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적용하여 익선동 도시형한옥마을의 지역자원을 활용하 는 방안으로서 실시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굴한 지역의 역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적용하여 익선동 도시형한옥마을의 지역자원을 활용하 는 방안으로서 실시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굴한 지역의 역사...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적용하여 익선동 도시형한옥마을의 지역자원을 활용하
는 방안으로서 실시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굴한 지역의 역사를 기
록하는 것과 본 프로젝트의 의의 및 한계점을 살피는데 있다. 하여 향후 한국에 적용 가능한 에코
뮤지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데 초석이 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4년 10월 10일부터 24일까지 익선동 166번지 도시형한옥마을 일대와 주변의 문
화자원을 범위로 진행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는
근대의 기억을 간직한 도시형한옥과 익선동 사람들의 삶을 보여주고자 주민들의 생업 공간을 개방
하여 진행하였다. 이번 전시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에 의의를 두어 도시
형한옥이 생성될 무렵인 근대의 기억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다행히 한옥과 골목이 원형을 간직하고
있었기에 미약하게나마 익선동에 남아있는 도시형한옥, 문학, 국악에 관한 근대의 기억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방과 전쟁의 시기가 지나고 익선동은 오진암을 비롯한 요정문화를 꽃 피우면서 요정
정치의 중심에 선다. 요정정치의 몰락 이후 개발과 보전의 기로에 선 현재 익선동에 대해서도 고민
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발굴, 고민을 전시에 담아내려고 했으며 그 과정을 주민과 함께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와 실험에 대한 기록이다.
아직도 끝나지 않은 개발과 보존의 논쟁과 싸움 가운데서 완성되지 못한 연구와 조사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앞으로도 생겨날 도시 안의 마을박물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또한 마을
박물관이 어느 누구의 욕심이나 자랑으로 채워지지 않고 지역 공동체의 과거와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비추어보는 거울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수, "흙" 신원문화사 2006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3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4 송방송, "한겨레음악인대사전" 보고사 2012
5 "카페 서울 영화제작노트"
6 "익선동 마을박물관"
7 강성원, "역사환경으로서의 도시조직 변화 연구: 종로구 익선동 도시환경정비구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06
8 배은석,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활용한 지역의 유산보존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5) : 103-135, 2014
9 "서울지명사전"
10 尹敏炅, "서울시 1930年 前後의 街路와 韓屋住宅의 特性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종로구 익선동, 권농동, 봉익동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1
1 이광수, "흙" 신원문화사 2006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3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4 송방송, "한겨레음악인대사전" 보고사 2012
5 "카페 서울 영화제작노트"
6 "익선동 마을박물관"
7 강성원, "역사환경으로서의 도시조직 변화 연구: 종로구 익선동 도시환경정비구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06
8 배은석,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활용한 지역의 유산보존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5) : 103-135, 2014
9 "서울지명사전"
10 尹敏炅, "서울시 1930年 前後의 街路와 韓屋住宅의 特性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종로구 익선동, 권농동, 봉익동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1
11 이보형, "뿌리깊은나무" 한국브리태니커 1977
12 김억, "봄의 노래" 작가문화 2004
13 배은석, "박물관 고을 영월의 지역자원 현황과영월 에코뮤지엄 가능성"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3) : 91-116, 2013
14 배은석, "문화유산경영 문화콘텐츠기획 에코뮤지엄: 지속가능한 농촌 희망 프로젝트" 북코리아 2013
15 오하라 가즈오키, "마을은 보물로 가득차 있다" 아르케 2008
16 김경민, "리씽킹 서울: 도시, 과거에서 미래를 보다" 서해문집 2013
17 최난경, "동편제와 서편제 연구-박녹주와 박초월의 <흥보가>를 중심으로-" 집문당 2006
18 "동명사"
19 송인호, "도시형 전통주거의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 가회동 개량한옥지구를 중심으로" 15 : 1988
20 박세현, "김유정의 소설세계" 국학자료원 1998
21 "건축도시연구지원센터"
22 Peter Davis, "Ecomuseums A Sence Of Place" Continuum 2011
제 5세대는 기능분별화·협동하는 박물관이다 -박물관·미술관이 있는 ‘길의 역’을 사례로 들며-
第五世代は機能別分化·協?する博物館である -博物館·美術館がある「道の?」を事例にして-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8 | 0.18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