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 따돌림 피해 여고생 집단상담 사례 연구 = A Study of Group Counseling for High School Female Victims of Group Bullying Using Art-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4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reports case studies of group counseling for high school female victims of group bullying to enhance victims’ positive self-esteem and prevent recurrence of bullying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ivities. The Subjects are four female students enrolled in an occupational high school who have been victims of group bullying since elementary school. For improv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we used structured art-therapy programs in the first and final stages, and peer-support group counseling in the middle stage.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counseling room of the school, once a week for 14 weeks, and 50 minutes per session. To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 we administered pre- and post self-esteem measures, and also conducted qualitative analyses. We find that,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the average self-esteem level increased from 23.5 before the program to 28 after the program. The qualitative analyses also reveal that the group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helps improve victim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 find that using art-therapy along with group counseling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번역하기

      The paper reports case studies of group counseling for high school female victims of group bullying to enhance victims’ positive self-esteem and prevent recurrence of bullying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ivities. The Subjects are four ...

      The paper reports case studies of group counseling for high school female victims of group bullying to enhance victims’ positive self-esteem and prevent recurrence of bullying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ivities. The Subjects are four female students enrolled in an occupational high school who have been victims of group bullying since elementary school. For improv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we used structured art-therapy programs in the first and final stages, and peer-support group counseling in the middle stage.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counseling room of the school, once a week for 14 weeks, and 50 minutes per session. To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 we administered pre- and post self-esteem measures, and also conducted qualitative analyses. We find that,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the average self-esteem level increased from 23.5 before the program to 28 after the program. The qualitative analyses also reveal that the group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helps improve victim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 find that using art-therapy along with group counseling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 여고생을 위한 집단 상담 사례연구로 긍정적 자아 존중감을 높여 재발을 방지하고 나아가 대인관계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대상자는 초등학교 때부터 집단 따돌림을 당해온 전문계고 여고생 4명으로 개인 상담 후 집단상담에 참여시켰다. 효과적인 집단 상담의 구성을 위해 초기와 후기에는 구조화 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중기에는 또래지지 집단상담의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학교 내 상담실에서 주 1회, 50분씩, 총 14회기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척도와 회기별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집단상담의 효과성에 있어서 보면, 집단원의 자아존중감 평균은 23.500에서 참여 후 자아존중감의 평균은 28.000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향상된 정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 t값은 5.196이고 유의도는 .014( ≤ .05 )로서 유의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기별 질적 분석 내용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 이를 통하여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집단 따돌림 피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상담에서 미술치료 활동을 병행하여 실제 상담 프로그램 진행시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졌다고 본다. 이러한 결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본 연구의 대상자가 18세 여고생 4명으로 표본의 수가 적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와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 여고생을 위한 집단 상담 사례연구로 긍정적 자아 존중감을 높여 재발을 방지하고 나아가 대인관계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대상자는 초등학교 ...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 여고생을 위한 집단 상담 사례연구로 긍정적 자아 존중감을 높여 재발을 방지하고 나아가 대인관계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대상자는 초등학교 때부터 집단 따돌림을 당해온 전문계고 여고생 4명으로 개인 상담 후 집단상담에 참여시켰다. 효과적인 집단 상담의 구성을 위해 초기와 후기에는 구조화 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중기에는 또래지지 집단상담의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학교 내 상담실에서 주 1회, 50분씩, 총 14회기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척도와 회기별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집단상담의 효과성에 있어서 보면, 집단원의 자아존중감 평균은 23.500에서 참여 후 자아존중감의 평균은 28.000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향상된 정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 t값은 5.196이고 유의도는 .014( ≤ .05 )로서 유의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기별 질적 분석 내용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 이를 통하여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집단 따돌림 피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상담에서 미술치료 활동을 병행하여 실제 상담 프로그램 진행시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졌다고 본다. 이러한 결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본 연구의 대상자가 18세 여고생 4명으로 표본의 수가 적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와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