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부철도 개통초기 일본인 청년의 남한지역 철도여행 - 야노 쿠니타로의 『경부철도안내』(1905)를 중심으로 = The Railroad Travels of Japanese Youth in Southern Korea after the Opening of the Gyeongbu Railroad - Focusing on Yano Kunitaro’s Gyeongbu Railroad Information (1905)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야노 쿠니타로가 쓴 『경부철도여행』(1905)를 활용하여 경부철도 개통초기 일본인의 남한지역 여행을 검토한 글이다. 야노는 1904년 12월 말 경부철도 전구간 개통을 맞아 철도연선을 따라 부산, 대구, 대전, 성환, 수원, 서울, 인천 등지를 살피고 있었다. 당시 경부철도는 아직 개통 초기인 데다가 무리하게 조기 준공한 탓에 많은 문제점과 불편함을 안고 있었다. 게다가 애초 일본의 식민지배를 돕기 위해 건설되고 있었기 때문에 철저히 ‘일본인 본위’로 운영되고 있었다.
      여행일정을 보면 야노의 주된 관심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의 주요 전적지인 성환과 인천에 있었다. 당시 야노는 강대국 중심의 제국주의 이념과 맹목적 애국주의에 빠져 있어서 이 지역 방문을 통해 일본의 높아진 위상을 확인하고 싶어했다. 그는 전쟁으로 인한 피해와 참상은 외면한 채 전쟁으로 얻은 국익에만 집착하였다. 또한 그는 한국을 근대화, 문명화시켜야 한다는 사명의식에 충만했고, 한국인을 게으름, 야만, 겉멋, 불결, 비위생의 악습을 지닌 민족으로 멸시하고 있었다. 야노에게 경부철도는 청일‧러일전쟁의 전적지를 방문하면서 일본제국주의의 위상을 체감하도록 돕고 그의 맹목적 애국주의를 고양시키는 유용한 수단일 뿐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야노 쿠니타로가 쓴 『경부철도여행』(1905)를 활용하여 경부철도 개통초기 일본인의 남한지역 여행을 검토한 글이다. 야노는 1904년 12월 말 경부철도 전구간 개통을 맞아 철도연...

      본 연구는 야노 쿠니타로가 쓴 『경부철도여행』(1905)를 활용하여 경부철도 개통초기 일본인의 남한지역 여행을 검토한 글이다. 야노는 1904년 12월 말 경부철도 전구간 개통을 맞아 철도연선을 따라 부산, 대구, 대전, 성환, 수원, 서울, 인천 등지를 살피고 있었다. 당시 경부철도는 아직 개통 초기인 데다가 무리하게 조기 준공한 탓에 많은 문제점과 불편함을 안고 있었다. 게다가 애초 일본의 식민지배를 돕기 위해 건설되고 있었기 때문에 철저히 ‘일본인 본위’로 운영되고 있었다.
      여행일정을 보면 야노의 주된 관심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의 주요 전적지인 성환과 인천에 있었다. 당시 야노는 강대국 중심의 제국주의 이념과 맹목적 애국주의에 빠져 있어서 이 지역 방문을 통해 일본의 높아진 위상을 확인하고 싶어했다. 그는 전쟁으로 인한 피해와 참상은 외면한 채 전쟁으로 얻은 국익에만 집착하였다. 또한 그는 한국을 근대화, 문명화시켜야 한다는 사명의식에 충만했고, 한국인을 게으름, 야만, 겉멋, 불결, 비위생의 악습을 지닌 민족으로 멸시하고 있었다. 야노에게 경부철도는 청일‧러일전쟁의 전적지를 방문하면서 일본제국주의의 위상을 체감하도록 돕고 그의 맹목적 애국주의를 고양시키는 유용한 수단일 뿐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영, "한성에 건설된 두 개의 경인철도 정차장 - 경성정차장과 남대문정차장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71) : 93-122, 2018

      2 정태헌, "한반도철도의 정치경제학" 도서출판선인 2017

      3 최성환, "한말 일제초 ‘수원면’ 토지와 인물" 수원시정연구원 2017

      4 손길신, "한국철도사" 북코리아 2021

      5 이송순, "한국철도, 추억과 희망의 레일로드" 도서출판선인 2016

      6 이형석, "한국 근현대의 표준시 변천과정" 전남대 2015

      7 김동식, "철도의 근대성-「경부철도노래」와 「세계일주가」를 중심으로" 15 : 2002

      8 정재정, "철도와 근대 서울" 국학자료원 2018

      9 이수연 ; 전봉희, "철도공사를 통해 본 대한제국기 청부업의 초기적 형태" 한국건축역사학회 29 (29): 17-28, 2020

      10 이희준 ; ITO, Masahiko, "증약터널 및 하야시 곤스케의 액석에 관한 연구 - 건립과정과 역사적 가치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15-122, 2014

      1 최인영, "한성에 건설된 두 개의 경인철도 정차장 - 경성정차장과 남대문정차장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71) : 93-122, 2018

