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연모사기술의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809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의상학과 , 2019. 2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4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Development of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by Knowledge-based Engineering

      • 형태사항

        x, 13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유영선
        참고문헌: p. 105-111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175130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vanced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fashion industry.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the traditional design process is simplified and expedited. Especially in fashion design where new design is required, the technology can be a competitive design tool.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a method of design process which enables design and engineering to collaborate to develop ideas and technologies in a single fr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biomorphic knowledge-based engineering fashion system that can develop a new fashion design at web-based interface.
      The research methods consisted of theoretical research, content analysis, and interface process development. The study applies biomorphic characteristics to knowledge-based engineering to identify components of parameters which is necessary for the design process. Biomorphic characteristics define biomorphic inspiration images and biomorphic 3D fashion images through case study exploration. The process development of 3D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is conducted using parameters and algorithms to 3D fashion design produ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iomorphic characteristics on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developed by exploring studies dealing with expression of biomorphic design and technique of biomorphic structures. First characteristic is 'Organic formability''. Applying formative forms suitable for organism, rather than directly reveal the form of them, the features of the form are atypical. Second is 'Abstraction of Life'. Biological form is not specific. It is abstract and ambiguous form to show symbolic impression of life, or of the form itself. Third is 'Self-organization'. The characteristic of self-organization is that the structure of the system increases on its own without being related to the obvious pressure and control from outside. The individual grows to form a pattern, and these individuals become larger in shape, multiply, and affect other adjacent individuals. Fourth is 'Surreal mutation'. The changes in morphology are able to produce new bodies and species. As a result of renewing the objects, the imaginary combination of unrealistic image is expressed in distortion of form and visual deception. These four biomorphic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identify components of parameters for making design process in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Second, the use of digital tools and the concept of biomorphic design are closely linked so that digital tools are not limited to the visualization of design but are used as a tool for simulating and producing the concept of design. It means that biomorphic design can be explained as a creation of a form of evolution, not a stylistic reference.
      Thir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on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applied to biomorphic characteristics as digital information and deliver the idea of developing user-friendly interface. The interface does not only improve its function and usability, but also focus on user's satisfaction of sensibility.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can develop a suitable process for professionals in fashion design.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fashion design interface can be one of design making methods reflecting the user's sensibility and can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Advanced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fashion industry.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the traditional design process is simplified and expedited. Especially in fashion design where new design is required, the technology can b...

