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庸』의 天人心性合一 修養論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용의 내용을 중심으로 天人心性合一의 修養論을 다루었다. 먼저 天人合一에 관하여 보면, 중용에서는 天道의 의미를 中庸, 誠, 性, 聖, 達道, 道心 등으로 보고 있고, 人道의 의미를 中和, 誠之, 俗, 道, 敎, 達德, 人心 등으로 보고 있다. 천도는 우주의 생성, 운동 법칙이며 이러한 천도는 사람에게 性을 부여한다. 이러한 천도를 이루기 위해서 인간이 마땅히 행해야만 하는 것이 인도이며, 사람이 인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도와 천도는 합일된다. 다음으로, 心性合一에 관하여 보면, 이는 中和의 개념을 통하여 설명되는데, 사람이 마음을 바로 하여 情을 올바로 발휘하는 것이 곧 性과 합일이 됨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천인심성합일이 이루어지면 나타나는 그 공효는 수신이 기본이 된 九經으로 온천하가 다스려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천도와 인도의 관계 및 심과 성의 관계는 오달도 삼달덕 등 性과 道, 敎와의 관계로 설명되고, 구체적으로는 修身-事親-知人-知天의 관계로 설명되며 또한 道心과 人心, 中和를 통한 심성의 합일로 설명된다. 그런데 천도와 인도의 합일, 심과 성의 합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람의 수양을 통하여 가능하다. 그 방법은 存心과 致知로 대표될 수 있고, 또한 愼獨과 戒愼恐懼를 통한 時中, 忠恕와 擇善固執과, 心性合一의 방법으로 致中和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중용의 내용을 중심으로 天人心性合一의 修養論을 다루었다. 먼저 天人合一에 관하여 보면, 중용에서는 天道의 의미를 中庸, 誠, 性, 聖, 達道, 道心 등으로 보고 있고, 人道의...

      본 연구에서는 중용의 내용을 중심으로 天人心性合一의 修養論을 다루었다. 먼저 天人合一에 관하여 보면, 중용에서는 天道의 의미를 中庸, 誠, 性, 聖, 達道, 道心 등으로 보고 있고, 人道의 의미를 中和, 誠之, 俗, 道, 敎, 達德, 人心 등으로 보고 있다. 천도는 우주의 생성, 운동 법칙이며 이러한 천도는 사람에게 性을 부여한다. 이러한 천도를 이루기 위해서 인간이 마땅히 행해야만 하는 것이 인도이며, 사람이 인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도와 천도는 합일된다. 다음으로, 心性合一에 관하여 보면, 이는 中和의 개념을 통하여 설명되는데, 사람이 마음을 바로 하여 情을 올바로 발휘하는 것이 곧 性과 합일이 됨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천인심성합일이 이루어지면 나타나는 그 공효는 수신이 기본이 된 九經으로 온천하가 다스려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천도와 인도의 관계 및 심과 성의 관계는 오달도 삼달덕 등 性과 道, 敎와의 관계로 설명되고, 구체적으로는 修身-事親-知人-知天의 관계로 설명되며 또한 道心과 人心, 中和를 통한 심성의 합일로 설명된다. 그런데 천도와 인도의 합일, 심과 성의 합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람의 수양을 통하여 가능하다. 그 방법은 存心과 致知로 대표될 수 있고, 또한 愼獨과 戒愼恐懼를 통한 時中, 忠恕와 擇善固執과, 心性合一의 방법으로 致中和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論) fo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Mind and Nature(天人心性合一) i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In the unity of heaven and Man, the meaning of the way of Heaven are doctrine of the Mean, sincerity, Nature, Sage, five ways forward, mind of the way, and the meaning of the way of man are thinking to be Cheng(誠之), secularity, the way, education, three methods of excelling, the way of man. The way of Heaven(天道) i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give the original Nature to Mankind. The way of Man(人道) is what man should do to accomplish the way of Heaven, and in that process,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ccomplished. The unity of the mand and natur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mind's equilibrium-harmony. When the emotion arise rightly by rectifying mind, the mind unify with the original nature. Afte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nd the unity of mind and nature, the whole world can governed by nine guidelines(九經) on the base of self-cultivation.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get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nd the unity of mind and nature. These are represented by the preserving mind and extending knowledge. In that methods, right timing by watchful when alone, loyalty-sympathetic understanding, selecting Goodness and holding on to it firmly, and fulfilling the mind's equilibrium-harmony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論) fo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Mind and Nature(天人心性合一) i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In the unity of heaven and Man, the meaning of the way of Heaven are doc...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論) fo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Mind and Nature(天人心性合一) i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In the unity of heaven and Man, the meaning of the way of Heaven are doctrine of the Mean, sincerity, Nature, Sage, five ways forward, mind of the way, and the meaning of the way of man are thinking to be Cheng(誠之), secularity, the way, education, three methods of excelling, the way of man. The way of Heaven(天道) i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give the original Nature to Mankind. The way of Man(人道) is what man should do to accomplish the way of Heaven, and in that process,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ccomplished. The unity of the mand and natur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mind's equilibrium-harmony. When the emotion arise rightly by rectifying mind, the mind unify with the original nature. Afte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nd the unity of mind and nature, the whole world can governed by nine guidelines(九經) on the base of self-cultivation.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get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nd the unity of mind and nature. These are represented by the preserving mind and extending knowledge. In that methods, right timing by watchful when alone, loyalty-sympathetic understanding, selecting Goodness and holding on to it firmly, and fulfilling the mind's equilibrium-harmon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I. 序論
      • II. 天人心性合一의 要素와 原理
      • 1. 中庸의 의미
      • 2. 體用으로서의 誠과 道
      • 논문 요약
      • I. 序論
      • II. 天人心性合一의 要素와 原理
      • 1. 中庸의 의미
      • 2. 體用으로서의 誠과 道
      • 3. 中和의 心性合一
      • III. 天人心性合一의 內容
      • 1. 道의 體用으로서의 天人
      • 2. 性․道․敎의 관계
      • 3. 修身․事親․知人․知天
      • IV. 修養을 통한 合一과 그 功效
      • 1. 存心과 致知
      • 2. 愼獨을 통한 時中
      • 3. 忠恕와 擇善固執
      • 4. 致中和
      • 5. 天人心性合一의 功效
      • V.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方旭东, "超越“忠恕”之道—≪中庸≫“道不远人”章义疏」, 上海师范大学哲学系" (1) : 29-34, 2008

