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머리말
- Ⅰ. 전근대 일본의 ‘東海’ 인식과 그 기원
- Ⅱ. 일본 침략기 한국 영토ㆍ?영해에 대한 인식의 변화
- 맺음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8839
2014
Korean
領土 ; 領海 ; 東海 ; 高麗海 ; 鬱陵島 ; 獨島 ; Territory ; Territorial Waters ; Dongnamheadobuseo(東南海都部署) ; Doijeok(刀伊賊) ; Donghea(동해) ; Goryeo-hea(고려해) ; Ulleung-do(울릉도) ; Dok-do(독도) ; Hanhea(澣海)
KCI등재
학술저널
97-156(6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명호, "조선 초기 중앙정부의 경상도 海島政策을 통한 空島政策 재검토" 부산경남사학회 (66) : 1-27, 2008
2 김윤곤, "우산국과 신라 , 고려의 관계 , 울릉도 독도의 종합적 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8
3 김순자, "고려전기의 영토의식, 서희의 재발견과 21세기 한국외교" 2008
4 김남규, "고려전기의 여진관 -여진회유정책과 관련하여-" 12 : 1995
5 김순자, "고려전기의 거란[遼], 여진[金]에 대한 인식" 한국중세사학회 (26) : 109-150, 2009
6 진영일, "고려전기 탐라국 연구" 탐라문화 16 : 1996
7 추명엽, "고려전기 번 인식과 동서번의 형성" 43 : 2005
8 김창현, "고려의 탐라에 대한 정책과 탐라의 동향" 5 : 1998
9 이기백, "고려의 북진정책과 진성" 1 : 1980
10 김순자, "고려의 북방경영과 영토정책, 한중관계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사편찬위원회 2003
1 신명호, "조선 초기 중앙정부의 경상도 海島政策을 통한 空島政策 재검토" 부산경남사학회 (66) : 1-27, 2008
2 김윤곤, "우산국과 신라 , 고려의 관계 , 울릉도 독도의 종합적 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8
3 김순자, "고려전기의 영토의식, 서희의 재발견과 21세기 한국외교" 2008
4 김남규, "고려전기의 여진관 -여진회유정책과 관련하여-" 12 : 1995
5 김순자, "고려전기의 거란[遼], 여진[金]에 대한 인식" 한국중세사학회 (26) : 109-150, 2009
6 진영일, "고려전기 탐라국 연구" 탐라문화 16 : 1996
7 추명엽, "고려전기 번 인식과 동서번의 형성" 43 : 2005
8 김창현, "고려의 탐라에 대한 정책과 탐라의 동향" 5 : 1998
9 이기백, "고려의 북진정책과 진성" 1 : 1980
10 김순자, "고려의 북방경영과 영토정책, 한중관계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사편찬위원회 2003
11 김순자, "고려~조선초 한 ` 중간 영토에 대한 현대 중국학계의 시각" 한국역사연구회 (76) : 279-323, 2010
12 김순자, "고려, 원(元)의 영토정책, 인구정책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60) : 245-274, 2006
13 허인욱, "고려 성종대 거란의 1차 침입과 경계 설정" 전북사학회 (33) : 35-68, 2008
14 이미지, "고려 성종대 地界劃定의 성립과 그 외교적 의미" 한국중세사학회 (24) : 5-34, 2008
15 송병기, "고대고려조선 초기의 우산울릉도 경영, 울릉도와 독도, 그 역사적 검증" 역사공간 2010
16 노계현, "高麗의 압록강 방면 영토변천 1269~138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8 : 1994
17 秋明燁, "高麗時期‘海東’인식과 海東天下" 43 : 2005
18 추명엽, "高麗時期 ‘海東’ 인식과 海東天下" 한국사연구회 (129) : 29-59, 2005
19 盧明鎬, "高麗時代의 多元的天下觀과 海東天子" 105 : 1999
20 金日字, "高麗時代耽羅史硏究" 신서원 2007
21 송용덕, "高麗後期 邊境地域 변동과 鴨綠江 沿邊認識의 형성" 역사학회 (201) : 1-33, 2009
22 "高麗史節要"
23 "高麗史"
24 신안식, "高麗前期의 兩界制와 '邊境'" 한국중세사학회 18 (18): 215-244, 2005
25 신안식, "高麗前期의 北方政策과 城郭體制" 역사교육연구회 (89) : 65-97, 2004
26 송용덕, "高麗前期國境地域의 州鎭城編制" 51 : 2005
27 신용하, "韓國의 固有領土로서의 獨島領有에 대한 역사적 연구" 27 : 1991
28 關野貞, "韓國建築調査報告" 東京大 1904
29 信夫淳平, "韓半島" 東京堂書店 1901
30 關野貞, "關野貞日記" 中央公論美術出版 2009
31 "貞信公記抄"
32 "親信卿記"
33 "百鍊抄"
34 "水左記"
35 "權記"
36 金庠基, "東方史論叢" 서울대학교출판부 1974
37 "本朝麗藻"
38 恒屋盛服, "朝鮮開化史" 博文館 1901
39 林泰輔, "朝鮮通史" 進光社 1944
40 林泰輔, "朝鮮近世史" 吉川半七 1901
41 東条保, "朝鮮誌略" 須原屋茂兵衛 1875
42 鈴木信仁, "朝鮮紀聞" 愛善社 1885
43 鈴木信仁, "朝鮮紀聞" 博文館 1884
44 "朝鮮王朝實錄"
45 菊池謙讓, "朝鮮王國" 民友社 1896
46 総生寛, "朝鮮新論" 江島喜兵衛 1876
47 林泰輔, "朝鮮史" 吉川半七 1892
48 塩崎誓月, "最新の韓半島" 青木嵩山堂 1906
49 森克己, "日麗交涉刀伊賊來寇" 37 : 1966
50 "日本紀略"
51 田中義廉, "日本史略" 溫古堂 1877
52 "新增東國輿地勝覽"
53 "扶桑略記"
54 "帥記"
55 "左經記"
56 "山槐記"
57 "小右記"
58 德川國順, "大日本史" 阪上半七 1906
59 重野安, "國史眼" 東京大 1901
60 重野安繹, "國史眼" 大成館 1890
61 菅原龍吉, "啓蒙朝鮮史略" 千鐘房 1875
62 "吉記"
63 山內晉次, "古代における渡海禁制の再檢討" 大阪大學 22 : 1988
64 "參天台五臺山記"
65 "千載和歌集"
66 地內宏, "刀伊の賊-日本海に於ける海賊の橫行-" 10 (10): 1940
67 "公任集"
68 "中右記"
69 "三國遺事"
70 "三國史記"
71 김우택, "11세기 대거란 영역 분쟁과 고려의 대응책" 서울대 55 : 2009
72 노명호, "10~12세기 탐라와 고려국가" 제주학회 28 : 2005
73 김순자, "10~11세기 高麗와 遼의 영토정책 -압록강선 확보문제 중심으로-" 11 : 2006
일제시기 식민사학자의 고려시대 동북면의 국경ㆍ영토 인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2014.3 적용)〈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영역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