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개혁개방 이후 차갑게 얼어붙었던 정치무대가 해빙되면서 시단(詩壇)에도 여러 가지 실험이 모색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도시적 감수성의 회복을 주장하며 시 쓰기를 진행한 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53646
2018
Korean
1980년대 ; 상하이 ; 도시시 ; 『도시인』 ; 도시 서사 ; the 1980s ; Shanghai ; the school of urban poetry ; The City People ; city-narrative
KCI등재
학술저널
157-188(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차갑게 얼어붙었던 정치무대가 해빙되면서 시단(詩壇)에도 여러 가지 실험이 모색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도시적 감수성의 회복을 주장하며 시 쓰기를 진행한 상...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차갑게 얼어붙었던 정치무대가 해빙되면서 시단(詩壇)에도 여러 가지 실험이 모색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도시적 감수성의 회복을 주장하며 시 쓰기를 진행한 상하이(上海) 젊은이들의 등장이다. 상하이에서 대학을 다닌 쑹린(宋林)·장샤오보(張小波)·쑨샤오강(孫曉剛)·리빈융(李彬勇)은 ‘도시인’이라 는 단체를 결성하고, 1987년에는 동명의 시집을 출간하였는데, 시집『도시인』(都 市人)은 1980년대 새로운 시가 물결 속에서 ‘도시시’를 표방한 실험적인 첫 번째 텍스트로 꼽힌다. 그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도시 서사(抒寫)를 통해 ‘에우토피아 (Eutopia)’로서 도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도시몽(都市夢)’을 꿈꾸기도 하고, 현실 속의 도시가 ‘디스토피아(Distopia)’임을 자각하게 되며 느끼게 된 내면의 불안과 실 망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그들은 ‘도시’를 중심 소재로 삼아 각자 자신이 지향 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시 쓰기를 선보였지만, 새로운 창작 실험방법에 골몰한 나머 지 독자와의 소통에는 실패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겨 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ads The City People as the first poetic experiments of city-narratives that appeared in Shanghai in the 1980s. When the cold political situation in China was beginning to melt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in 1978, there rose several gr...
This paper reads The City People as the first poetic experiments of city-narratives that appeared in Shanghai in the 1980s. When the cold political situation in China was beginning to melt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in 1978, there rose several groups of poets who tried various experiments in their poetic circles. One of the groups of young poets in Shanghai insisted restoration of urban sensitivity and wrote poems with urban expressions. Songlin, Zhang Xiaobo, Sun Xiaogang and Li Binyong, who went the university in Shanghai, founded the poetic circle ‘City People,’ and published the anthology of poems with the same title, The City People. The City People is considered as the first experimental ‘Urban Poetry’ in the new poetic currents of the 1980s. Through their unique city-narratives, they highly evaluated the value of cities as ‘Eutopia,’ dreamed ‘the urban dream,’ and expressed anxiety and disappointment when they felt the cities as ‘Dystopia’ in reality. They produced various poetic works with cities as writing materials: however, they only focused on writing, creation and exploration instead of trying to communicate with readers.