      Advanced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fashion industry.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the traditional design process is simplified and expedited. Especially in fashion design where new design is required, the technology can be a competitive design tool.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a method of design process which enables design and engineering to collaborate to develop ideas and technologies in a single fr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biomorphic knowledge-based engineering fashion system that can develop a new fashion design at web-based interface.
      The research methods consisted of theoretical research, content analysis, and interface process development. The study applies biomorphic characteristics to knowledge-based engineering to identify components of parameters which is necessary for the design process. Biomorphic characteristics define biomorphic inspiration images and biomorphic 3D fashion images through case study exploration. The process development of 3D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is conducted using parameters and algorithms to 3D fashion design produ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iomorphic characteristics on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developed by exploring studies dealing with expression of biomorphic design and technique of biomorphic structures. First characteristic is 'Organic formability''. Applying formative forms suitable for organism, rather than directly reveal the form of them, the features of the form are atypical. Second is 'Abstraction of Life'. Biological form is not specific. It is abstract and ambiguous form to show symbolic impression of life, or of the form itself. Third is 'Self-organization'. The characteristic of self-organization is that the structure of the system increases on its own without being related to the obvious pressure and control from outside. The individual grows to form a pattern, and these individuals become larger in shape, multiply, and affect other adjacent individuals. Fourth is 'Surreal mutation'. The changes in morphology are able to produce new bodies and species. As a result of renewing the objects, the imaginary combination of unrealistic image is expressed in distortion of form and visual deception. These four biomorphic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identify components of parameters for making design process in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Second, the use of digital tools and the concept of biomorphic design are closely linked so that digital tools are not limited to the visualization of design but are used as a tool for simulating and producing the concept of design. It means that biomorphic design can be explained as a creation of a form of evolution, not a stylistic reference.
      Thir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on knowledge-based engineering is applied to biomorphic characteristics as digital information and deliver the idea of developing user-friendly interface. The interface does not only improve its function and usability, but also focus on user's satisfaction of sensibility.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can develop a suitable process for professionals in fashion design.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fashion design interface can be one of design making methods reflecting the user's sensibility and can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패션산업의 변화를 가져왔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전통적인 디자인 개발과정을 단순화, 신속화 시킨다. 특히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
      는 패션디자인에서 이러한 기술이 경쟁력 있는 창조적 표현수단이 될 수 있으며 이
      는 창조적 디자인과 과학적 사고와의 결합을 이끈다. 과학적 사고가 반영된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법으로 지식기반 엔지니어링이 있으며 이는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의
      협업을 통해 아이디어와 기술을 하나의 틀에 담아 개발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모사기술의 개념을 디자인의 지식기반 데이터로 설정하고 디
