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획논문 : 남명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Tasks of Nammyeong Literature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6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 20주년을 기념하여 남명문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살피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남명문학연구가 시작된 1980년대 이후의 연구 성과를 장르별로 분류하고, 『남명집』에 수록된 문체 유형에 따라 운문과 산문 분야, 총체적 분야, 비교문학적 분야 등 4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남명문학 연구는 현재까지 100여 편의 성과가 산출되었다. 남명의 창작품이 많지 않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적지 않은 수치이다. 이의 검토를 통해 몇 가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예컨대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남명 삶의 특징적 국면을 강조하는 연구가 지나치게 집중적으로 반복적으로 진행되어 왔고, 또 이를 대변할 만한 소수의 작품만이 지속적으로 재인용되었다는 점, 특정 분야의 연구는 초창기 이후 장기간 정지되어 있다는 점 등이 있다. 연구가 지속되어 성과가 증가했음에도 이러한 양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이는 남명문학 연구가 직면한 총체적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명문학 연구의 절대적 분량을 차지하는 한시에 대한 포괄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남명집』의 한시와 남명의 일대기를 대조하는 작업이다. 『남명집』의 수
      번역하기

      본고는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 20주년을 기념하여 남명문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살피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남명문학연구가 시작된 1980년대 이후의 연...

      본고는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 20주년을 기념하여 남명문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살피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남명문학연구가 시작된 1980년대 이후의 연구 성과를 장르별로 분류하고, 『남명집』에 수록된 문체 유형에 따라 운문과 산문 분야, 총체적 분야, 비교문학적 분야 등 4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남명문학 연구는 현재까지 100여 편의 성과가 산출되었다. 남명의 창작품이 많지 않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적지 않은 수치이다. 이의 검토를 통해 몇 가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예컨대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남명 삶의 특징적 국면을 강조하는 연구가 지나치게 집중적으로 반복적으로 진행되어 왔고, 또 이를 대변할 만한 소수의 작품만이 지속적으로 재인용되었다는 점, 특정 분야의 연구는 초창기 이후 장기간 정지되어 있다는 점 등이 있다. 연구가 지속되어 성과가 증가했음에도 이러한 양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이는 남명문학 연구가 직면한 총체적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명문학 연구의 절대적 분량을 차지하는 한시에 대한 포괄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남명집』의 한시와 남명의 일대기를 대조하는 작업이다. 『남명집』의 수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ort out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Nammyeong literature in commemo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Nammyeonghak Research Institut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e study categorized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whose study started in the 1980s according to genres and examined them in four areas of verse, prose, overall, and comparativ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literary styles in Nammyeongjip. There are about 100 researches on Nammyeong literature, and the number is not small considering that Nammyeong`s works are not many. A review of the researches identified several problems. There has been a severe repetitive concentration of researches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aspects of his life regardless of areas; only a small number of his works to represent those aspects has been consistently requoted; and there has been a long break of research in certain areas since the early days. Those patterns have not changed much even though ongoing researches generated more achievements. That is an overall problem facing the Nammyeong literature study. It is required to sort out his Chinese poems, which account for an absolute percentage of the study, to solve the problem. There should be efforts to match his Chinese poems in Nammyeongjip against his life course. There are not enough data to check the time they were written because the recording was not in a chronological order in Nammyeongjip, it is necessary to make such efforts even partially. He had four major transitional periods throughout his life, and his perceptions changed clearly each time. If his work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ose four periods at least, the Nammyeong literature study that has come to a lull will be able to reach a further advanced st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ort out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Nammyeong literature in commemo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Nammyeonghak Research Institut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e study categorized the research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ort out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Nammyeong literature in commemo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Nammyeonghak Research Institut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e study categorized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whose study started in the 1980s according to genres and examined them in four areas of verse, prose, overall, and comparativ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literary styles in Nammyeongjip. There are about 100 researches on Nammyeong literature, and the number is not small considering that Nammyeong`s works are not many. A review of the researches identified several problems. There has been a severe repetitive concentration of researches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aspects of his life regardless of areas; only a small number of his works to represent those aspects has been consistently requoted; and there has been a long break of research in certain areas since the early days. Those patterns have not changed much even though ongoing researches generated more achievements. That is an overall problem facing the Nammyeong literature study. It is required to sort out his Chinese poems, which account for an absolute percentage of the study, to solve the problem. There should be efforts to match his Chinese poems in Nammyeongjip against his life course. There are not enough data to check the time they were written because the recording was not in a chronological order in Nammyeongjip, it is necessary to make such efforts even partially. He had four major transitional periods throughout his life, and his perceptions changed clearly each time. If his work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ose four periods at least, the Nammyeong literature study that has come to a lull will be able to reach a further advanced sta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