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36개 산업(대분류 30개, 해양산업 6개)을 중심으로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94748
2019
-
KCI등재
학술저널
223-243(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36개 산업(대분류 30개, 해양산업 6개)을 중심으로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36개 산업(대분류 30개, 해양산업 6개)을 중심으로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부산 산업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 과정에서는 수요유도형 모형, 산업간 연쇄효과, 공급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해양산업 중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가장 크고, 수산업과 조선업은 생산유발계수 및 영향력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관광산업은 취업유발효과가 크며, 신해양산업은 부가가치유발계수가 높은 수준이다. 전체 해양산업은 생산유발효과 2위, 부가가치·취업유발효과 7위 수준으로 부산지역에 높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해양산업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alue-added by the world marine industry will double between 2010 and 2030.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jointly promote traditional and new marine industries. Busan is the main center of Korean marine industries and hosts many specialized ones....
The value-added by the world marine industry will double between 2010 and 2030.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jointly promote traditional and new marine industries. Busan is the main center of Korean marine industries and hosts many specialized one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economic impacts of Busan’s marine industry by applying various methods of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such as demand- and supply-driven models and the inter-industry chain effect. Busan’s marine industries account for 9.95% of the regional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the second-largest among all its industries; their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the seventh-largest. Among the marine industries,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ies have the greatest economic impacts. Fisheries and shipbuilding have the highest production inducement, as well as the power of dispersion coefficients. The marine tourism industry is the top employment generator, and New marine industries have the highest value-added coefficient. The analysis results will help in framing relevant policies for regional marine industr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부산, 인천, 울산을 대상으로 -" 한국해운물류학회 32 (32): 299-320, 2016
2 정분도, "항만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303-320, 2009
3 www.kostat.go.kr, "통계청 홈페이지"
4 박선율,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기여도 분석" 부산대학교 2019
5 채종훈,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4 (14): 33-53, 2010
6 이민규, "지역별 수산업의 부가가치 순이입 분석" 한국혁신학회 12 (12): 139-155, 2017
7 김진옥, "제주넙치 양식산업의 경제파급 효과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42 (42): 85-96, 2011
8 김상춘, "울산지역 항만산업의 구조 및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559-586, 2008
9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10 김상춘, "부산지역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재조명" 한국무역연구원 11 (11): 601-627, 2015
1 이민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부산, 인천, 울산을 대상으로 -" 한국해운물류학회 32 (32): 299-320, 2016
2 정분도, "항만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303-320, 2009
3 www.kostat.go.kr, "통계청 홈페이지"
4 박선율,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기여도 분석" 부산대학교 2019
5 채종훈,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4 (14): 33-53, 2010
6 이민규, "지역별 수산업의 부가가치 순이입 분석" 한국혁신학회 12 (12): 139-155, 2017
7 김진옥, "제주넙치 양식산업의 경제파급 효과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42 (42): 85-96, 2011
8 김상춘, "울산지역 항만산업의 구조 및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559-586, 2008
9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10 김상춘, "부산지역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재조명" 한국무역연구원 11 (11): 601-627, 2015
11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해양산업조사" 부산광역시 2011
12 최봉호, "광역권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21-42, 2009
13 주경원, "광양항 해운항만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25 (25): 285-309, 2009
14 김상춘,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분석 중심" 한국항만경제학회 31 (31): 53-73, 2015
15 www.index.go.kr, "e-나라지표"
16 Kildow, J. T., "The importance of estimating the contribution of the oceans to national economies" 34 : 367-374, 2010
17 OECD, "The Ocean Economy in 2030" OECD 2016
18 Menon, "The Leading Maritime Capitals of The World" Menon 2017
19 한국은행, "2010년 및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
해상운송인의 책임한도가 적하보험자에 대한 해상운송인의 손해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FTA 원산지 증명 신뢰성 결정 요인 분석 : 수출기업, 물품, 수출국가 특성을 중심으로
군집 분석을 통한 한국 인트라 아시아 선사의 경쟁과 협력 특성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학술지 분리 (기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68 | 0.943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