      지털 정보로 구현된 알고리즘이 적용된 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이론연구와 내용 분석, 인터페이스 개념도 개발 연구로 구성되었으
      며 이론 연구는 자연모사기술과 지식기반 엔지니어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과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 3D 패션디자
      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내용 분석은 이론연구에서 도출된 분석항목을 자연모사기술 디자인 사례 탐구를
      통해 정의된 자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의 형태 유형 분포도와 표현특징을 밝히
      고, 2010년 이후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자연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사례의 디자
      인 구성요소 항목별 출현양상과 자연모사기술 특성 유형에 따른 엔지니어링 패션디
      자인 구성요소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 분석의 결과는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표현특성 논의와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
      설계에 필요한 매개변수 도출에 활용되었다.
      먼저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 자연모사기
      술 활용 패션디자인 구성요소의 분석항목을 자연모사기술 활용 영감이미지와 패션
      디자인 사례의 출현빈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에 따른 출현빈도는 자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와 자연모시기술 활용 패션디
      자인 사례에서 사실적 재현과 조직적 구조가 많이 나타났다.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은 패션디자인 사례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유사반복적 증식, 표면의 분
      절과 분화, 상호관계적 자기조직화, 알고리즘적 진화의 특징이 고루 나타났다. 자연
      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구성요소에서 형태 출현빈도는 수직적 확대, 수평적 확
      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소재 출현빈도는 부드러운 입체감, 이질적 크로스오
      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색채 출현빈도는 크롬색채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분석 항목별 관련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
      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특성을 논의하였으며, 이는 유기적 조형성, 생명체 추상, 자
      기조직화, 초현실적 변이로 구분되었다.
      유기적 조형성은 자연물의 형태적 특징, 성질에 조형적 개념을 적용하는 방식으
      로 비선형적 곡선과 유동성을 지닌 유기적 형태를 가진다. 패션디자인에서는 유연
      한 외피의 자유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며 추상적이고 은유적인 유기체의 형상으로 표
      현되었다. 유기적 조형성 표현특성 사례에서 표현기법은 알고리즘적 진화가 나타났
      으며 형태는 부분적 확대나 수평적 확대, 색채는 크롬 색채와 블렌딩 색채가 사용
      되었다. 소재 질감은 텍스처 블로킹, 이질적 크로스오버를 사용하여 인체를 부각시
      키는 유기적 곡선의 형태로 외피를 표현하였다.
      생명체 추상은 자연에서 도출되는 형상이나 구조의 친숙함을 사용한 생명체 형태
      의 역동성을 추상적으로 나타낸다. 사실적 재현의 디자인 유형을 유사한 자연 형태
      로 구사하며 표면의 분절과 분화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정형화된 표면이 자연적 개
      체로 분할된 장식적인 미와 시각적 리듬감을 구현한 패션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수
      직적, 수평적 확대의 형태표현이 두드러지며 색채는 에시드 색채, 블렌딩 색채, 블
      러 색채, 크롬 색채가 다양하게 존재하고 소재 질감은 풍부한 표면감이 많이 나타
      났다.
      자기조직화는 유기체의 상호작용, 상호연결성, 복잡성의 구조로 다루면서 이러한
      상호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형태의 변형을 말한다. 패션디자인에서는 반복적 증식을
      통해 진화한 형태가 패턴으로 나타났다.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적용되어 인
      체와 의복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리드미컬하고 볼륨감있는 형태를 구현하였다.
      자기조직화는 상호관계적 자기조직화 표현기법을 활용하여 부분적 확대, 수평적 확
      대의 형태와 풍부한 표면감이나 부드러운 입체감의 소재 질감을 표현하였고, 크롬
      색채와 블렌딩 색채가 나타났다.
      초현실적 변이는 생명체의 형상에 특성과 의미를 부여하고 이질적으로 표현한 비
      현실적인 형태의 새로움을 보여주며 생명체의 유추를 통한 독창적 표현과 이미지를
      패션디자인 사례에서 보여주었다. 초현실적 변이는 형태적 변이의 디자인 유형으로
      나타나며 유사반복적 증식의 표현기법으로 구현되었다. 색채는 블러 색채, 크롬 색
      채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풍부한 입체감이나 텍스처 블로킹을 통해 변이적인 표현을
      효과적으로 보이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항목별 관련성을 적용한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
      링 표현특성 논의를 바탕으로 인터페이스에 활용된 매개변수를 도출하였다. 표현특
      성은 각기 다른 표현기법으로 표현되었으며 구성요소의 형태, 색채는 표현특성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었다. 반면 소재는 표현기법에 의해 소재의 질감이 변하는 사
      례가 많아 소재와 표현기법 중 표현기법만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였다.
      인터페이스 개념도 개발 연구는 도출된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자연
      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제품의 형상을 만들 수 있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졌다. 자
      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에서 선택한 이미지에 사용자가
      원하는 3D 패션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형태변형, 색채선택, 표현기법의 과정을 거
