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로 미래 수업 준비하기 = Preparing for Future Classes with Online Content Utilization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2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 운영 병행에 따라 온라인 기반의 학습에 적합한 현장 중심의 교수학습 모델 개발 필요했다. 양질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공유로 온라인 기반의 효과적인 미래형 교과서 개발에 대한 요구 증가하였다. 프로젝트 중심의 재구성 교육과정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재구성된 교과서의 필요성 대두하였으며, 교사의 자율성과 학교 현장의 적합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한 현장 중심의 교과서 체계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였다. “우리가 교과서에서 언젠가 학교에 오지 않고 공부하는 미래가 올 것이라고 배운 적이 있었습니다. 언젠가는 오겠지 하고 생각은 했지만 매우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미래가 바로 1년 만에 우리에게 찾아왔고, 우리는 너무나 익숙하게 적응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함께 공부하는 방법의 패러다임이 달라졌습니다.” 미래사회에서 다양한 교육 환경, 학생 환경, 공동체에 따라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가 해결책임은 확신한다.
      번역하기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 운영 병행에 따라 온라인 기반의 학습에 적합한 현장 중심의 교수학습 모델 개발 필요했다. 양질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공유로 온라인 기반의 효과적인 미래...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 운영 병행에 따라 온라인 기반의 학습에 적합한 현장 중심의 교수학습 모델 개발 필요했다. 양질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공유로 온라인 기반의 효과적인 미래형 교과서 개발에 대한 요구 증가하였다. 프로젝트 중심의 재구성 교육과정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재구성된 교과서의 필요성 대두하였으며, 교사의 자율성과 학교 현장의 적합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한 현장 중심의 교과서 체계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였다. “우리가 교과서에서 언젠가 학교에 오지 않고 공부하는 미래가 올 것이라고 배운 적이 있었습니다. 언젠가는 오겠지 하고 생각은 했지만 매우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미래가 바로 1년 만에 우리에게 찾아왔고, 우리는 너무나 익숙하게 적응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함께 공부하는 방법의 패러다임이 달라졌습니다.” 미래사회에서 다양한 교육 환경, 학생 환경, 공동체에 따라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가 해결책임은 확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parallel operation of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field-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uitable for online-based learning. With the development and sharing of high-quality online educational content,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future textbooks based on online has increased. The need for reconstructed textbooks effective in supporting project-oriented reconstruction curriculum emerged, and it was necessary to shift the perception to a field-oriented textbook system that effectively reflected the autonomy of teachers and the suitability of the school field. "We once learned from textbooks that someday the future of studying without coming to school will come. I thought it would come one day, but I was very vague. But that future has come to us in just a year, and we are adapting so familiarly. The paradigm of how we study together has changed." In the future society,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student environments, and communities, and for this, I am confident that textbooks using online content are responsible for the solution.
      번역하기

      In accordance with the parallel operation of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field-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uitable for online-based learning. With the development and sharing of high-quality onlin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arallel operation of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field-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uitable for online-based learning. With the development and sharing of high-quality online educational content,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future textbooks based on online has increased. The need for reconstructed textbooks effective in supporting project-oriented reconstruction curriculum emerged, and it was necessary to shift the perception to a field-oriented textbook system that effectively reflected the autonomy of teachers and the suitability of the school field. "We once learned from textbooks that someday the future of studying without coming to school will come. I thought it would come one day, but I was very vague. But that future has come to us in just a year, and we are adapting so familiarly. The paradigm of how we study together has changed." In the future society,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student environments, and communities, and for this, I am confident that textbooks using online content are responsible for the s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교육 환경 패러다임의 변화
      • II.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고민
      • 1. 새로운 교육 목표
      • 2.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 활용의 필요성
      • 3.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시작
      • Ⅰ. 교육 환경 패러다임의 변화
      • II.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고민
      • 1. 새로운 교육 목표
      • 2.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 활용의 필요성
      • 3.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시작
      • III.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 시사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