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38396
2011
Korean
사회복지사 ; 재교육 ; 자기효능감 ; 소진 ; Social worker ; Re-education ; Self-efficacy ; Burn-out
338
KCI등재
학술저널
125-145(21쪽)
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윤, "직무환경이 사회사업가의 Burnout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1996
2 공계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27-51, 2010
3 양희정, "정신의료사회사업가의 소진과 관련된 개인 및 조직적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2
4 이종국, "정신보건에 종사하는 인력들의 소진의 현황과 대책" 8 (8): 25-43, 2001
5 전석균,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슈퍼비전이 직무환경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2 (32): 106-134, 2009
6 이동명,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부조화의 매개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31 (31): 131-153, 2007
7 김남주,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과 소진(Burnout)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1
8 김미숙,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의 상호작용이 성과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9 최명민, "의료사회복지사를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343-370, 2005
10 김수영, "우리나라 민간 사회복지 분야 교육훈련 현황과 문제점" 한국사회복지협회 (128) : 1998
1 김성윤, "직무환경이 사회사업가의 Burnout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1996
2 공계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27-51, 2010
3 양희정, "정신의료사회사업가의 소진과 관련된 개인 및 조직적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2
4 이종국, "정신보건에 종사하는 인력들의 소진의 현황과 대책" 8 (8): 25-43, 2001
5 전석균,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슈퍼비전이 직무환경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2 (32): 106-134, 2009
6 이동명,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부조화의 매개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31 (31): 131-153, 2007
7 김남주,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과 소진(Burnout)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1
8 김미숙,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의 상호작용이 성과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9 최명민, "의료사회복지사를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343-370, 2005
10 김수영, "우리나라 민간 사회복지 분야 교육훈련 현황과 문제점" 한국사회복지협회 (128) : 1998
11 윤혜미,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79-301, 2004
12 이선영, "수퍼바이저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복지서비스조직 구성원의 스트레스, 소진,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미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73-401, 2007
13 윤혜미, "소진 : 그 다면적 이해와 대응방안" 22 : 118-140, 1993
14 권이경, "상담종결경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8 (8): 1-15, 2005
15 도은숙, "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25-143, 2009
16 최혜영, "사회사업가의 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복지관과 병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1995
17 성규탁, "사회복지조직관리론" 법문사 1993
18 장신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적 능력, 임파워먼트, 직무성과 영향구조"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31-57, 2006
19 황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개인적 특성, 직무환경특성,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0) : 339-369, 2007
20 장신재,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업무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19 : 253-274, 2008
21 안수경,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재교육 및 소진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회복지관의 근무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22 이정효, "사회복지사의 소진해소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대구지역 가톨릭사회복지시설(기관)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1998
23 유상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대전. 충청도 입소시설과 복지관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2000
24 이명신,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Burnout Process) 모델-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34, 2004
25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사회복지근로자 기초실태조사보고서" 2006
26 남연우,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재교육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4
27 최수찬,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 5-31, 2008
28 서울복지재단, "복지시설 종사자 위험관리 실태조사" 2005
29 이수광, "변혁적 리더십이 정서적·유지적 몰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관한 연구 -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관광경영학회 14 (14): 131-146, 2010
30 이지영, "감정노동-소진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6 (16): 237-260, 2009
31 박은경,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리더십의 조절효과와 간호업무 수행성과에 대한 소진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2011
32 Burke, R. J, "stress burnout, and healt, In stress, medicine and healt" CRC Press 101-117, 1996
33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 122-137, 1982
34 Greenglass, E. R, "Work and family precursors of burnout in teachers: sex differences" 18 : 215-229, 1988
35 Maslach, C, "The truth about burnout" Jossey-Bass 1997
36 Freudenberger, H. J, "The staff-burnout syndrome" Drug Abuse Council 1974
3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8 Maslach, C,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1
39 Khania, J. M,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upervision And Nurses Job Burnout- a Iranian Study" 2 : 913-918, 2008
40 Sarason, B. R, "Social support: an interactional view" Wiley 1990
41 Jex, S. M, "Self-esteem as a moderator: A comparison of gloal and organization-based measure" 72 : 71-81, 1999
42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43 Zunz, S, "Resiliency and Burnout: Protective Fators for Human Service Managers" 22 (22): 39-54, 1998
44 Friedman, I. A, "Professional self-concept as a predictor of teacher burnout" 86 : 28-35, 1992
45 Bhagat, R.S, "Organizational stress, personal life stress, symptoms of life strain: an examination of the role of sense of computence" 35 : 231-253, 1989
46 Jackson, S. E, "Organizational practices for preventing burnout, In Hand- book of Organizational stress coping Strategies" Ballinger Pub Co 89-110, 1984
47 Maslach, C, "Job burnout" 52 : 397-422, 2001
48 Maslach C, "Job Burnout: New Direction in Research and Intervention" 12 (12): 189-192, 2003
49 Van Yperen N. W, "Informational Support, Equity and Burnou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71 : 29-33, 1988
50 Jex, S. M, "Efficacy beliefs as a moderator of impact of work-related stressors: a multi-level study" 84 (84): 349-361, 1999
51 Loke, E. A, "Effect of selfefficacy , goals, and task strategies on task performance" 69 : 241-251, 1984
52 Schaubroeck, J, "Divergent effects of job conrol on coping with work stressors: The key role of self-efficacy" 40 : 738-754, 1997
53 Ashforth B. E, "Defensive Behavior in Organizations: A Preliminary Model" 43 : 621-648, 1990
54 Chwalisz, K, "Casual attributions, self-efficacy cogntions, and coping with stres" 11 : 377-400, 1992
55 Maslach, C, "Burnout in organizational settings, In Applied Social Psychology Annual: applications in organizational settings, 5" 133-153, 1984
56 Leiter, M. P, "Burnout as a Crisis in Self-Efficacy: Conceptu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6 : 107-115, 1992
57 Cordes, C. L, "A review of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18 : 621-656, 1993
민간의 사회복지 재원 할당을 위한 아젠다 설정과정 사례연구
사회복지사의 개인 성향, 직무 특성, 역할 특성이 경력관리와 지식공유활동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2 | 1.86 | 2.025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