      쳐 제품을 생산하는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특성에서 도출한 매개변수 항
      목은 다양한 분야와 용도에 적합한 디자인을 구현해내며 매개변수 항목으로 구성된
      선택툴의 클릭만으로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인터페이스 개념도는
      창조적 디자인을 제시하는 디자이너에게 3D 모델링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제품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패션디자인에서 새로운 디자인 창출을 위한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의 도입은 3D모델링이라는 엔지니어링 분야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라는 디자인 제작방식의 개발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다양한 디자인 제작방식이 패션디자인의 전문
      성에 적합한 프로세스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주며, 특히 사용자의 감성을 디자인 프
      로세스에 반영한 하나의 디자인 제작방식으로 인터페이스라는 도구의 접목 가능함
      이 향후 연구에 중요한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패션산업의 변화를 가져왔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전통적인 디자인 개발과정을 단순화, 신속화 시킨다. 특히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 는 패션디자인에서 이러...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패션산업의 변화를 가져왔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전통적인 디자인 개발과정을 단순화, 신속화 시킨다. 특히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
      는 패션디자인에서 이러한 기술이 경쟁력 있는 창조적 표현수단이 될 수 있으며 이
      는 창조적 디자인과 과학적 사고와의 결합을 이끈다. 과학적 사고가 반영된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법으로 지식기반 엔지니어링이 있으며 이는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의
      협업을 통해 아이디어와 기술을 하나의 틀에 담아 개발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모사기술의 개념을 디자인의 지식기반 데이터로 설정하고 디
      지털 정보로 구현된 알고리즘이 적용된 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이론연구와 내용 분석, 인터페이스 개념도 개발 연구로 구성되었으
      며 이론 연구는 자연모사기술과 지식기반 엔지니어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과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 3D 패션디자
      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내용 분석은 이론연구에서 도출된 분석항목을 자연모사기술 디자인 사례 탐구를
      통해 정의된 자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의 형태 유형 분포도와 표현특징을 밝히
      고, 2010년 이후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자연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사례의 디자
      인 구성요소 항목별 출현양상과 자연모사기술 특성 유형에 따른 엔지니어링 패션디
      자인 구성요소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 분석의 결과는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표현특성 논의와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
      설계에 필요한 매개변수 도출에 활용되었다.
      먼저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 자연모사기
      술 활용 패션디자인 구성요소의 분석항목을 자연모사기술 활용 영감이미지와 패션
      디자인 사례의 출현빈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에 따른 출현빈도는 자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와 자연모시기술 활용 패션디
      자인 사례에서 사실적 재현과 조직적 구조가 많이 나타났다.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기법은 패션디자인 사례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유사반복적 증식, 표면의 분
      절과 분화, 상호관계적 자기조직화, 알고리즘적 진화의 특징이 고루 나타났다. 자연
      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구성요소에서 형태 출현빈도는 수직적 확대, 수평적 확
      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소재 출현빈도는 부드러운 입체감, 이질적 크로스오
      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색채 출현빈도는 크롬색채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분석 항목별 관련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
      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특성을 논의하였으며, 이는 유기적 조형성, 생명체 추상, 자
      기조직화, 초현실적 변이로 구분되었다.
      유기적 조형성은 자연물의 형태적 특징, 성질에 조형적 개념을 적용하는 방식으
      로 비선형적 곡선과 유동성을 지닌 유기적 형태를 가진다. 패션디자인에서는 유연
      한 외피의 자유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며 추상적이고 은유적인 유기체의 형상으로 표
      현되었다. 유기적 조형성 표현특성 사례에서 표현기법은 알고리즘적 진화가 나타났
      으며 형태는 부분적 확대나 수평적 확대, 색채는 크롬 색채와 블렌딩 색채가 사용
      되었다. 소재 질감은 텍스처 블로킹, 이질적 크로스오버를 사용하여 인체를 부각시
      키는 유기적 곡선의 형태로 외피를 표현하였다.
      생명체 추상은 자연에서 도출되는 형상이나 구조의 친숙함을 사용한 생명체 형태
      의 역동성을 추상적으로 나타낸다. 사실적 재현의 디자인 유형을 유사한 자연 형태
      로 구사하며 표면의 분절과 분화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정형화된 표면이 자연적 개
      체로 분할된 장식적인 미와 시각적 리듬감을 구현한 패션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수
      직적, 수평적 확대의 형태표현이 두드러지며 색채는 에시드 색채, 블렌딩 색채, 블
      러 색채, 크롬 색채가 다양하게 존재하고 소재 질감은 풍부한 표면감이 많이 나타
