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복식미학의 이해, 김영자, 경춘사;서울, , 1998
2. 지상용 생체모방로봇, 박용재, 조규진, 기계저널, 52(4), 34-38, , 2012
3. 지속가능 자연모사기술, 정영도, 김완두, 기계저널, 56(12), 32-36, , 2016
4. 자연모사 기술과 산업경제, 곽기호, 박효주, 기계저널, 53(2), 54-61, , 2013
5. 프랙탈 기하학. (이충호 역), 나이젤 네스므와 고든, 월 루드, 파주:김영사, , 2009
6. 수학적사고의 아름다운 산물, 이종우, 경문사, , 2008
7. 디지털 컬러의 색채정보 체계화, 이지영, 기계저널, 55(8), 45-48, , 2015
8. 생체모방 섬유재료의 제품화 동향, 조대현, 섬유기술과 산업, 10(2), 120-131, , 2006
9. 생체모방 기능성 표면의 제조와 응용, 서갑양, 방창현, KIC News, 12(6), 19-28, , 2009
10. 생체모방디자인에 대한 고찰과 사례연구, 정명아, 이길순, 기초조형학연구, 13(1), 387-394, , 2012
1. 복식미학의 이해, 김영자, 경춘사;서울, , 1998
2. 지상용 생체모방로봇, 박용재, 조규진, 기계저널, 52(4), 34-38, , 2012
3. 지속가능 자연모사기술, 정영도, 김완두, 기계저널, 56(12), 32-36, , 2016
4. 자연모사 기술과 산업경제, 곽기호, 박효주, 기계저널, 53(2), 54-61, , 2013
5. 프랙탈 기하학. (이충호 역), 나이젤 네스므와 고든, 월 루드, 파주:김영사, , 2009
6. 수학적사고의 아름다운 산물, 이종우, 경문사, , 2008
7. 디지털 컬러의 색채정보 체계화, 이지영, 기계저널, 55(8), 45-48, , 2015
8. 생체모방 섬유재료의 제품화 동향, 조대현, 섬유기술과 산업, 10(2), 120-131, , 2006
9. 생체모방 기능성 표면의 제조와 응용, 서갑양, 방창현, KIC News, 12(6), 19-28, , 2009
10. 생체모방디자인에 대한 고찰과 사례연구, 정명아, 이길순, 기초조형학연구, 13(1), 387-394, , 2012
11. 지식기반엔지니어링: 파라메트릭 디자인, 박정대, 건축, 56(11), 53-54, , 2012
12. 조각보의 면구성과 테셀레이션 비교 연구, 이정수, 송명견, 한국의류학회지, 30(6), 948-960, , 2006
13.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박영목, 이동연 역), 카이호 히로유키, 하라다 에츠코, 쿠로스 마사아키, 출판사 지호, , 1991
14. 파라메트릭 디자인 방식의 디지털 형태 형성, 이윤, 디자인지식저널, 9, 54-62, , 2009
15. 테셀레이션에 의한 디자인 창의 교육 체계 연구, 정보민, 조형미디어학, 21(1), 199-206, , 2018
16. 생체모방디자인의 전개와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남미경, 한국디자인문화학 회지, 19(4), 255-268, , 2013
17. 특집:생체모방섬유;자연모사기술의 공학적 응용, 김완두, 조영삼, 섬유기술과 산업, 10(2), 115-119, , 2006
18. 바이오모픽 건축의 유기체 철학 배경에 관한 연구, 김정신,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5). 436-443, , 2014
19. 건축디자인에서 프랙탈 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명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5(5), 165-172, , 2009
20. 디지털 공간에서 자연모사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고흥권, 한국문화공간건 축학회논문집, 28, 5-12, , 2009
21. 생체모방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철호, 홍성엽, 한국과 학예술포럼, 14, 200-208, , 2013
22. 현대건축 공간구성의 바이오모픽 특성에 관한 연구, 이영수, 김정신, 대한건 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1(12), 119-126, , 2005
23. 디지털아트: 예술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 (조충연 역), 크리스티안 폴, 서울: 시공사, , 2007
24. [테마기획: 생체모방공학] 자연모사-생체모방공학기술, 김완두, 기계저널, 46(4), 34-37, , 2006
25. 보급형 3D 프린터를 활용한 착용형 패션 프로토타입 개발, 전재훈, 한국의 류학회지, 41(3), 468-486, , 2017
26. 실내공간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실, 이창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3), 46-56, , 2010
27. 디지털 공간에서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강가애, 윤재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7(3), 156-164, , 2008
28. 현대 건축디자인에서의 생물학적 형태의 적용데 관한 연구, 김원갑, 한국실 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1), 30-38, , 2006
29. 테셀레이션에 의한 한국 전통 디자인 ‘금문’의 변용 연구, 원윤경, 차임선, 브랜드디자인학회, 13(3), 274-284, , 2015
30. 뉴미디어 환경의 색채시스템을 적용한 디지털 공간색채 연구, 김선영, 한국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6), 236-243, , 2011
31.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바이오미미크리 공간디자인 특성 연 구, 문정민, 최선경, 한국디자인포럼, 43, 105-118, , 2014
