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중 세법학회 간 국제학술교류의 회고와 전망 = Retrospect and Prospect of Academic Exchanges between Tax Law Associations of Korea and Chin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은 한·중 세법학회 간 국제학술교류를 실시한 지 10주년이 되며, 한국세법학회의 창립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논문은 5차에 걸쳐 교류를 진행한 한·중 세법학회 간의 국제학술교류의 이력을 담은 역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외에 한국 학회와 중국학회의 학문적 성숙 과정을 세법사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기조발제 논문이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양국에서 공통의 관심사이었던 세법의 주요 쟁점을 시간 순으로 그리고 사안별로 정리하여 소개하고, 각 단락마다 필자의 의견을 적고 있다.
      이 논문에 기술되어 있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양 학회 간의 5차에 걸친 정례 교류의 이력과 매 회별로 논의된 대주제와 발제자와 발제 내용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어서 이 10년의 기간 동안 중국세제의 주요 변천의 내용을 중국세제의 법치화 추구과정이라고 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중국의 신기업소득세법의 법전화 및 직접세 단일화 과정, 증치세의 도입과 대형 간접세로의 단일화 과정, 한국에서와 같이 국가 부의 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동산 투기억제를 위한 토지세 도입의 논의 그리고 국제조세에서의 조세조약 집행정책의 변천과 이전가격 세제에 대한 내용을 구분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양 학회 간의 장래 관심사에 관한 향후 전망으로 양국의 교역상에 문제되는 세제로서 주식의 역외양도세에 대한 외국납부세액 공제문제, 증치세 대리징수문제, 배당소득에 대한 외국납부세액 공제문제 등의 현안 과제와 동아시아 3국의 학자들이 논의할 장기과제로 환경세 도입, 중국의 조세통칙법 도입 등의 과제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결론으로 한국•중국 및 일본이 세제의 세계적 조화를 위한 국제적 논의 과정에서 과거의 주변적 입장을 벗어나서 적극적으로 국제적 논의를 주도해 나가는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제안을 하고 있다.
      번역하기

      2016년은 한·중 세법학회 간 국제학술교류를 실시한 지 10주년이 되며, 한국세법학회의 창립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논문은 5차에 걸쳐 교류를 진행한 한·중 세법학회 간의 국제학술교류�...

