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기술시대에서 인간이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삶을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며, 그 문제의 해답을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정치철학 속에서 잠재적으로 내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42351
천명주 (부산대학교)
2010
Korean
한나 아렌트 ; 인간조건 ; 기술 ; 시민 ; 정치 ; Hannah Arendt ; Human Condition ; Technology ; Civil ; Politics
190
학술저널
1-1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술시대에서 인간이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삶을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며, 그 문제의 해답을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정치철학 속에서 잠재적으로 내재...
본 논문은 기술시대에서 인간이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삶을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며, 그 문제의 해답을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정치철학 속에서 잠재적으로 내재된 기술이해를 중심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아렌트는 기술철학자가 아니기에 기존의 기술철학자처럼 명백히 보이는 기술철학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렌트의 정치철학은 기술철학을 잠재적으로 내포하여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 천착하여 아렌트의 정치철학 속에서 잠재적으로 내재된 기술철학을 정리하고자 한다. 아렌트의 정치철학 속에 내재된 기술철학에 대한 연구는 기술이 단순히 도구이상으로 인간조건을 거부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고, 인간적인 삶의 원초적 조건인 정치를 상실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동하는 것에 대해 논의한다. 나아가 아렌트의 기술철학은 기술이 정치적인 것 특징을 가진다는 것을 인정하고, 기술사회의 문제들을 시민들이 참여하는 정치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 아렌트의 기술철학은 기술철학의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을 한데 묶고 있는 접근법을 지향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복지재정 분권의 쟁점 분석과 정책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시민사회의 역할과 변화 : 갈등, 입법, 세계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미래기술 (AI+Future Technology)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김현민, 윤강준, 나경아, 임성배, 오순영, 김준호, 이상률, 한영민, 전태균, 이석환, 강지우, 박현민, 구자승, 김재수, 정민중인공지능과 미래기술 (AI+Future Technology)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김현민, 윤강준, 나경아, 임성배, 오순영, 김준호, 이상률, 한영민, 전태균, 이석환, 강지우, 박현민, 구자승, 김재수, 정민중인공지능과 미래기술 (AI+Future Technology)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김현민, 윤강준, 나경아, 임성배, 오순영, 김준호, 이상률, 한영민, 전태균, 이석환, 강지우, 박현민, 구자승, 김재수, 정민중인공지능과 미래기술 (AI+Future Technology)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김현민, 윤강준, 나경아, 임성배, 오순영, 김준호, 이상률, 한영민, 전태균, 이석환, 강지우, 박현민, 구자승, 김재수, 정민중인공지능과 미래기술 (AI+Future Technology)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김현민, 윤강준, 나경아, 임성배, 오순영, 김준호, 이상률, 한영민, 전태균, 이석환, 강지우, 박현민, 구자승, 김재수, 정민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