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언어에 대하여 = On the City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9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discussion of city exploration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s a result, city language was divided as ‘Language of City’ and ‘City and Language’ in connection between city and language. The language in this time indicates place names and dialects as main subject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Also, it suggested degree of approach for city language focused on place names and dialects in connection between specialized and transformed language and urbanism. For example, connection of city was rarely included in the case of place names. It is because city is located in space division for a study on place names. City in dialects research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place names research in traditional regional dialects, however, aspect of reflection on urbanism can be seen in social dialects.
      City in the future is demanded city construction reflected by value of humane life on the basis of city of traditional science civilization. Thus, space where culture and history are lived is being requested in response to information age and deindustrialisation. To deal with this, city should become a plate where discourses of the humanities are contained. In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look back the fact that city of Rome still exists because thoughts of the humanities are reflected.
      Until now, place names and dialects as the city language have been evaluated as the result that was reflected on history and imprinted breath and tradition of native life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what distinct features of language in affected region are established, and it is the results as Language of City and City and Language.
      However, what place names or dialects of the region have been reflected is not specified. It is only mainly dealt with the aspect of language, but distinct features of the humanities in the region are excluded. It is the part showing that exploration for city and recognition of city are insufficient. Given the consideration of relation between city and our life, it can be said that now new understanding about city and interests in city are demanded. It is because urban characteristics of ‘city’ needs to be analysed through historical studies and literature as well as languages.
      Plus, the viewpoint of seeing city should be widened. Relations between Seoul City and language formed in the past, Gumi City and language shaped recently, and Sejong City and languages which will be built in the future need to be observed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City is always more likely to be adapted in new environment than silence condition, and city can be defined as dynamic conception as it is transformed under that circumstance.
      Furthermore, integrated studies of urbanology and korean languages are necessary since formation factors of city language are defined, and study on internal•external language factors related to differentiation and transformation of city language should be arranged.
      View point of seeing korean language (place names and dialects) should be also changed. Korean language no longer exists as only a language. Korean language can be described a subset of lots of number in korean culture. Therefore, exploration about internal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done constantly, but expansion of denotation regarding what korean language can be related to is also required. As city by urbanization is extended into new base of our life, it is the time for discovering linguistic discourses which reflect city formation.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 discussion of city exploration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s a result, city language was divided as ‘Language of City’ and ‘City and Language’ in connection between city and language. The language in this time indicates...