      2016년은 한·중 세법학회 간 국제학술교류를 실시한 지 10주년이 되며, 한국세법학회의 창립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논문은 5차에 걸쳐 교류를 진행한 한·중 세법학회 간의 국제학술교류의 이력을 담은 역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외에 한국 학회와 중국학회의 학문적 성숙 과정을 세법사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기조발제 논문이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양국에서 공통의 관심사이었던 세법의 주요 쟁점을 시간 순으로 그리고 사안별로 정리하여 소개하고, 각 단락마다 필자의 의견을 적고 있다.
      이 논문에 기술되어 있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양 학회 간의 5차에 걸친 정례 교류의 이력과 매 회별로 논의된 대주제와 발제자와 발제 내용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어서 이 10년의 기간 동안 중국세제의 주요 변천의 내용을 중국세제의 법치화 추구과정이라고 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중국의 신기업소득세법의 법전화 및 직접세 단일화 과정, 증치세의 도입과 대형 간접세로의 단일화 과정, 한국에서와 같이 국가 부의 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동산 투기억제를 위한 토지세 도입의 논의 그리고 국제조세에서의 조세조약 집행정책의 변천과 이전가격 세제에 대한 내용을 구분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양 학회 간의 장래 관심사에 관한 향후 전망으로 양국의 교역상에 문제되는 세제로서 주식의 역외양도세에 대한 외국납부세액 공제문제, 증치세 대리징수문제, 배당소득에 대한 외국납부세액 공제문제 등의 현안 과제와 동아시아 3국의 학자들이 논의할 장기과제로 환경세 도입, 중국의 조세통칙법 도입 등의 과제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결론으로 한국•중국 및 일본이 세제의 세계적 조화를 위한 국제적 논의 과정에서 과거의 주변적 입장을 벗어나서 적극적으로 국제적 논의를 주도해 나가는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제안을 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st year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the academic exchange between Tax Law Associations of Korea and China. It also happened to b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incorporation of the Korea Tax Law Association. This paper shows the historical meaning of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between both Associations, and presents the historical records of five rounds of regular seminars and academic development of both Tax Law Associations.
      In this paper, the author introduces, in chronological order and on a case-by-case basis, the major issues of tax law that were common concerns of both countries and adds on his insights at each paragraph.
      The main messages no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aper introduces history of the regular exchanges between both Associations, including main subjects, presenters, and contents of the presentations discussed at each seminar. Next, the paper presents the major development of China"s tax system in the past 10 years under the title of "the progress of China tax system towards the rule of law.” In this section, the author orderly classifies and describes the following subjects:codification of China"s new corporate income tax,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direct taxes, introduction of VAT,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indirect taxes to a single general indirect tax, the discussion about an introduction of land tax aimed at suppressing speculative investment for real estates, which is similar to the relevant case of Korea, and transition of a tax treaty enforcement policy in international taxation including the transfer pricing taxation.
      Additionally, this paper presents tax issues that would be problematic in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are likely to bring about academic disputes in the near future:1) foreign tax credit allowance of Korea National Tax Service to the tax amount paid on stock transfer income earned in China, 2) the issues of a VAT collection by an agent(reverse charge) and, 3) foreign tax credit on dividend income. The issues mentioned in this paper include long-term tasks such as an introduction of common tax system of environmental taxes between North East Asian Countries and an enactment of the National Taxes Framework Act of China, which are theoretically main themes of discussion for scholars of the thre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Lastly, the paper suggests, as a conclusion, that Korea, China and Japan should be proactive by playing a core role in balancing overall tax system over the course of consolidation in the global tax system, going beyond their peripheral stance as spectators.

      번역하기

      Last year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the academic exchange between Tax Law Associations of Korea and China. It also happened to b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incorporation of the Korea Tax Law Association. This paper shows the historical meaning o...

      Last year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the academic exchange between Tax Law Associations of Korea and China. It also happened to b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incorporation of the Korea Tax Law Association. This paper shows the historical meaning of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between both Associations, and presents the historical records of five rounds of regular seminars and academic development of both Tax Law Associations.
      In this paper, the author introduces, in chronological order and on a case-by-case basis, the major issues of tax law that were common concerns of both countries and adds on his insights at each paragraph.
      The main messages no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aper introduces history of the regular exchanges between both Associations, including main subjects, presenters, and contents of the presentations discussed at each seminar. Next, the paper presents the major development of China"s tax system in the past 10 years under the title of "the progress of China tax system towards the rule of law.” In this section, the author orderly classifies and describes the following subjects:codification of China"s new corporate income tax,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direct taxes, introduction of VAT,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indirect taxes to a single general indirect tax, the discussion about an introduction of land tax aimed at suppressing speculative investment for real estates, which is similar to the relevant case of Korea, and transition of a tax treaty enforcement policy in international taxation including the transfer pricing taxation.
      Additionally, this paper presents tax issues that would be problematic in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are likely to bring about academic disputes in the near future:1) foreign tax credit allowance of Korea National Tax Service to the tax amount paid on stock transfer income earned in China, 2) the issues of a VAT collection by an agent(reverse charge) and, 3) foreign tax credit on dividend income. The issues mentioned in this paper include long-term tasks such as an introduction of common tax system of environmental taxes between North East Asian Countries and an enactment of the National Taxes Framework Act of China, which are theoretically main themes of discussion for scholars of the thre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Lastly, the paper suggests, as a conclusion, that Korea, China and Japan should be proactive by playing a core role in balancing overall tax system over the course of consolidation in the global tax system, going beyond their peripheral stance as specta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양국 세법학회의 교류를 환영하며
      • Ⅱ.한․중 세법학회 간의 세법분야의법치실현을 위한 협력의 여정
      • Ⅲ.한․중 세미나에 나타난 중국 세제의법치화를 위한 여정
      • Ⅳ.한․중 간 현안인 세무과제의 정리 제안
      • 국문요약
      • Ⅰ.양국 세법학회의 교류를 환영하며
      • Ⅱ.한․중 세법학회 간의 세법분야의법치실현을 위한 협력의 여정
      • Ⅲ.한․중 세미나에 나타난 중국 세제의법치화를 위한 여정
      • Ⅳ.한․중 간 현안인 세무과제의 정리 제안
      • Ⅴ.더 넓은 협력의 장의 확보를 기원하면서
      • 參考文獻
      • Abstract
      • 內容摘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옥무석, "해외계열사의 역외차입에 대한 모기업의 지급보증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1 (21): 1-31, 2016

