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고는 이사부의 가계와 진흥왕대 그의 정치적 위상 변화를 살핀것이다. 이사부는 눌지왕의 둘째 아들인 파호갈문왕의 손자였다. 이사부는 지증왕대 초반에 가야국을 습격하여 취하였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8837
2014
Korean
異斯夫 ; 巴胡葛文王 ; 居柒夫 ; 悉直軍主 ; 眞興王 ; Isabu ; Paho Galmunwang ; Geochilbu ; Siljig Gunju ; King Jinheung
KCI등재
학술저널
1-48(48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고는 이사부의 가계와 진흥왕대 그의 정치적 위상 변화를 살핀것이다. 이사부는 눌지왕의 둘째 아들인 파호갈문왕의 손자였다. 이사부는 지증왕대 초반에 가야국을 습격하여 취하였고...
본 논고는 이사부의 가계와 진흥왕대 그의 정치적 위상 변화를 살핀것이다. 이사부는 눌지왕의 둘째 아들인 파호갈문왕의 손자였다. 이사부는 지증왕대 초반에 가야국을 습격하여 취하였고, 505년부터 512년까지 悉直軍主와 何瑟羅軍主로서 동해안지역에 주둔한 停軍團을 지휘하며 고구려의 남진과 왜군의 침략에 대비하고,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법흥왕대인 529년에 3천의 군사를 이끌고 金官(김해시) 등 4촌을 공략하여 차지하였다. 진흥왕 즉위 이후 지소태후 섭정기와 진흥왕대 친정기 초반에 이사부가 병부령과 상대등을 겸직하며 정국을 주도하였다. 551년부터 진흥왕이 연호를 開國으로 바꾸고 친정체제를 구축하며 정국을 주도하였는데, 이때 이사부는 진골귀족의 대표로서 진흥왕의 국정운영을 배후에서 후원하였다. 568년 이후에 신라와 고구려 사이에 틈이 벌어지자, 진흥왕은 더이상의 영토확장을 포기하는 대신 새로 개척한 영토를 수호하고, 장기간의 전쟁으로 지친 백성들을 위로하는 정책을 폈다. 570년대에 이사부는 이미 사망하였거나 생존하였다고 하더라도 고령이었기 때문에 정치적 영향력은 미미하였을 것이다. 570년 무렵부터 진지왕대까지 이사부를 대신하여 거칠부가 국정운영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lineage of Isabu and the change of his political posi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Isabu was a grandchild of Paho Galmunwang who was the second son of the King Nulji. Isabu attacked and occupied the Kaya country early...
This paper examined the lineage of Isabu and the change of his political posi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Isabu was a grandchild of Paho Galmunwang who was the second son of the King Nulji. Isabu attacked and occupied the Kaya country early in the King Jijeung’s reign. From 505 to 512 as Siljig Gunju and Haseulla Gunju, Isabu conquered the Usanguk and led the Jeong corps that was stationed around the east sea area to prepare for the Goguryeo dynasty’s expansion toward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nvasion of Whae. Leading 3,000 military, he attacked 4 Chon including the Geumgwan(Gimhae city) and took it in 529 during the King Beobheung’s era. After King Jinheung came to throne, Isabu led a political situation as Byeongburyeong and Sangdaedeung during the period under a regency by Jisotaehu and early reign period of King Jinheung. Since 551, King Jinheung began to control politics by changing the title of his royal year to Gaeguk and constructed his direct government system. At the same time Isabu supported the governance of King Jinheung behind the curtain as a representative of the Jingol nobility. After the bond between Silla and Goguryeo got weaker in 568, King Jinheung gave up further territorial expansion and chose to defend his new territory and resolve the anxious state of mind of people that was caused by a long-term war. In the 570s, Isabu may have been already dead. Then even though he was even alive, his influence must have been insignificant. From around 570s to King Jinji’s period, Geochilbu had the great influence on national administration on behalf of the Isabu.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동, "奈勿王系의 血緣意識" 53 : 1972
2 김창석, "한국 고대 대외교역의 형성과 전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3 김용선, "울주천전리서석 명문의 연구" 81 : 1979
4 조영제, "옥전고분군과 다라국" 혜안 2007
5 김태식, "역주 가야사사료집성"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4
6 노용필, "신라진흥왕순수비연구" 일조각 1996
7 김창겸, "신라의 東北方 진출과 異斯夫의 于山國 정복 출항지" 한국사학회 (101) : 45-80, 2011
8 이종욱, "신라상대왕위계승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0
9 강종훈,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10 최선자,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 강화" 한국고대사학회 (72) : 119-151, 2013
1 이기동, "奈勿王系의 血緣意識" 53 : 1972
2 김창석, "한국 고대 대외교역의 형성과 전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3 김용선, "울주천전리서석 명문의 연구" 81 : 1979
4 조영제, "옥전고분군과 다라국" 혜안 2007
5 김태식, "역주 가야사사료집성"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4
6 노용필, "신라진흥왕순수비연구" 일조각 1996
7 김창겸, "신라의 東北方 진출과 異斯夫의 于山國 정복 출항지" 한국사학회 (101) : 45-80, 2011
8 이종욱, "신라상대왕위계승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0
9 강종훈,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10 최선자,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 강화" 한국고대사학회 (72) : 119-151, 2013
11 박성희, "신라 진흥왕 즉위 전후 정치세력의 동향" 22 : 2001
12 주보돈,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 신서원 1998
13 이명식, "신라 중고기의 장수 이사부고" 25 : 2004
14 전덕재, "신라 중고기 주의 성격 변화와 군주" 40 : 2001
15 이정숙,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 연구" 혜안 2012
16 남동신, "신라 중고기 불교치국책과 황룡사" 22 : 2001
17 장창은,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 신서원 2008
18 전덕재, "상고기 신라의 동해안지역 경영" 역사문화연구소 (45) : 3-42, 2013
19 전덕재, "삼국시대 낙동강 수로를 둘러싼 신라와 가야세력의 동향 - 낙동강 중류지역을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93 : 29-81, 2008
20 이영식, "대가야와 신라, 혼인동맹의 전개와 성격" 효원사학회 44 : 35-80, 2013
21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 방식 연구" 모시는 사람들 2005
22 김태식, "가야연맹사" 일조각 1993
23 武田幸男, "蔚州書石谷における新羅葛文王一族-乙巳年原銘․己未年 追銘の一解釋-" 東方學會 85 : 1993
24 김창석, "新羅의 于山國 복속과 異斯夫" 역사교육연구회 (111) : 105-133, 2009
25 末松保和, "新羅上古世系考" 54 : 1938
26 姜鳳龍, "新羅 地方統治體制 연구" 서울대학교 1994
27 전덕재, "喙國(喙己呑)의 위치와 역사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61) : 261-299, 2011
일제시기 식민사학자의 고려시대 동북면의 국경ㆍ영토 인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2014.3 적용)〈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영역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