      났다.
      자기조직화는 유기체의 상호작용, 상호연결성, 복잡성의 구조로 다루면서 이러한
      상호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형태의 변형을 말한다. 패션디자인에서는 반복적 증식을
      통해 진화한 형태가 패턴으로 나타났다.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적용되어 인
      체와 의복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리드미컬하고 볼륨감있는 형태를 구현하였다.
      자기조직화는 상호관계적 자기조직화 표현기법을 활용하여 부분적 확대, 수평적 확
      대의 형태와 풍부한 표면감이나 부드러운 입체감의 소재 질감을 표현하였고, 크롬
      색채와 블렌딩 색채가 나타났다.
      초현실적 변이는 생명체의 형상에 특성과 의미를 부여하고 이질적으로 표현한 비
      현실적인 형태의 새로움을 보여주며 생명체의 유추를 통한 독창적 표현과 이미지를
      패션디자인 사례에서 보여주었다. 초현실적 변이는 형태적 변이의 디자인 유형으로
      나타나며 유사반복적 증식의 표현기법으로 구현되었다. 색채는 블러 색채, 크롬 색
      채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풍부한 입체감이나 텍스처 블로킹을 통해 변이적인 표현을
      효과적으로 보이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항목별 관련성을 적용한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
      링 표현특성 논의를 바탕으로 인터페이스에 활용된 매개변수를 도출하였다. 표현특
      성은 각기 다른 표현기법으로 표현되었으며 구성요소의 형태, 색채는 표현특성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었다. 반면 소재는 표현기법에 의해 소재의 질감이 변하는 사
      례가 많아 소재와 표현기법 중 표현기법만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였다.
      인터페이스 개념도 개발 연구는 도출된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자연
      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제품의 형상을 만들 수 있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졌다. 자
      연모사 디자인 영감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에서 선택한 이미지에 사용자가
      원하는 3D 패션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형태변형, 색채선택, 표현기법의 과정을 거
      쳐 제품을 생산하는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표현특성에서 도출한 매개변수 항
      목은 다양한 분야와 용도에 적합한 디자인을 구현해내며 매개변수 항목으로 구성된
      선택툴의 클릭만으로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인터페이스 개념도는
      창조적 디자인을 제시하는 디자이너에게 3D 모델링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제품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패션디자인에서 새로운 디자인 창출을 위한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의 도입은 3D모델링이라는 엔지니어링 분야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라는 디자인 제작방식의 개발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다양한 디자인 제작방식이 패션디자인의 전문
      성에 적합한 프로세스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주며, 특히 사용자의 감성을 디자인 프
      로세스에 반영한 하나의 디자인 제작방식으로 인터페이스라는 도구의 접목 가능함
      이 향후 연구에 중요한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내용 3
      • Ⅱ. 이론적 고찰 6
      • 1. 자연모사기술과 디자인 6
      • I.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내용 3
      • Ⅱ. 이론적 고찰 6
      • 1. 자연모사기술과 디자인 6
      • 1) 자연모사와 자연모사기술 6
      • 2) 디자인분야 자연모사기술 활용 15
      • 3)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형태 유형 24
      • 2.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디자인 30
      • 1)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디자인 방법 30
      • 2)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디자인 표현기법 33
      • 3. 인터페이스 디자인 구축 프로그램 42
      • 1)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 42
      • 2) 인터페이스 구축 프로그램 47
      • 4. 자연모사기술과 3D 패션디자인 48
      • 1) 자연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48
      • 2) 자연모사기술 활용 3D 패션디자인 구성요소 51
      • Ⅲ. 자연모사기술 활용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사례분석 58
      • 1. 분석 방법 58
      • 1) 분석내용 58
      • 2) 분석대상과 범위 58
      • 3) 분석항목 59
      • 2. 분석 결과 64
      • 1) 자연모사기술 활용 사례출현 빈도 64
      • 2) 자연모사기술 활용 디자인 유형분류 67
      • 3)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표현기법 71
      • Ⅳ. 자연모사기술 지식기반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표현특성 논의 85
      • 1. 유기적 조형성 86
      • 2. 생명체 추상 87
      • 3. 자기조직화 89
      • 4. 초현실적 변이 91
      • Ⅴ. 자연모사 지식기반 데이터 활용 패션디자인 실용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제안 94
      • 1. 인터페이스 설계 94
      • 1) 구성요소 94
      • 2) 절차 96
      • 2. 지식기반 데이터 활용 엔지니어링 패션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100
      • 1) 인터페이스 화면구성 100
      • 2) 자연모사기술 활용 패션디자인 인터페이스 구현 101
      • Ⅵ. 결 론 102
      • 참 고 문 헌 105
      • 부 록 112
      • ABSTRACT 13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복식미학의 이해, 김영자, 경춘사;서울, , 1998

