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재적응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School Re-adaptation Process of Dropout Youth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3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readaptation process of youth who had dropped out of school. For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returned school at least over 6 months, and performe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guidance of the Ground Theory of Strauss and Cobin(2008). Open coding results in 133 concepts, 42 sub-categories followed by 19 more abstracted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was ``academic motivation``. Participations had perceived the situation and had affected by people around them before they had motivation to return to school. In the process of ``having motivation`` and ``re-adaptation in the school``, they experienced ``reestablishment determination``, ``changing habits``, ``thinking family`` and ``building up friendship``. A support of parent, friends, teachers, and expert was significant conditions to affect the process of school re-adaption. The results of school re-adaption were ``school adaptation``, ``discontinuance delinquent`` and ``having a dream``.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 framework for practical supporting method to prevent re-dropout of returned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readaptation process of youth who had dropped out of school. For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returned school at least over 6 m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readaptation process of youth who had dropped out of school. For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returned school at least over 6 months, and performe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guidance of the Ground Theory of Strauss and Cobin(2008). Open coding results in 133 concepts, 42 sub-categories followed by 19 more abstracted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was ``academic motivation``. Participations had perceived the situation and had affected by people around them before they had motivation to return to school. In the process of ``having motivation`` and ``re-adaptation in the school``, they experienced ``reestablishment determination``, ``changing habits``, ``thinking family`` and ``building up friendship``. A support of parent, friends, teachers, and expert was significant conditions to affect the process of school re-adaption. The results of school re-adaption were ``school adaptation``, ``discontinuance delinquent`` and ``having a dream``.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 framework for practical supporting method to prevent re-dropout of returned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학업중단현황 심층분석 및 맞춤형 대책연구"

      2 이경상, "학업중단이후 첫번째 아르바이트 참여실태 및 지원방안 : 기관소속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265-289, 2006

      3 이준기, "학업중단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 과" 단국대학교 2010

      4 이병환,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응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9 (29): 175-196, 2002

      5 배영태, "학교중도탈락의 선행요인과 판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23-35, 2003

      6 김혜영, "학교중도탈락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9 (9): 2002

      7 성윤숙,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295-343, 2005

      8 최동선,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9 김기태, "학교부적응 문제를 가진 청소년을 위한 문제해결 프로 그램 연구" 6 : 199-266, 1996

      10 장석민,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학교를 떠난 청소년의 진로문제와 지 도대책"

      1 교육과학기술부, "학업중단현황 심층분석 및 맞춤형 대책연구"

      2 이경상, "학업중단이후 첫번째 아르바이트 참여실태 및 지원방안 : 기관소속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265-289, 2006

      3 이준기, "학업중단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 과" 단국대학교 2010

      4 이병환,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응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9 (29): 175-196, 2002

      5 배영태, "학교중도탈락의 선행요인과 판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23-35, 2003

      6 김혜영, "학교중도탈락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9 (9): 2002

      7 성윤숙,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295-343, 2005

      8 최동선,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9 김기태, "학교부적응 문제를 가진 청소년을 위한 문제해결 프로 그램 연구" 6 : 199-266, 1996

      10 장석민,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학교를 떠난 청소년의 진로문제와 지 도대책"

      11 조아미, "청소년의 학교중퇴 의도 결정요인" 한국청소년학회 9 (9): 1-22, 2002

      12 Maxwell,J.A, "질적연구설계:상호작용적 접근" 군자출판사 2009

      13 구본용, "중퇴에 관한 위험 및 보호요인의 신경망 모형"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133-146, 2003

      14 이숙영,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15 석숙이, "중도탈락 학생의 학교재적응을 위한 사회사업 개입방안" 부산 대학교 2000

      16 송현종, "재입학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정 연구" 9 (9): 1998

      17 정민선,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 (19): 87-105, 2011

      18 김민, "자발적 학업중도탈락현상 발생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19 금명자,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299-317, 2008

      20 서울특별시 교육청, "서울 초·중·고교 학업 중단 학생 실태 조사와 예 방 및 복귀 지원을 위한 정책 대안 개발 연구"

      21 김성애, "사회극이 고등학교 복학생의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효과" 5 (5): 1-18, 2005

      22 최영신, "비행청소년의 학교 재적응에 관한 연구"

      23 장원영, "복교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3

      24 주영아, "복교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0 (10): 127-146, 2002

      25 고혜영, "복교생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1998

      26 성미정, "복교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게슈탈트 심리치료 집단프로 그램 개발" 한남대학교 2009

      27 차은선, "복교 청소년의 학교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우석대학교 1998

      28 Strauss,A, "근거이론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1

      29 Strauss,A,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30 Schreiber,R.S, "근거이론 연구방법론" 현문사 2003

      31 이경상, "국가발전과 청소년대안교육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진로설정 실태 및 지원방안" 한국청소년학회 2004

      32 정진구, "고등학교 복학생들의 퇴학,복학의 원인과 자아정체감 및 학 교부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1999

      33 김지혜, "가출청소년의 학업중단 영향 요인과 대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133-157, 2006

      34 Padget,D.K, "Qualitative Methodsin SocialWork Research" SagePrblication,Inc 2008

      35 Dupper,D.R, "Preventing SchoolDropouts; Guideline for School WorkinPractice" 12 : 1993

      36 Kaufman,P, "Highschooldropoutswhoreturntoschoo" ClaremontGraduateSchool 1989

      37 Franklin, C, "Family and individual patterns in a group of middle-classdropoutyouths" 37 (37): 338-344, 1992

      38 Muha,D,G, "Dropoutprevention and groupcounseling" Jossey-Bass 1991

      39 Strauss,A.L, "Basics of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andProceduresforDevelopmentGroundedTheory" SagePrblication,Inc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