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의 삼강오륜 중 군신유의, 즉 국가와 개인의 관계가 이슬람의 수니파와 시아파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이슬람은 종교인 동시에 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0636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교의 삼강오륜 중 군신유의, 즉 국가와 개인의 관계가 이슬람의 수니파와 시아파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이슬람은 종교인 동시에 국...
유교의 삼강오륜 중 군신유의, 즉 국가와 개인의 관계가 이슬람의 수니파와 시아파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이슬람은 종교인 동시에 국가의 통치철학이고 개인의 삶의 방식이라고 많은 학자들이 언급하고 있다 (Esposito 1997, 13-14). 때문에 군신유의와 같은 국가와 개인 간의 관계를 명시하고 있는 유교와 비교하는 것이 이슬람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 연구는 가정한다. 기독교 등 다른 종교와는 달리 이슬람은 알라의 계시를 받은 인간, 즉 사도 무함마드가 예언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슬람 국가를 창설하는 과정에서 정립된 종교이다 (Brown 2000, 26). 따라서 본 연구는 ‘유교의 삼강오륜 중 군신유의는 통치철학이자 생활종교인 이슬람 종교가 강조하는 국가와 개인 간의 관계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유교의 국가와 개인의 관계, 즉 군신유의가 이슬람 쉬아파와 수니파의 이론과 실제에서 어떻게 유사하게 혹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주제별 담론 분석(thematic discourse analysis)을 이용한다. 이러한 접근은 정치종교학이 추구하는 이념과 이익(ideas and interests) 그리고 상징적 정치와 실제 행위(symbolic politics and existential actions)와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는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슬람의 수니파와 쉬아파가 제시하는 이상과 이론은 시대가 지나면서 과거와 현재의 실제적 행위와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국가, 사회 그리고 개인의 기본적 관계를 설정하는 중요한 가치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한국 정치에서 다소 남아있는 군신유의를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주제로 접근할 것이다: 1) 국가 및 군주의 개념과 지위 및 기능; 2) 개인 혹은 국민의 개념과 지위 및 권리와 의무; 그리고 3) 국가와 개인의 중간 역할인 관료의 역할과 기능이다.
위의 3가지 주제가 이슬람의 경전 쿠란, 이슬람의 법체계인 샤리아(Sharia) 그리고 수니파와 시아파 각각의 피크흐(Fiqh)에서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우선 분석한다. 수니파와 시아파의 이상과 이론에 등장하는 국가와 개인의 관계를 유교의 군신유의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어 현대 수니파 및 쉬아파 이슬람 사회에서 군신유의의 가치와 윤리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개인적 경험, 사회학 및 인류학적 문헌,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주제별 세부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주제: 국가 및 군주의 개념과 지위 및 기능
① 쿠란과 샤리아에 나타나는 국가 및 군주
② 수니파 및 쉬아파 피크흐에 나타나는 국가와 군주
③ 현대 문헌과 정치체제에 나타나는 국가와 군주
* 제2주제: 개인 혹은 국민의 개념과 지위 및 권리와 의무
① 쿠란과 샤리아에 나타나는 개인 혹은 국민
② 수니파 및 쉬아파 피크흐에 나타나는 개인 혹은 국민
③ 현대 문헌과 정치체제에 나타나는 개인 혹은 국민
* 제3주제: 국가와 개인의 중간 역할은 관료의 역할과 기능
① 쿠란과 샤리아에 나타나는 관료의 역할과 기능
② 수니파 및 쉬아파 피크흐에 나타나는 관료의 역할과 기능
③ 현대 문헌과 정치체제에 나타나는 관료의 역할과 기능
위의 세 주제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는 아래의 자료들에서 추출할 것이다.
* 쿠란:
Ali, A. Yusuf. The Holy Quran: Translation and Commentary. Jedda: Dar al-Qibla, 1983.
최영길. 쿠란 해설. 서울: 송산출판사, 1997. 최영길 교수의 쿠란 해설은 아랍어, 영어, 그리고 한국어 3개 언어의 번역이 모두 담겨있어 정확한 의미 파악에 적절한 쿠란 번역본이라고 할 수 있다.
최영길.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 번역. 리야드: 파하드 국왕 꾸란 번역청, 1997.
* 이슬람법: 서방은 물론 중동의 이슬람 학자들에 의해 가장 널리 알려진 이슬람법 집대성 자료인 도이(Abd al-Rahman Doi)의 Sharia: Islamic Law를 주로 참조할 것이다.
* 현대문헌: 수니파와 쉬아파 현대 정치체제에 나타나는 국가와 개인의 관계의 실제와 이론을 파악하기 위한 현대의 문헌 자료는 그 주제에 따라 학계에 잘 알려진 저명한 단행본을 기초로 한다. 대표적인 단행본은 다음과 같다.
Abou El Fadl, Khaled. Rebellion and Violence in Islamic Law.
Beinin, Joel and Joe Stork. Political Islam: Essays from Middle East Report.
Brown, Carl L. Religion and State: The Muslim Approach to Politics.
Moaddel, Mansoor and Kamran Talattof. Modernist and Fundamentalist Debates in Islam: A Reader.
Renard, John. Seven Doors to Islam: Spirituality and the Religious Life of Musli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