      2 정태헌, "한반도철도의 정치경제학" 도서출판선인 2017

      3 최성환, "한말 일제초 ‘수원면’ 토지와 인물" 수원시정연구원 2017

      4 손길신, "한국철도사" 북코리아 2021

      5 이송순, "한국철도, 추억과 희망의 레일로드" 도서출판선인 2016

      6 이형석, "한국 근현대의 표준시 변천과정" 전남대 2015

      7 김동식, "철도의 근대성-「경부철도노래」와 「세계일주가」를 중심으로" 15 : 2002

      8 정재정, "철도와 근대 서울" 국학자료원 2018

      9 이수연 ; 전봉희, "철도공사를 통해 본 대한제국기 청부업의 초기적 형태" 한국건축역사학회 29 (29): 17-28, 2020

      10 이희준 ; ITO, Masahiko, "증약터널 및 하야시 곤스케의 액석에 관한 연구 - 건립과정과 역사적 가치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15-122, 2014

      11 야즈 쇼에이, "조선시베리아기행" 도서출판선인 2016

      12 최혜주, "정탐 : 제국일본, 조선을 엿보다" 한양대학교출판부 2019

      13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1892~1945)"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4 이계형, "일제의 對韓 ‘보호국화’ 추진과 학정참여관 시데하라(幣原坦)의 식민교육정책" 숭실사학회 (46) : 91-112, 2021

      15 장윤이, "인천해전의 선택적 기록과 목적적 기억" 인천학연구원 1 (1): 189-229, 2011

      16 崔惠珠, "시데하라(幣原坦)의 顧問活動과 한국사연구" 79 : 1998

      17 아손 그렙스트, "스웨덴기자 아손, 100년전 한국을 걷다" 책과함께 2005

      18 남미혜, "순정효황후(1894-1966)의 권업모범장 行啓와 收繭式" 이화사학연구소 (66) : 191-225, 2023

      19 "세 가지 시선, 러일전쟁" 인천광역시립박물관 2010

      20 최영호, "부관연락선과 부산 : 식민도시 부산과 민족 이동" 논형 2007

      21 김지환, "모던 철도 : 근대화, 수탈, 저항이 깃든 철도 이야기" 책과함께 2022

      22 박천홍,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 산처럼 2003

      23 윤소영, "러일전쟁 전후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물에 보이는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1) : 49-94, 2007

      24 김종헌, "러일전쟁 시기 제물포 해전과 만주에서의 육상전" 49 : 2012

      25 이노우에 유이치, "동아시아 철도 국제관계사" 지식산업사 2005

      26 루돌프 차벨, "독일인 부부의 한국신혼여행 1904" 살림 2009

      27 "독립신문"

      28 오진석, "대한제국 후기의 양잠정책과 양잠서적" 민족문화연구원 (94) : 415-457, 2022

      29 기무라 겐지(木村健二), "근대 교류사와 상호인식Ⅰ" 아연출판부 2002

      30 정경희, "규장각의궤해제집 2" 서울대학교규장각 2004

      31 리하르트 분쉬, "고종의 독일인 의사 분쉬" 학고재 1999

      32 김대래 ; 박희정 ; 미야키 케이나, "개항기 일본인의 여행기에 나타난 조선인식 : 혼마 규스케의 <조선잡기>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93) : 65-99, 2014

      33 李壽基, "개항기 서양인의 여행기를 통해 본 한국관" 한국외국어대 2014

      34 野田正, "韓國大邱案內" 大邱實業新報社 1905

      35 金英宇, "韓國 開化期의 敎育" 敎育科學社 1997

      36 矢津昌永, "韓国地理" 丸善 1904

      37 "萬歲報"

      38 "統別勅令往復案"

      39 "皇城新聞"

      40 "每日申報"

      41 "朝鮮評論"

      42 "朝鮮總督府官報"

      43 "朝鮮之實業"

      44 "朝鮮の鐵道" 朝鮮總督府鐵道局 1927

      45 "朝鮮"

      46 荒川五郞, "最近朝鮮事情" 淸水書店 1906

      47 "日韓通商協會會報"

      48 鄭在貞, "日本의 對韓 侵略政策과 京仁鐵道 敷設權의 獲得" 77 : 2001

      49 "帝國新聞"

      50 "官報"

      51 "大韓每日申報"

      52 矢野國太郎, "地理研究 阿蘇登山" 九州之少年社 1906

      53 亀井忠一, "地理書教授の最新資料" 三省堂 1904

      54 "公報"

      55 矢野國太郎, "京釜鐵道案內 : 南韓旅行記" 修文館‧積善館 1905

      56 "京釜鐵道案內" 京釜鐵道株式會社 1905

      57 "京釜鐵道合同"

      58 "京仁間鐵路合同"

      59 井野辺茂雄, "七十偉人" 武田文永堂 1909

      60 최혜주, "『朝鮮西伯利紀行』(1894)에 보이는 야즈 쇼에이(矢津昌永)의 조선 인식"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4) : 57-93, 2008

      61 정재정, "20세기 초 한국 문학인의 철도 인식과 근대문명의 수용 태도" 7 : 2000

      62 신예경, "20세기 서울역사의 도시공간적 변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63 최혜주, "1900년대 일본인의 조선이주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5) : 43-92,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