      2. 지상용 생체모방로봇, 박용재, 조규진, 기계저널, 52(4), 34-38, , 2012

      3. 지속가능 자연모사기술, 정영도, 김완두, 기계저널, 56(12), 32-36, , 2016

      4. 자연모사 기술과 산업경제, 곽기호, 박효주, 기계저널, 53(2), 54-61, , 2013

      5. 프랙탈 기하학. (이충호 역), 나이젤 네스므와 고든, 월 루드, 파주:김영사, , 2009

      6. 수학적사고의 아름다운 산물, 이종우, 경문사, , 2008

      7. 디지털 컬러의 색채정보 체계화, 이지영, 기계저널, 55(8), 45-48, , 2015

      8. 생체모방 섬유재료의 제품화 동향, 조대현, 섬유기술과 산업, 10(2), 120-131, , 2006

      9. 생체모방 기능성 표면의 제조와 응용, 서갑양, 방창현, KIC News, 12(6), 19-28, , 2009

      10. 생체모방디자인에 대한 고찰과 사례연구, 정명아, 이길순, 기초조형학연구, 13(1), 387-394, , 2012

      1. 복식미학의 이해, 김영자, 경춘사;서울, , 1998

      2. 지상용 생체모방로봇, 박용재, 조규진, 기계저널, 52(4), 34-38, , 2012

      3. 지속가능 자연모사기술, 정영도, 김완두, 기계저널, 56(12), 32-36, , 2016

      4. 자연모사 기술과 산업경제, 곽기호, 박효주, 기계저널, 53(2), 54-61, , 2013

      5. 프랙탈 기하학. (이충호 역), 나이젤 네스므와 고든, 월 루드, 파주:김영사, , 2009

      6. 수학적사고의 아름다운 산물, 이종우, 경문사, , 2008

      7. 디지털 컬러의 색채정보 체계화, 이지영, 기계저널, 55(8), 45-48, , 2015

      8. 생체모방 섬유재료의 제품화 동향, 조대현, 섬유기술과 산업, 10(2), 120-131, , 2006

      9. 생체모방 기능성 표면의 제조와 응용, 서갑양, 방창현, KIC News, 12(6), 19-28, , 2009

      10. 생체모방디자인에 대한 고찰과 사례연구, 정명아, 이길순, 기초조형학연구, 13(1), 387-394, , 2012

      11. 지식기반엔지니어링: 파라메트릭 디자인, 박정대, 건축, 56(11), 53-54, , 2012

      12. 조각보의 면구성과 테셀레이션 비교 연구, 이정수, 송명견, 한국의류학회지, 30(6), 948-960, , 2006

      13.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박영목, 이동연 역), 카이호 히로유키, 하라다 에츠코, 쿠로스 마사아키, 출판사 지호, , 1991

      14. 파라메트릭 디자인 방식의 디지털 형태 형성, 이윤, 디자인지식저널, 9, 54-62, , 2009

      15. 테셀레이션에 의한 디자인 창의 교육 체계 연구, 정보민, 조형미디어학, 21(1), 199-206, , 2018

      16. 생체모방디자인의 전개와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남미경, 한국디자인문화학 회지, 19(4), 255-268, , 2013

      17. 특집:생체모방섬유;자연모사기술의 공학적 응용, 김완두, 조영삼, 섬유기술과 산업, 10(2), 115-119, , 2006

      18. 바이오모픽 건축의 유기체 철학 배경에 관한 연구, 김정신,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5). 436-443, , 2014

      19. 건축디자인에서 프랙탈 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명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5(5), 165-172, , 2009

      20. 디지털 공간에서 자연모사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고흥권, 한국문화공간건 축학회논문집, 28, 5-12, , 2009

      21. 생체모방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철호, 홍성엽, 한국과 학예술포럼, 14, 200-208, , 2013

      22. 현대건축 공간구성의 바이오모픽 특성에 관한 연구, 이영수, 김정신, 대한건 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1(12), 119-126, , 2005

      23. 디지털아트: 예술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 (조충연 역), 크리스티안 폴, 서울: 시공사, , 2007

      24. [테마기획: 생체모방공학] 자연모사-생체모방공학기술, 김완두, 기계저널, 46(4), 34-37, , 2006

      25. 보급형 3D 프린터를 활용한 착용형 패션 프로토타입 개발, 전재훈, 한국의 류학회지, 41(3), 468-486, , 2017

      26. 실내공간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실, 이창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3), 46-56, , 2010

      27. 디지털 공간에서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강가애, 윤재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7(3), 156-164, , 2008

      28. 현대 건축디자인에서의 생물학적 형태의 적용데 관한 연구, 김원갑, 한국실 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1), 30-38, , 2006