      2 한국세법학회, "한․중기업소득세의 제문제(학술대회 논문집자료)" 2011

      3 이준봉, "파생상품에 대한 거래세도입이 자본시장과 국가재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법학회 2012

      4 옥무석, "중국기업소득세법의 제정과 동북아지역의 세제조화(中国企业所得税法的制定与东北亚地区的税制协调)" 한국세법학회 14 (14): 2008

      5 신금미, "중국 부동산세 개혁과 전망" 대외경제연구원 2016

      6 옥무석, "제주특별자치도 부동산투자 촉진제도 및 규제제도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회 28 (28): 119-146, 2017

      7 구성권, "세법상 혼성 불일치로 인한 과세문제에 관한 연구 - 혼성사업체와 혼성증권을 중심으로 -" 한국세법학회 22 (22): 541-584, 2016

      8 옥무석, "변화하는 조세환경과 조세행정" 한국국제조세협회 (14) : 1998

      9 국세청, "국세청이 보내드리는 중국진출기업을 위한 중국 세정뉴스"

      10 劉劍文, "重塑半壁財産法" 法律出版社 2009

      1 옥무석, "해외계열사의 역외차입에 대한 모기업의 지급보증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1 (21): 1-31, 2016

      2 한국세법학회, "한․중기업소득세의 제문제(학술대회 논문집자료)" 2011

      3 이준봉, "파생상품에 대한 거래세도입이 자본시장과 국가재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법학회 2012

      4 옥무석, "중국기업소득세법의 제정과 동북아지역의 세제조화(中国企业所得税法的制定与东北亚地区的税制协调)" 한국세법학회 14 (14): 2008

      5 신금미, "중국 부동산세 개혁과 전망" 대외경제연구원 2016

      6 옥무석, "제주특별자치도 부동산투자 촉진제도 및 규제제도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회 28 (28): 119-146, 2017

      7 구성권, "세법상 혼성 불일치로 인한 과세문제에 관한 연구 - 혼성사업체와 혼성증권을 중심으로 -" 한국세법학회 22 (22): 541-584, 2016

      8 옥무석, "변화하는 조세환경과 조세행정" 한국국제조세협회 (14) : 1998

      9 국세청, "국세청이 보내드리는 중국진출기업을 위한 중국 세정뉴스"

      10 劉劍文, "重塑半壁財産法" 法律出版社 2009

      11 劉劍文, "走向財稅法治; 信念與追求" 法律出版社 2009

      12 劉劍文, "財稅法論叢 第15卷" 法典出版社 2014

      13 施正文, "稅法要論" 中國稅務出版社 2007

      14 新浪网新闻中心, "房地产税草案已成型专家:2020年前或出台"

      15 머니투데이, "中‘부동산세'관심 증폭 … 다주택자 ‘보유세 폭탄'나올까?"

      16 International Fiscal Association, "Visions of theTax Systems of the XXIst Century" Kluwer Law International 1997

      17 Barney Jopson, "Trump and the tax plan threatening to split corporate America"

      18 John Neighbour, "The Taxation of Global Trading of Financial Instruments" 1998

      19 John Neighbour, "OECD Releases Two New Annexes and a Revised Glossary to the Transfer Pricing Guide lines for Multi national Enterprises and Tax Administrations" 26 (26): 1998

      20 김은경, "ChinaInsight 2, Future Strategy & Business Development" 신한은행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세법연구회 -> 한국세법학회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04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