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과업 개요 1. 과업의 필요성 및 목적 - 경상남도 내에서도 마을공동체 활성화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마을공동체 활동가 및 사업 참여자 등 활동주체들의 활동욕구가 증대하고 있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90702
2022년
Korean
PRIS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Ⅰ. 과업 개요 1. 과업의 필요성 및 목적 - 경상남도 내에서도 마을공동체 활성화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마을공동체 활동가 및 사업 참여자 등 활동주체들의 활동욕구가 증대하고 있으...
Ⅰ. 과업 개요
1. 과업의 필요성 및 목적
- 경상남도 내에서도 마을공동체 활성화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마을공동체 활동가 및 사업 참여자 등 활동주체들의 활동욕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이에 마을공동체 정책을 위한 체계적인 논의와 접근이 필요함
- 경상남도는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있으며, 해당 조례에서는 매 5년 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도록 하며 기본계획 내 포함되어야 할 주요 사항에 대해 규정하고 있음
- 본 과제에서는 다양한 환경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고려하여 경상남도의 마을공동체 형성 및 공동체 가치 회복을 위해 필요한 행정계획을 수립하고자 함. 즉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원 조례에 따라 5개년 마을공동체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자 함
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 과업의 공간적·시간적 범위
- 공간적 범위: 경상남도 전역
- 시간적 범위: 기준연도 2021년, 목표연도 2022년~2026년(5년간)
□ 중앙부처 및 타 지자체 마을공동체 관련 정책동향
- 중앙정부의 마을공동체 관련 과제 및 사업
- 타 지방자치단체 마을공동체 기본계획
□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현황
- 경상남도에서 실시 중인 중앙정부 및 지자체 단위 마을공동체 사업 현황
-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활동 사례
□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인식조사
- 경상남도 및 시군별 마을공동체 정책 및 사업 참여자 대상
- 경상남도 및 시군별 마을공동체 관련 업무 담당 공무원 대상
-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관련 분야별 전문가 대상
□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비전체계
-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비전 및 가치, 목표 수립
- 비전 및 목표에 따른 추진과제 수립
□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활성화 추진 방안
- 경남 마을공동체 추진과제별 정책지표(안)
- 경남 마을공동체 민관협력 위한 추진체계 개선방안
- 경남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 설치 및 운영방안
- 경남 마을공동체 사업간 연계방안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