      29. 테셀레이션에 의한 한국 전통 디자인 ‘금문’의 변용 연구, 원윤경, 차임선, 브랜드디자인학회, 13(3), 274-284, , 2015

      30. 뉴미디어 환경의 색채시스템을 적용한 디지털 공간색채 연구, 김선영, 한국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6), 236-243, , 2011

      31.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바이오미미크리 공간디자인 특성 연 구, 문정민, 최선경, 한국디자인포럼, 43, 105-118, , 2014

      32. 현대건축에 나타난 바이오미미크리의 생태적 공간 특성 연 구, 김개천, 최지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6), 116-123, , 2011

      33. 환경반응 생체모방(Biomimicry) 미래 건축 도시(Future City? Ask Nature), 김재준, 김주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3(1), 19-28, , 2014

      34. 패션에 나타난 디지털 자연주의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유경, 유영선, 기초조형학연구, 12(2), 115-123, , 2011

      35. 감성적 사용자 요구 기반 3차원 피지컬 인터페이스 개발에 대한 연 구, 노승완, 디자인지식저널, 6, 31-39, , 2008

      36. 국내 친환경 건축에 나타난 바이오미미크리 특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강연주, 김문덕, 기초조형학연구, 14(5), 3-13, , 2013

      37. 프랙탈 기하학의 원리를 통한 현대 복식의 다의적 표현성에 대한 연구, 엄소희, 18(4), 703-715, , 2010

      38.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현대조형예술의 표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윤민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4), 300-311, , 2012

      39. 바이오모픽 표현특성을 적용한 브랜드 쇼룸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김현주, 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9(4), 199-211, , 2014

      40. Biomorphic 표현특성을 적용한 Share Offic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관한연구, 이영웅, 윤은경,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 29-34, , 2018

      41. 식음공간에서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표현 특성 및 요 소분석에 관한 연구, 윤은경, 이주영, 이승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2(5), 317-326, , 2017

      42. 자연이 만든 디자인: 디자인에 보편적인 형태와 원리 적용하기. (서라미 역), 메기 맥넵, 서울:길벗, , 2012

      43.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건축 디자인 생성 프 로세스에 관한 연구, 전한종, 박종진, 한국 CAD/CAM학회 논문집, 14(5), 306-313, , 2009

      44. 슈에이 엔도 건축에 나타나는 프랙탈 기하학의 형태생성 알 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광배, 이성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0(6), 181-188, , 2004

      45. 3D 프린팅 패션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의 조형 연구-아이리 스 반 헤르펜을 중심으로-, 송아라, 금기숙, 기초조형학연구, 17(2), 220-231, , 2016

      46. 3D프린팅 테스트를 통한 패션 액세서리 디자인개발: 입체보 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 황선정, 이종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5(3), 148-160, , 2017

      47. 디자인 모티브로서 바이오미메틱스의 적용가능성 탐색-스포츠레저 용품 개발을 중심으로, 양영완, 기초조형학연구, 16(1), 315-327, , 2015

      48.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과 3D프린팅을 활용한 패션상품 프로토타입 프로세스 디자인 연구, 김영인, 이경수,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3), 411-423, , 2018

      49. 요리스 라만과 프랑수아 로쉬의 작업에 나타난 디지털 도구와 바이 오미미크리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호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1(1), 43-54, , 2016

      50. 카림 라시드와 파비오 노벰브레의 상업공간 실내에 나타난 바이오모픽(Biomorphic)특성에 관한 연구, 김주리, 김문덕,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 집, 12(3), 113-118, , 2010

      51.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재료 표현특성 연구 -2013년-2015년 패션소재 트렌드 분석을 중심으로-, 이선주, 김시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3), 495-509, , 2015

      52. 디지털 공간에서 BIM기반 비정형 파라메트릭 형태 생성에 관한 연구-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파라메트릭 공간정의를 중심으로, 고성룡, 윤명철, 대한건 축학회연합논문집, 13(3), 79-86, , 2011

      53. 생성적 디자인을 이용한 가구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프랙탈 기 하학과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적용한 가구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진욱, 한국실내디 자인학회논문집, 20(1), 89-97, ,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