      3 曾小艳, "试论《中庸》由“诚”而致“天人合一”的思想观」, 四川大学文学与新闻学院;四川·成都" (7) : 167-168, 2007

      4 李卫美, "论≪中庸≫之“诚”" (2) : 9-12, 2008

      5 이철승, "船山의 중용사상에 나타난 ‘庸’관의 논리 구조와 의미" 한국중국학회 (55) : 343-366, 2007

      6 "孟子要義"

      7 "孟子"

      8 임헌규, "孔孟의 윤리이론 - ‘正名’과 ‘中庸’을 중심으로" 온지학회 (21) : 233-258, 2009

      9 이선경, "先秦儒家에 있어서 時中의 문제 – 孔 ・孟 時中사상의 易庸論的 접근 –" 동양철학연구회 (55) : 305-331, 2008

      10 민황기, "儒學 '中'思想 形成의 淵源과 歷史的 展開" 한국동서철학회 47 (47): 33-58, 2008

      1 "論語"

      2 方旭东, "超越“忠恕”之道—≪中庸≫“道不远人”章义疏」, 上海师范大学哲学系" (1) : 29-34, 2008

      3 曾小艳, "试论《中庸》由“诚”而致“天人合一”的思想观」, 四川大学文学与新闻学院;四川·成都" (7) : 167-168, 2007

      4 李卫美, "论≪中庸≫之“诚”" (2) : 9-12, 2008

      5 이철승, "船山의 중용사상에 나타난 ‘庸’관의 논리 구조와 의미" 한국중국학회 (55) : 343-366, 2007

      6 "孟子要義"

      7 "孟子"

      8 임헌규, "孔孟의 윤리이론 - ‘正名’과 ‘中庸’을 중심으로" 온지학회 (21) : 233-258, 2009

      9 이선경, "先秦儒家에 있어서 時中의 문제 – 孔 ・孟 時中사상의 易庸論的 접근 –" 동양철학연구회 (55) : 305-331, 2008

      10 민황기, "儒學 '中'思想 形成의 淵源과 歷史的 展開" 한국동서철학회 47 (47): 33-58, 2008

      11 "中庸"

      12 신정근, "『중용』의 中和 사상 연구 — 선진시대 감정 지위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33) : 109-134, 2008

      13 신창호, "『중용』수장(首章)의 교육학적 해석 - 성(性)·도(道)·교(敎)의 인간학적 관점-" 한국교육철학회 (34) : 191-211, 2008

      14 이병갑, "『중용』구경 분석과 현대 행정학적 함의" 한국정부학회 20 (20): 1-19, 2008

      15 최정묵, "『中庸』에 나타난 天人一貫의 사유구조" 한국동서철학회 (50) : 175-194, 2008

      16 An, Yanming, "Western 'sincerity' and Confucian 'Cheng'" 14 (14): 155-169, 2004

      17 Chan, W.-T, "A source of Chinese philoso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