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상실습 경험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Litera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2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다. 2019년 12월 2일부터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48명의 간호대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활용능력은 나이, 개인정보보호 교육 유무,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 정도, 정보전산화 발전 시 개인정보보호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 정도, 의료정보 노출 시 프라이버시 침해정도, 정보전산화 발전 시 개인정보보호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은 하위 영역을 포함하여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6,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때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 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다. 2019년 12월 2일부터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48명의 간호...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다. 2019년 12월 2일부터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48명의 간호대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활용능력은 나이, 개인정보보호 교육 유무,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 정도, 정보전산화 발전 시 개인정보보호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 정도, 의료정보 노출 시 프라이버시 침해정도, 정보전산화 발전 시 개인정보보호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은 하위 영역을 포함하여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6,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때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 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 to 13, 2019, and a total of 148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as measu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 WIN 25.0.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 to 13, 2019, and a total of 148 peopl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ge, the existen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the degree of knowledg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the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development of computeriz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knowledge, the degree of privacy infringement when exposing medical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puterization.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including sub-domains(r=.36, p<.001). Therefore, when providing education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nursing college students, a program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plan should be introduced,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 t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 to 13, 2019, and a total of 148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as measu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 WIN 25.0.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 to 13, 2019, and a total of 148 peopl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ge, the existen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the degree of knowledg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the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development of computeriz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knowledge, the degree of privacy infringement when exposing medical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puterization.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including sub-domains(r=.36, p<.001). Therefore, when providing education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nursing college students, a program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plan should be introduced,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성혁, "환자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 의료종사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2 김창희,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과 실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79-490, 2013

      3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4 이현정, "임상실습 경험 간호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에 대한 융합적 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4 (4): 53-60, 2018

      5 이한주, "의료영역에서의 개인정보보호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의료법학회 20 (20): 267-293, 2012

      6 차기정, "의료기관 근로자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대한평가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253-1263, 2015

      7 손연정,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의 정보검색능력이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24 (24): 635-646, 2012

      8 김미옥, "산부인과 간호사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8 (18): 268-278, 2012

      9 서형은, "병원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3 (23): 52-62, 2017

      10 이혜영,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척도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1 안성혁, "환자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 의료종사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2 김창희,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과 실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79-490, 2013

      3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4 이현정, "임상실습 경험 간호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에 대한 융합적 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4 (4): 53-60, 2018

      5 이한주, "의료영역에서의 개인정보보호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의료법학회 20 (20): 267-293, 2012

      6 차기정, "의료기관 근로자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대한평가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253-1263, 2015

      7 손연정,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의 정보검색능력이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24 (24): 635-646, 2012

      8 김미옥, "산부인과 간호사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8 (18): 268-278, 2012

      9 서형은, "병원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3 (23): 52-62, 2017

      10 이혜영,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척도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11 이혜진, "대학병원 간호사의 정보자원이용, 정보활용능력 및 근거기반실무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12 보건복지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의료기관편"

      13 이미영, "간호사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 병원간호사회 11 (11): 7-20, 2005

      14 이은주, "간호대학생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24 (24): 225-234, 2018

      15 김소영,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1 (1): 59-64, 2015

      16 정귀임, "간호 대학생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에 대한 동의 및 실천정도" 보건의료산업학회 5 (5): 65-79, 2011

      17 Mannix, J., "‘Good ethics and moral standing' : A qualitative study of aesthetic leadership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24 : 1603-1610, 2015

      18 Heye, M. L., "Using new resources to teach evidence-based practice" 48 (48): 334-339, 2009

      19 Ӧzdemir, L, "Turkish nurses' utilization of research evidence in clinical practice and influencing factors" 56 (56): 319-325, 2009

      20 Yakov, G., "Nurses' perceptions of ethical issues related to patients' rights law" 17 (17): 501-510, 2015

      21 McCarthy, J., "Moral distress : A review of the argument-based nursing ethics literature" 22 (22): 131-152, 2015

      22 Thorsteinsson, H. S., "Icelandic Nurses’ Beliefs, Skills, and Resources Associated with Evidence-Based Practice and Related Factors : A National Survey" 10 (10): 116-126, 2013

      23 Hwang, J. I.,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informatics competency" 29 (29): 256-262, 2011

      24 Joung, M. 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s and nurses i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to the emergency room nurses' behavior for protecting patient privacy" 4 (4): 68-7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