      This article is a discussion of city exploration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s a result, city language was divided as ‘Language of City’ and ‘City and Language’ in connection between city and language. The language in this time indicates place names and dialects as main subject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Also, it suggested degree of approach for city language focused on place names and dialects in connection between specialized and transformed language and urbanism. For example, connection of city was rarely included in the case of place names. It is because city is located in space division for a study on place names. City in dialects research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place names research in traditional regional dialects, however, aspect of reflection on urbanism can be seen in social dialects.
      City in the future is demanded city construction reflected by value of humane life on the basis of city of traditional science civilization. Thus, space where culture and history are lived is being requested in response to information age and deindustrialisation. To deal with this, city should become a plate where discourses of the humanities are contained. In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look back the fact that city of Rome still exists because thoughts of the humanities are reflected.
      Until now, place names and dialects as the city language have been evaluated as the result that was reflected on history and imprinted breath and tradition of native life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what distinct features of language in affected region are established, and it is the results as Language of City and City and Language.
      However, what place names or dialects of the region have been reflected is not specified. It is only mainly dealt with the aspect of language, but distinct features of the humanities in the region are excluded. It is the part showing that exploration for city and recognition of city are insufficient. Given the consideration of relation between city and our life, it can be said that now new understanding about city and interests in city are demanded. It is because urban characteristics of ‘city’ needs to be analysed through historical studies and literature as well as languages.
      Plus, the viewpoint of seeing city should be widened. Relations between Seoul City and language formed in the past, Gumi City and language shaped recently, and Sejong City and languages which will be built in the future need to be observed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City is always more likely to be adapted in new environment than silence condition, and city can be defined as dynamic conception as it is transformed under that circumstance.
      Furthermore, integrated studies of urbanology and korean languages are necessary since formation factors of city language are defined, and study on internal•external language factors related to differentiation and transformation of city language should be arranged.
      View point of seeing korean language (place names and dialects) should be also changed. Korean language no longer exists as only a language. Korean language can be described a subset of lots of number in korean culture. Therefore, exploration about internal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done constantly, but expansion of denotation regarding what korean language can be related to is also required. As city by urbanization is extended into new base of our life, it is the time for discovering linguistic discourses which reflect city 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언어학적 측면에서 도시 탐색을 시도한 논의이다. 그 결과 도시와 언어와의 관련성에서 도시언어를 ‘도시의 언어’와 ‘도시와 언어’로 나누었다. 이때의 언어는 국어 연구의 주 대상인 지명과 방언이다. 또한 분화되고 변이된 언어와 도시성과의 관련성에서 지명과 방언을 중심으로 도시언어에 대한 접근 정도를 제시하였다. 이를테면, 지명 연구의 경우는 도시와의 관련성을 거의 배제하였다는 것이다. 도시는 지명 연구를 위한 공간 구획의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반면 방언 연구는 전통적인 지역 방언에서의 도시가 지명 연구의 그것과 다를 바 없지만, 사회 방언(social Dialect)에서는 도시성의 반영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미래의 도시는 전통적인 과학 문명의 도시 토대에서 인간적 삶의 가치가 반영된 도시 건설을 요구받고 있다. 즉 탈산업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여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을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도시는 인문학적 담론을 담고 있는 그릇이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로마 도시가 오늘날까지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은 이 도시에 인문학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국어학 분야에서는 도시언어로서의 지명과 방언에 대해 토착인들의 삶의 숨결과 전통이 스며들어 있고, 역사를 반영한 결정체로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해당 지역 언어의 특징을 규명한 것이고, 도시의 언어, 도시와 언어로서의 결과물들이다.
      그런데 해당 지역의 무엇이 지명이나 방언에 반영되었는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이지 않다. 주로 언어적인 측면만 다루었지, 해당 지역의 인문학적 특징은 배제되었다. 도시에 대한 탐색과 도시에 대한 인식이 미미하였음을 보여 주는 부분이다. 도시와 우리 삶의 관계를 고려할 때, 이제 도시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관심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역사학이나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언어를 통해서도‘도시’의 도시적 성격을 분석해 내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이 넓어져야 한다. 과거에 형성된 서울시와 언어, 근래에 형성된 구미시와 언어, 미래에 형성될 세종시와 언어의 관계 등을 공시적으로, 통시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도시는 정적인 상태보다 항상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 하고, 그 상황에 맞춰 변화하는, 동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도시학과 국어학의 융합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도시언어의 형성 요인을 규명하고, 도시 언어의 분화 및 변이에 관여하는 언어 내·외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어(지명과 방언)을 바라보는 시각도 변해야 한다. 국어는 더 이상 언어 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국어는 한국문화에 있어 많은 수의 부분집합이다. 따라서 국어의 내적 구조에 대한 탐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다른 한편 국어와 관련될 수 있는 것에 대한 외연의 확대도 요구되고 있다. 도시화에 의한 도시가 우리 삶의 새로운 터전으로 확장되고 있음에서 도시 형성에 담겨 있는 언어학적 담론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언어학적 측면에서 도시 탐색을 시도한 논의이다. 그 결과 도시와 언어와의 관련성에서 도시언어를 ‘도시의 언어’와 ‘도시와 언어’로 나누었다. 이때의 언어는 국어 연구의 주 ...