참고문헌 (Reference)
1 "復旦诗社简介" 1 : 75-, 2017
2 "復旦大学“復旦诗社”作品专辑" 7 : 77-, 2010
3 김성배, "현대도시와 유토피아에 대한 철학적․정책적 시론 - 행복한 삶의 조건 규명을 위하여" 인문과학연구소 (48) : 303-328, 2016
4 심인보, "현대 미국시인론" 한신문화사 1998
5 이일영, "현대 도시 상하이의 발전과 상하이의 삶" 한신대학교 출판부 1989
6 박인성, "중국의 도시화와 발전축" 도서출판 한울 2009
7 董志凱, "중국의 도시화 과정과 도시건설(1949~2002)"
8 신경진, "중국도시 이야기, 고찰명" 문학동네 2013
9 주경철, "유토피아" 을유문화사 2009
10 존 줄리어스 노리치, "위대한 역사도시 70" 위즈덤하우스 2010
1 "復旦诗社简介" 1 : 75-, 2017
2 "復旦大学“復旦诗社”作品专辑" 7 : 77-, 2010
3 김성배, "현대도시와 유토피아에 대한 철학적․정책적 시론 - 행복한 삶의 조건 규명을 위하여" 인문과학연구소 (48) : 303-328, 2016
4 심인보, "현대 미국시인론" 한신문화사 1998
5 이일영, "현대 도시 상하이의 발전과 상하이의 삶" 한신대학교 출판부 1989
6 박인성, "중국의 도시화와 발전축" 도서출판 한울 2009
7 董志凱, "중국의 도시화 과정과 도시건설(1949~2002)"
8 신경진, "중국도시 이야기, 고찰명" 문학동네 2013
9 주경철, "유토피아" 을유문화사 2009
10 존 줄리어스 노리치, "위대한 역사도시 70" 위즈덤하우스 2010
11 이경하, "시인, ‘도시’를 만나다 ― 중국 현대 ‘都市詩’에 대한 試論"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58) : 115-156, 2011
12 성근제, "루야오의 ‘도농 교차지대’와 은폐된 서사" 도시인문학연구소 9 (9): 61-88, 2017
13 "디스토피아"
14 이중텐, "독성기" 에버리치홀딩스 2010
15 가스통 바술라르, "공기와 꿈" 민음사 1993
16 朱大可, "都市人" 學林出版社 1991
17 谢冕, "诗意城市:上海先锋诗歌论" 6 : 15-20, 2004
18 王晓渔, "诗坛的春秋战国——當代上海诗歌的场域(1980-1989)" 2 : 49-56, 2007
19 王晓渔, "诗人的隐居时代" 6 : 56-61, 2016
20 杨剑龙, "论先锋的上海與先锋的诗歌" 1 : 172-176, 2006
21 "詩人紹介: 宋琳"
22 孙晓刚, "當代城市诗的一次努力" 9 : 77-78, 1986
23 刘莉娜, "當今校园, 诗意何在—由夏雨诗社“復活”引发的探讨" 7 : 21-23, 2013
24 盧楨, "現代中國詩歌的城市抒寫"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2
25 徐遲, "現代(5:1)" 現代書局 1934
26 孫玉石, "現代 시의 역사적 위치와 예술 탐색" 18 : 233-296, 2002
27 王健, "昔日上海校园诗人今何在"
28 缪克构, "对上海城市诗歌的一种观察" 5 : 75-79, 2017
29 缪克构, "城市诗: 对城市的多元体认" 6 : 54-58, 2001
30 吴思敬, "城市化视野中的當代诗歌" 5 : 68-70, 2004
31 宋林, "城市人" 學林出版社 1987
32 李天靖, "围绕着靈魂的篝火 — 关于復旦诗社的诗人" 9 : 83-, 2005
33 張瑞燕, "喧哗與寂静:上海城市诗歌中的两种声音" 4 : 55-57, 2011
34 苏勤, "反思八十年代中国大陆“城市诗”—从诗集 城市人 谈起" 6 : 28-31, 2012
35 李彬勇, "历史、城市及城市诗" 9 : 78-, 1986
36 "华东师範大学夏雨诗社" 2 : 55-, 2017
37 宋琳, "內在的人—在渤海大學“詩人講壇”上的講演" 1 : 136-141, 2013
38 徐敬亞, "中國現代主義詩群大觀 1986-1989" 同濟大學出版社 1990
39 王书博, "上海“城市诗”派研究" 西南大学 2014
40 劉波, "“第三代”詩歌硏究" 河北大學出版社 2012
포스트모던 도시에 대한 사회학적 탐색 - 몸, 공간, 정체성
트랜스모던 공간으로서의 서울, 1948년 -염상섭 『효풍』의 현대적 의미
동아시아적 근대의 문제와 사설시조(辭說時調)의 장르지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4-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Urban Humanities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8-10-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도시인문학연구소영문명 :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Urban Humaniti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9 | 1.01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