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7세기 고구려 도교의 실상과 배경 = The Reality and Its Background of Taoism in Goguryeo in the 7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0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eriod of King Yeongnyu’s reign, Goguryeo embraced Taoism, which was a new trend, in order to maintain amicable relations with Tang dynasty. The adoption of Taoism at this time was carried out as a diplomatic policy. As a result, Taoism could...

      In the period of King Yeongnyu’s reign, Goguryeo embraced Taoism, which was a new trend, in order to maintain amicable relations with Tang dynasty. The adoption of Taoism at this time was carried out as a diplomatic policy. As a result, Taoism could hardly take root in the society.
      In the period of King Bojang’s reign, Yeon Gaesomun promoted Taoism, kee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Tang dynasty in mind. Nevertheless, Taoism played a substantial role in Goguryeo from this time on. Ascetics prayed for the survival and peace of the state-community through technical tricks and mystic prediction. This was requested by Goguryeo, and it helped to settle down the agitated social atmosphe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류왕 시기 도교라는 새로운 사조의 유입이 이루어진 것은 당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이때의 도교 수용은 외교적 방침으로 행해졌으므로, 사회 깊숙이 뿌리내리기...

      영류왕 시기 도교라는 새로운 사조의 유입이 이루어진 것은 당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이때의 도교 수용은 외교적 방침으로 행해졌으므로, 사회 깊숙이 뿌리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보장왕 시기 연개소문의 도교 진흥 또한 당과의 관계를 염두에 둔 조치였다.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 무렵부터는 도교가 비중 있는 역할을 하였다. 도사들은 방술과 비결을 통하여 국가 공동체의 존속과 무사태평을 빌었다. 이는 고구려 측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는데, 동요하던 사회 분위기를 진정시키는 데 일정한 도움을 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덕삼, "한국에서 도가 문화의 수용과 창조" 한국학연구소 (68) : 71-96, 2019

      2 梁銀容, "한국사8 : 삼국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03

      3 장인성, "한국 고대 도교의 특징" 백제문화연구소 1 (1): 71-90, 2015

      4 김형석, "도교사상에서 본 복지— 초기 도교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회 (77) : 43-74, 2014

      5 이현숙, "고구려의 의약 교류" 한국고대사학회 (69) : 57-90, 2013

      6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7 박승범, "고구려의 道敎와 『老子道德經』 수용" 한국고대학회 (61) : 73-96, 2019

      8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9 김일권, "고구려 초기벽화시대의 신화와 승선적 도교사상" 한국역사민속학회 (18) : 455-482, 2004

      10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1 김덕삼, "한국에서 도가 문화의 수용과 창조" 한국학연구소 (68) : 71-96, 2019

      2 梁銀容, "한국사8 : 삼국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03

      3 장인성, "한국 고대 도교의 특징" 백제문화연구소 1 (1): 71-90, 2015

      4 김형석, "도교사상에서 본 복지— 초기 도교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회 (77) : 43-74, 2014

      5 이현숙, "고구려의 의약 교류" 한국고대사학회 (69) : 57-90, 2013

      6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7 박승범, "고구려의 道敎와 『老子道德經』 수용" 한국고대학회 (61) : 73-96, 2019

      8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9 김일권, "고구려 초기벽화시대의 신화와 승선적 도교사상" 한국역사민속학회 (18) : 455-482, 2004

      10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11 강진원,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 서경문화사 2021

      12 김일권, "고구려 고분벽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25) : 247-290, 2009

      13 "魏書"

      14 南武熙, "高句麗後期 佛敎思想 硏究-義淵의 地論宗思想 受容을 중심으로-" 95 : 2010

      15 박남수, "高句麗 租稅制와 民戶編制" 14 : 2006

      16 정재서, "高句麗 古墳壁畵에 表現된 道敎 圖像의 意味" 고구려발해학회 16 : 10-, 2003

      17 金煐泰, "高句麗 佛敎傳來의 諸問題" 23 : 1986

      18 "高僧傳"

      19 車柱環, "韓國道敎思想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88

      20 "隋書"

      21 "資治通鑑"

      22 "舊唐書"

      23 박건주, "秦漢의 사회보장제도와 태평도" 호남사학회 (44) : 275-304, 2011

      24 李乃沃, "淵蓋蘇文의 執權과 道敎" 99-100 : 1983

      25 박승범, "淵蓋蘇文 가문의 家系 기록 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2) : 47-76, 2016

      26 "海東高僧傳"

      27 "泉男生 墓誌銘"

      28 김시천, "河上公의 氣와 王弼의 道 - 『노자』에 대한 하상공과 왕필의 주석 비교 (1) -" 한국도교문화학회 36 : 41-68, 2012

      29 李弘稙, "李丙燾博士華甲紀念論叢" 一潮閣 1956

      30 박재용, "日本書紀에 인용된 道顯의 日本世記" 한국고대사학회 (47) : 117-158, 2007

      31 "日本書紀"

      32 노용필, "新羅 移住 高句麗人의 歷史 編纂" 한국사학사학회 (25) : 5-27, 2012

      33 "新唐書"

      34 李萬烈, "惠庵柳洪烈博士華甲紀念論叢" 惠庵柳洪烈博士華甲紀念事業委員會 1971

      35 윤찬원, "後漢時代 初期道敎哲學思想에 관한 연구-四川省 〈五斗米道〉를 중심으로-" 14 : 2000

      36 김성희, "廢佛 前後, 北魏의 對佛敎 認識 ― 佛敎의 變容과 屈折의 過程을 넘어 ―" 이화사학연구소 (44) : 139-180, 2012

      37 김성희, "寇謙之의 新天師道 創建― 道敎的 皇帝觀을 위한 前提 ―" 이화사학연구소 (32) : 163-180, 2005

      38 "宋書"

      39 "唐會要"

      40 김선민, "唐初 君主의 老子崇拜와 『老子』의 政治的 運用" 국학연구원 (115) : 161-214, 2002

      41 강문호, "唐 전기의 불교정책과 儒‧佛‧道 先後論" 경주사학회 (29) : 99-150, 2009

      42 "周書"

      43 "北史"

      44 "册府元龜"

      45 宋恒龍, "中國道敎思想의 韓國流入과 그 發展推移" 70 : 1983

      46 "三國遺事"

      47 鄭璟喜, "三國時代 道敎의 硏究" 21 : 1991

      48 "三國史記"

      49 김윤경, "‘한국도교’ 기술을 위한 도교의 정의(Ⅰ) —삼국⋅고려시대의 도가(道家)와 도교(道敎)—" 한국철학사연구회 (65) : 9-28, 2020

      50 尹燦遠, "‘道敎’ 槪念의 定義에 관한 論究" 5 : 1991

      51 방용철, "[三國遺事] 소재 道敎 관련 기록과 一然의 인식" 부산경남사학회 (85) : 95-124, 2012

      52 정선여, "7세기대 고구려 불교정책의 변화와 보덕" 백제연구소 (42) : 89-112, 2005

      53 방용철, "7세기 고구려 불교정책의 한계와 國祖神" 한국고대사학회 (72) : 191-224, 2013

      54 김수진, "7세기 高句麗의 道敎受容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59) : 163-20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