      본고는 언어학적 측면에서 도시 탐색을 시도한 논의이다. 그 결과 도시와 언어와의 관련성에서 도시언어를 ‘도시의 언어’와 ‘도시와 언어’로 나누었다. 이때의 언어는 국어 연구의 주 대상인 지명과 방언이다. 또한 분화되고 변이된 언어와 도시성과의 관련성에서 지명과 방언을 중심으로 도시언어에 대한 접근 정도를 제시하였다. 이를테면, 지명 연구의 경우는 도시와의 관련성을 거의 배제하였다는 것이다. 도시는 지명 연구를 위한 공간 구획의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반면 방언 연구는 전통적인 지역 방언에서의 도시가 지명 연구의 그것과 다를 바 없지만, 사회 방언(social Dialect)에서는 도시성의 반영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미래의 도시는 전통적인 과학 문명의 도시 토대에서 인간적 삶의 가치가 반영된 도시 건설을 요구받고 있다. 즉 탈산업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여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을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도시는 인문학적 담론을 담고 있는 그릇이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로마 도시가 오늘날까지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은 이 도시에 인문학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국어학 분야에서는 도시언어로서의 지명과 방언에 대해 토착인들의 삶의 숨결과 전통이 스며들어 있고, 역사를 반영한 결정체로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해당 지역 언어의 특징을 규명한 것이고, 도시의 언어, 도시와 언어로서의 결과물들이다.
      그런데 해당 지역의 무엇이 지명이나 방언에 반영되었는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이지 않다. 주로 언어적인 측면만 다루었지, 해당 지역의 인문학적 특징은 배제되었다. 도시에 대한 탐색과 도시에 대한 인식이 미미하였음을 보여 주는 부분이다. 도시와 우리 삶의 관계를 고려할 때, 이제 도시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관심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역사학이나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언어를 통해서도‘도시’의 도시적 성격을 분석해 내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이 넓어져야 한다. 과거에 형성된 서울시와 언어, 근래에 형성된 구미시와 언어, 미래에 형성될 세종시와 언어의 관계 등을 공시적으로, 통시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도시는 정적인 상태보다 항상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 하고, 그 상황에 맞춰 변화하는, 동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도시학과 국어학의 융합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도시언어의 형성 요인을 규명하고, 도시 언어의 분화 및 변이에 관여하는 언어 내·외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어(지명과 방언)을 바라보는 시각도 변해야 한다. 국어는 더 이상 언어 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국어는 한국문화에 있어 많은 수의 부분집합이다. 따라서 국어의 내적 구조에 대한 탐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다른 한편 국어와 관련될 수 있는 것에 대한 외연의 확대도 요구되고 있다. 도시화에 의한 도시가 우리 삶의 새로운 터전으로 확장되고 있음에서 도시 형성에 담겨 있는 언어학적 담론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永鎭, "禮山地方의 地名硏究 : 類型別 地名語를 中心으로" 세종대학 대학원 1985

      2 김영배, "황해도 지역 방언 연구-음운체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11 : 1981

      3 정인하, "현대 도시이론과 언어담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근대 도시이론과 현대 도시이론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건축역사학회 (35) : 65-85, 2003

      4 LH, "행정중심복합도시 마을 및 시설 명칭부여 학술연구용역 보고서" 2012

      5 위평량, "해안과 내륙의 마을 이름 비교 연구" 한국지명학회 8 : 93-112, 2002

      6 곽충구,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2002

      7 이익섭, "한국어촌방언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진단학회 42 : 61-97, 1976

      8 정인호, "평북방언에서의 'ㅈ, ㅅ'의 음변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 : 23-47, 2003

      9 이용주, "충청북도 소재 하천명에 대하여" 30 : 59-68, 1977

      10 박경래, "충북출신 중국 연변 조선족 언어집단의 경어법 혼합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53-82, 2005

      1 金永鎭, "禮山地方의 地名硏究 : 類型別 地名語를 中心으로" 세종대학 대학원 1985

      2 김영배, "황해도 지역 방언 연구-음운체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11 : 1981

      3 정인하, "현대 도시이론과 언어담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근대 도시이론과 현대 도시이론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건축역사학회 (35) : 65-85, 2003

      4 LH, "행정중심복합도시 마을 및 시설 명칭부여 학술연구용역 보고서" 2012

      5 위평량, "해안과 내륙의 마을 이름 비교 연구" 한국지명학회 8 : 93-112, 2002

      6 곽충구,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2002

      7 이익섭, "한국어촌방언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진단학회 42 : 61-97, 1976

      8 정인호, "평북방언에서의 'ㅈ, ㅅ'의 음변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 : 23-47, 2003

      9 이용주, "충청북도 소재 하천명에 대하여" 30 : 59-68, 1977

      10 박경래, "충북출신 중국 연변 조선족 언어집단의 경어법 혼합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53-82, 2005