32. 현대건축에 나타난 바이오미미크리의 생태적 공간 특성 연 구, 김개천, 최지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6), 116-123, , 2011
33. 환경반응 생체모방(Biomimicry) 미래 건축 도시(Future City? Ask Nature), 김재준, 김주형,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3(1), 19-28, , 2014
34. 패션에 나타난 디지털 자연주의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유경, 유영선, 기초조형학연구, 12(2), 115-123, , 2011
35. 감성적 사용자 요구 기반 3차원 피지컬 인터페이스 개발에 대한 연 구, 노승완, 디자인지식저널, 6, 31-39, , 2008
36. 국내 친환경 건축에 나타난 바이오미미크리 특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강연주, 김문덕, 기초조형학연구, 14(5), 3-13, , 2013
37. 프랙탈 기하학의 원리를 통한 현대 복식의 다의적 표현성에 대한 연구, 엄소희, 18(4), 703-715, , 2010
38.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현대조형예술의 표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윤민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4), 300-311, , 2012
39. 바이오모픽 표현특성을 적용한 브랜드 쇼룸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김현주, 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9(4), 199-211, , 2014
40. Biomorphic 표현특성을 적용한 Share Offic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관한연구, 이영웅, 윤은경,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 29-34, , 2018
41. 식음공간에서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표현 특성 및 요 소분석에 관한 연구, 윤은경, 이주영, 이승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2(5), 317-326, , 2017
42. 자연이 만든 디자인: 디자인에 보편적인 형태와 원리 적용하기. (서라미 역), 메기 맥넵, 서울:길벗, , 2012
43.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건축 디자인 생성 프 로세스에 관한 연구, 전한종, 박종진, 한국 CAD/CAM학회 논문집, 14(5), 306-313, , 2009
44. 슈에이 엔도 건축에 나타나는 프랙탈 기하학의 형태생성 알 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광배, 이성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0(6), 181-188, , 2004
45. 3D 프린팅 패션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의 조형 연구-아이리 스 반 헤르펜을 중심으로-, 송아라, 금기숙, 기초조형학연구, 17(2), 220-231, , 2016
46. 3D프린팅 테스트를 통한 패션 액세서리 디자인개발: 입체보 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 황선정, 이종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5(3), 148-160, , 2017
47. 디자인 모티브로서 바이오미메틱스의 적용가능성 탐색-스포츠레저 용품 개발을 중심으로, 양영완, 기초조형학연구, 16(1), 315-327, , 2015
48.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과 3D프린팅을 활용한 패션상품 프로토타입 프로세스 디자인 연구, 김영인, 이경수,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3), 411-423, , 2018
49. 요리스 라만과 프랑수아 로쉬의 작업에 나타난 디지털 도구와 바이 오미미크리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호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1(1), 43-54, , 2016
50. 카림 라시드와 파비오 노벰브레의 상업공간 실내에 나타난 바이오모픽(Biomorphic)특성에 관한 연구, 김주리, 김문덕,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 집, 12(3), 113-118, , 2010
51.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재료 표현특성 연구 -2013년-2015년 패션소재 트렌드 분석을 중심으로-, 이선주, 김시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3), 495-509, , 2015
52. 디지털 공간에서 BIM기반 비정형 파라메트릭 형태 생성에 관한 연구-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파라메트릭 공간정의를 중심으로, 고성룡, 윤명철, 대한건 축학회연합논문집, 13(3), 79-86, , 2011
53. 생성적 디자인을 이용한 가구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프랙탈 기 하학과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적용한 가구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진욱, 한국실내디 자인학회논문집, 20(1), 89-97, ,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