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효과적 기준 - SPSS와 Microsoft Excel를 이용한 적용 사례 = The Effectiv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 An Application with SPSS and Microsoft Exc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9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마케팅에서 군집분석은 시장세분화 관련 연구 및 라이프스타일 관련 연구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문헌에서는 군집분석의 방법론적 측면에 대해서는 충분한 관...

        마케팅에서 군집분석은 시장세분화 관련 연구 및 라이프스타일 관련 연구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문헌에서는 군집분석의 방법론적 측면에 대해서는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흔히 사용되는 통계 소프트웨어인 SPSS에서는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준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객관적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오해되는 경우가 있으며, 연구자들은 군집의 수를 결정할 때 여러 가지 휴리스틱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BR>  본 연구에서는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되어 온 여러 가지 방법(e.g., 해석가능성, 균등 비율, 스크리 테스트, MANOVA)을 검토하고 그 한계점을 논의한다. 군집의 수를 결정하는 30 가지 객관적 기준의 효과성을 비교한 Milligan and Cooper (1985)의 연구를 검토하며, 그들의 조사 결과 가장 효과적인 기준으로 밝혀진 Calinski and Habarasz (1974)의 방법과 Duda and Hart (1973)의 방법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SPSS와 Microsoft Excel을 이용하여 이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는 사례를 제시한다. 본 연구 결과는 군집의 수를 결정할 때 효과적 기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luster analysis has been an important analytical tool in marketing, especially among market segmentation and lifestyle researchers. SPSS, the most widely used statistical software among marketing researchers, does not provide any criteria...

        Cluster analysis has been an important analytical tool in marketing, especially among market segmentation and lifestyle researchers. SPSS, the most widely used statistical software among marketing researchers, does not provide any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And the marketing literature has paid insufficient attention to methodological aspects of cluster analysis. Such situations lead to a widely-held misunderstanding that there are no objectiv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BR>  This study reviews several method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that is, interpretability, balanced ratio, scree test and MANOVA), and discuss their limitations. We introduce the results of Milligan & Cooper (1985), who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irty methods for determining the right number of clusters. We also explain the methods proposed by Calinski & Habarasz (1974) and Duda & Hart (1973), which are the most effective criteria according to Milligan & Cooper (1985). Finally, this study illustrates how to apply Calinski & Habarasz (1974)"s and Duda & Hart (1973) "s method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using SPSS and Microsoft Excel. The study can be helpful to those who seek effectiv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여러 기준
        Ⅲ. SPSS 및 Microsoft Excel을 이용한 적용 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Ⅰ. 서론
        Ⅱ.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여러 기준
        Ⅲ. SPSS 및 Microsoft Excel을 이용한 적용 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재석, "통계학회-SAS ‘통계분석툴 인상’ 놓고 정면 충돌”, 디지털데일리, 2006년 6월 25일자"

      2 조은성, "탐색적 요인분석 사용의 적절성 검토: ‘마케팅연구’1986년 ~ 2006년"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79-208, 2007

      3 손영석, "브랜드 STP 전략론" 비앰엔 북스 2006

      4 Levesque, R., "Raynold's SPSS Tools, Available at http://pages.infinit.net/rlevesqu/index.htm, Accessed May 18, 2007"

      5 Wells, W. D., "Psychographics: A critical review" 12 : 196-213, 1975

      6 Duda, R. O, "Pattern classification and scene analysis" Wiley 1973

      7 Armstrong, J. S, "On interpretation of factor analysis" 70 : 361-364, 1968

      8 Frank, R. A, "Numerical taxonomy in marketing analysis:A review article" 5 (5): 83-98, 1968

      9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Prentice Hall 1995

      10 Wedel, M., "Market segmentati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2nd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 심재석, "통계학회-SAS ‘통계분석툴 인상’ 놓고 정면 충돌”, 디지털데일리, 2006년 6월 25일자"

      2 조은성, "탐색적 요인분석 사용의 적절성 검토: ‘마케팅연구’1986년 ~ 2006년"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79-208, 2007

      3 손영석, "브랜드 STP 전략론" 비앰엔 북스 2006

      4 Levesque, R., "Raynold's SPSS Tools, Available at http://pages.infinit.net/rlevesqu/index.htm, Accessed May 18, 2007"

      5 Wells, W. D., "Psychographics: A critical review" 12 : 196-213, 1975

      6 Duda, R. O, "Pattern classification and scene analysis" Wiley 1973

      7 Armstrong, J. S, "On interpretation of factor analysis" 70 : 361-364, 1968

      8 Frank, R. A, "Numerical taxonomy in marketing analysis:A review article" 5 (5): 83-98, 1968

      9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Prentice Hall 1995

      10 Wedel, M., "Market segmentati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2nd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1 "KISS (2007), http://kiss.kstudy.com"

      12 Mirkin, B., "Clustering for data mining: A data recovery approach. Chapman & Hall/CRC"

      13 Romesburg, H. C., "Cluster analysis for researchers. Lulu Press"

      14 Saunders, J., "Cluster analysis" 10 : 13-28, 1994

      15 Aldenderfer, M. S, "Cluster analysis" Sage Publications 1984

      16 Milligan, G. W., "An examination of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in a data set" 50 (50): 159-179, 1985

      17 Hubert, L. J, "A general statistical framework for assessing categorical clustering in free recall" 83 : 1072-1080, 1976

      18 Calinski, R. B, "A dendrite method for cluster analysis" 3 : 1-27, 1974

      19 O'Connor, B. P., ""SPSS, SAS, and MATLAB program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factors using parallel analysis and Velicer's MAP test," Available at http://flash.lakehea요.ca/~boconno2/nfactors/nfactor.html. Accessed April 13,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8-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 Journal of Product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3 0.78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