      11 이근규, "충남지방지명의 접미사고" 한국언어문학회 14 : 129-153, 1976

      12 김정태, "충남방언 ‘X]vst+어요’의 음운론" 한국언어문학회 (75) : 113-136, 2010

      13 전철웅, "청주시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 서원대 호서문화연구소 12 : 55-75, 1998

      14 박병철, "청주 지역 지명 속에 남아 있는 고어휘에 대하여(2)" 서원대 호서문화연구소 12 : 77-93, 1998

      15 김진식, "청원지명의 음운론" 개신어문연구소 7 : 114-147, 1990

      16 김정태, "천원지역 지명어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어문연구회 19 : 35-59, 1989

      17 노승숙, "천안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順天鄕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8 김정태, "천안 방언 '어→으'의 모음상승에 대하여" 한글학회 (266) : 49-75, 2004

      19 김정대, "창원지역어 청자존대표현 ‘예’와 ‘요’의 사회언어학적 접근" 경남대 국어교육학회 173-96, 1984

      20 우창현, "제주방언 보조용언의 문법적 특성" 한국방언학회 2 : 303-322, 2005

      21 오창명, "제주도 오름 이름의 종합적 연구" 제주대출판부 2007

      22 정성경, "전남 방언의 파생접미사 ‘-치-’와 ‘-씨-’의 기능" 한국방언학회 (15) : 113-142, 2012

      23 위평량, "전남 동부 지역의 마을 이름 연구 ― 옛 여천군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3 : 71-91, 2000

      24 김정태, "전남 고흥의 나로도 지명어 고찰" 한국지명학회 5 : 5-27, 2001

      25 한성우, "의주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6 이미재, "언어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경기도 화성 방언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9

      27 최기환, "아산 지역 지명 연구 : ‘곡’계와 ‘촌’계 지명의 [전부요소]를 중심으로" 順天鄕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8 오새내, "사회언어학의 이론으로 본 지역 인구 변동과 지역어 변화의 관련성" 우리어문학회 (41) : 77-104, 2011

      29 박경래, "사회방언론" 한국방언학회 1 : 125-171, 2005

      30 강희숙, "사회방언 조사 방법" 한국방언학회 3 : 97-123, 2006

      31 김혜숙, "사회 방언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35) : 33-63, 2009

      32 김옥화, "부안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33 이병근, "동해안 방언의 이중모음에 대하여" 진단학회 36 : 133-147, 1973

      34 서울시립대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공간의 형성 원리와 도시민의 삶" 메이데이 2009

      35 김정태, "대전지역어의 모음 변이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65 : 27-55, 2010

      36 성희제, "대전 서남부 지명어의 음운과 형태연구" 어문연구학회 52 : 2006

      37 정호완, "대마도 지명의 문화론적 모색" 한국지명학회 11 : 111-133, 2005

      38 장승익, "김제방언의 모음 변화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39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3

      40 정인숙, "국문학 분야 도시 연구의 동향과 전망" 도시인문학연구소 3 (3): 287-310, 2011

      41 박경래, "괴산지역어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101 : 305-336, 1989

      42 강헌규, "공주 지명에 나타난 ‘고마, 熊, 懷, 公, 錦’의 어원" 공주향토문화연구회 5 : 5-24, 1992

      43 배주채, "고흥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44 강병륜, "고유지명어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7

      45 이정복, "경어법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국어연구회 109 : 1992

      46 전혜숙, "강원도 동해안 방언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3

      47 김진식, "自然部落名의 後部要素 硏究 ― 淸原郡 北二面을 中心으로 ―" 한국지명학회 9 : 35-60, 2003

      48 박경래, "忠州方言의 音韻에 대한 社會言語學的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49 朴正男, "平北 定州 地方의 方言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3

      50 崔泰榮, "全州 地域語의 音韻論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1980

      51 박덕유, "仁川地域의 中學校名 硏究" 한국지명학회 2 : 83-108, 1999

      52 Labov, W., "Language in the Inner Cit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2

      53 오새내, "20세기 서울지역어 형성의 사회언어학적 변인-인구이동과 언어접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21 : 155-17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