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화예에 나타난 시,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emporal and Spacial Characteristics in Floral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7675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pare for reasonable grounds and standards to classify floral art in terms of typological views, through looking into temporal and spacial attributes that floral art has. In order to prepare for theoretical foundation, philosophical concepts on time and space are first interpreted and analyzed, picking up applicable theories.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cial arts into consideration, are applied to floral art, making a close investigation into temporal and spacial attributes of floral art. Based on it, floral art could be redefined as temporal and spacial art that has both temporal and spacial na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epare for reasonable grounds and standards to classify floral art in terms of typological views, through looking into temporal and spacial attributes that floral art has. In order to prepare for theoretical foundation, philosophic...

      This study aims to prepare for reasonable grounds and standards to classify floral art in terms of typological views, through looking into temporal and spacial attributes that floral art has. In order to prepare for theoretical foundation, philosophical concepts on time and space are first interpreted and analyzed, picking up applicable theories.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cial arts into consideration, are applied to floral art, making a close investigation into temporal and spacial attributes of floral art. Based on it, floral art could be redefined as temporal and spacial art that has both temporal and spacial n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남, "「시간성에 의한 자연적 Rhythm 표현에 관한 연구" 2002

      2 이정민, "화예디자인의 현대적 개념과 기능에 관한 연구" (창간호) : 1998

      3 박경옥, "화예디자인에서의 키네틱적 특성에 관한 연구-타 장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04

      4 진현주, "화예디자인에 내재된 오브제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2002

      5 강태희, "현대미술의 문맥읽기" 미진사 1995

      6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7 한국화예디자인학회, "한국화예대사전" 도서출판 인아 2003

      8 이성범, "프리초프 카프라,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The Tao of Physics" 범양사 2002

      9 신상희,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헤르만,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찾아서" 한길사 1997

      10 이태호 역, "앨리너 하트니, 포스트모더니즘" 2003

      1 김정남, "「시간성에 의한 자연적 Rhythm 표현에 관한 연구" 2002

      2 이정민, "화예디자인의 현대적 개념과 기능에 관한 연구" (창간호) : 1998

      3 박경옥, "화예디자인에서의 키네틱적 특성에 관한 연구-타 장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04

      4 진현주, "화예디자인에 내재된 오브제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2002

      5 강태희, "현대미술의 문맥읽기" 미진사 1995

      6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7 한국화예디자인학회, "한국화예대사전" 도서출판 인아 2003

      8 이성범, "프리초프 카프라,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The Tao of Physics" 범양사 2002

      9 신상희,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헤르만,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찾아서" 한길사 1997

      10 이태호 역, "앨리너 하트니, 포스트모더니즘" 2003

      11 "안토니 고믈리 홈페이지 http://www.antonygormley.com" 2007,03,17

      12 소광희, "시간의 철학적 성찰 : Philosophy of Time" 문예출판사 2001

      13 권영걸, "공간디자인16講" 국제 2001

      14 "http://www.bethgrossman.com/gallery/publicart/pureriver/index.html" 2007,04,03

      15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www.wikipedia,com" 2007,02,03

      16 Virginia Buton, "Turner Prize: Twenty Years" Tate 2004

      17 Beth Grossman, "Dreams for a Pure River"

      18 오근재 역, "B. 클라인트, 인간의 시각 조형의 발견" 미진사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