise must be reinforced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5. Children in Cheju Province fall far behind a notional average child in their physical constitution and strength.
It is concluded that sufficient sports facilities and goods should be furnished so that every child may utilize them freely and willingly and accordingly improve his growth in both his physical constitution and strength.
Ⅰ 서 론
1. 연구의 중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4. 연구의 방법
5. 연구기간
Ⅱ 체 육 시 설
1. 학교 체육시설의 필요성
2. 체육 시설의 기준
3. 체육 시설 현황
1) 운동장 넓이
2) 체육시설 현황
4.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관리
Ⅲ 체 육 과 운 영
1. 체육교육의 중요성
2. 새로운 교육과정의 의의
3. 개정의 중요성
4.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요성
5. 체육시간 운영현황과 시간배당
6. 체육시간 운영현황
1) 체육시간 배당현황
2) 국민학교 체육시간 운영의 실태
3) 전체 학생의 체육활동 현황
7. 체육시간 운영의 효과적인 방안
Ⅳ 체육시설 활용결과
1. 제주도 학생 체격상황
1) 전국 시도 평균과 제주도 평균과의 대비
2) 제주도내 시·군별 체격 비교
3) 제주도내 지역별 체격 비교
2. 제주도 학생 체력 상황
1) 제주도내 시·군별 학생 체력 비교
2) 제주도내 지역별 학생 체력 비교
3) 신체충실지수 및 체력급수 비교
Ⅴ 요약 및 결론
1. 요 약
1) 체 육 시 설
2) 체육과 운영
2.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