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자신의 생각과 의식을 말, 문자, 그림, 몸짓, 눈짓, 표정, 복식 등의 다양한 매체로 표현해왔다. 이 가운데서도 문자와 그림으로 표현한 것은, 다른 매체를 사용한 것보다 더 오래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73536
-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과 의식을 말, 문자, 그림, 몸짓, 눈짓, 표정, 복식 등의 다양한 매체로 표현해왔다. 이 가운데서도 문자와 그림으로 표현한 것은, 다른 매체를 사용한 것보다 더 오래 가...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과 의식을 말, 문자, 그림, 몸짓, 눈짓, 표정, 복식 등의 다양한 매체로 표현해왔다. 이 가운데서도 문자와 그림으로 표현한 것은, 다른 매체를 사용한 것보다 더 오래 가고, 인쇄술과 결합될 때는 단시간에 폭넓게 보급‧확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사표현‧전달의 매체가 있다고 해도, 모든 생각과 의식을 표현할 수는 없다. 표현하는 사람의 주관이 작용하여, 또는 표현기법의 한계로 말미암아 생각과 의식의 일부를 표현하는 데 그친다. 문자나 그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그렇다 하더라도 일부의 생각과 의식을 통하여 그 기록이나 회화의 성격을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열려 있다.
문자나 그림으로 무엇을 표현한다고 할 때, 지극히 평범하고 일반적인 것보다는 무언가 좀 특별한 것, 기억하고 싶은 것, 자랑스러운 것, 남겨두어야 할 가치가 있는 것 등이 그 대상이 된다. 그렇지 않으면 문자기록이나 그림으로 온 세상이 뒤덮일 수 있을 것이며, 또 그렇게 많은 문헌이나 그림은 오히려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모든 그림은 작가가 살았던 시기의 일반적 사회상, 작가의 삶이라는 문제와 분리되기 어렵다. 바로 이점에서 그림에는 당대 사회의 지배이념이나 가치관, 세계관, 실제 삶의 방식 등이 무르녹아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19세기 경북 안동의 한 사람이 자기 문중의 여러 조상들에 대하여 그 생애에서 주요한 활동, 특징적인 삶을 그림으로 그리고 관련 詩文을 덧붙인 書畵帖을 만들었다면, 이것은 작가의 어떤 생각과 의식을 표현한 것인가? 서화첩 제작은 단순히 작가의 개인적 생각이나 의식으로부터 비롯된 것만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구조나 사회현실에 기초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그런 점에서 당시 사람들의 일반적인 문중의식이나 조상관을 이 서화첩을 통해서 상당부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조상의 다양한 삶의 자취 가운데서 무엇이, 어떻게 선택되어 그림으로 표현되었는가? 여기에는 인물에 대한 세간의 평가기준, 후손의 조상에 대한 흠모와 태도 등의 문제가 개입되어 있을 것이다. 바로 이점에서 당대의 양반들이 자신의 조상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조상에 대한 이해의 정도와 방식이 어떠한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오미마을 『세전서화첩』(이하 『서화첩』이라고도 함)에 실린 그림을 통하여, 작가와 당대 사람들의 문중의식과 조상관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에 대한 접근이라 해서 그림의 구도나 필치, 색감, 예술성 등을 평하거나 분석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화첩’이라고 할 때 ‘書’에 해당하는, 그림 뒤에 붙인 詩文에 대해서는 그림을 이해하는 데 보조적으로 활용할 뿐 직접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삼지는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된 원본 『세전서화첩』 2권(건,곤)의 그림 사진, 그리고 문중에서 1982년에 원본 『세전서화첩』을 영인하고 첨부된 시문을 金喆熙가 국역하여 한권으로 발간한 책자를 분석 자료로 삼았음을 밝힌다.
『서화첩』의 그림 분석과정에서는 ① ‘그림 밖에서 보는 방법’과 ② ‘그림 안에서 보는 방법’을 병행하고자 한다. 그림 밖에서 보는 방법이란 누구를 주인공으로 한 그림인가 하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며, 그림 안에서 보는 방법이란 그림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중요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접근 방법을 병행함으로써, 풍산김씨 오미문중을 구성하는 주요 조상이 누구인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림 속의 조상 개개인이 각기 어떤 생애를 살아서 후손들에게 어떻게 그 생애나 처신, 가치관이 기억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그림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무엇보다 그림 뒤에 덧붙인 해당 인물과 그림에 관한 詩文을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자료는 제2차 중간발표회에서 발표한 발표자료이다.
이 자료는 제2차 중간발표회에서 발표한 발표자료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풍산김씨 『서화첩』의 작자와 수록 그림 3. 『서화첩』에 수록된 그림의 주인공과 주제 4. 『서화첩』으로 본 조선후기 풍산김씨의 문중의식 5. 『서화첩』으로...
1. 머리말
2. 풍산김씨 『서화첩』의 작자와 수록 그림
3. 『서화첩』에 수록된 그림의 주인공과 주제
4. 『서화첩』으로 본 조선후기 풍산김씨의 문중의식
5. 『서화첩』으로본 조선후기 풍산김씨의 조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