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전 세계 디자인계의 주목을 받는 일본의 대표적 그래픽디자이너인 카메쿠라 유사쿠, 다나카 잇코, 후쿠다 시게오, 요코 타다노리, 켄야 하라의 작품 표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03679
2022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7-28(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전 세계 디자인계의 주목을 받는 일본의 대표적 그래픽디자이너인 카메쿠라 유사쿠, 다나카 잇코, 후쿠다 시게오, 요코 타다노리, 켄야 하라의 작품 표현...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전 세계 디자인계의 주목을 받는 일본의 대표적 그래픽디자이너인 카메쿠라 유사쿠, 다나카 잇코, 후쿠다 시게오, 요코 타다노리, 켄야 하라의 작품 표현특성 및 미의식을 현대적 시각에서 재조명하였다.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의 1세대 디자이 너인 카메쿠라 유사쿠는 1964년 도쿄올림픽포스터에서 일장기의 떠오르는 태양을 단순한 원형으로 표현하여 세계적 주목을 받았으며, 다나카 잇코는 니혼부요에서 전통적 주제를 단순하고 명료하게 표현하였다. 카메쿠라 유사 쿠, 다나카 잇코의 포스터는 전통 주제를 현대적 시각으로 단순명료하게 표현하였다면, 후쿠다 시게오의 포스터는 착시의 효과를 극대화한 현대적 표현 경향이 두드러 지게 나타났다. 요코 타다노리는 포스터디자인에서 일본의 전통 소재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서구 모더니즘 양식 에서 일탈한 팝아트, 사이키델릭한 표현을 하였다. 마지 막으로 켄야 하라는 비움의 미학으로 여백의 디자인을 활발하게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원천은 사상적으로 불교(佛敎)의 공(空)과 선(禪)사상, 와비·사비(侘·寂), 슈타쿠(手澤), 축소주의를 꼽을 수 있으며 양식적 측면에서 우키요에, 린파 그리고 서양의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간략한 형태, 추상적 형상, 단순한 색채 등이 주류를 형성 하는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은 고유한 문화성 정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의 조화와 균형을 꾀하면서 디자이너들은 자신만의 조형언어를 작업에 반영하였다. 모더니즘 표현 경향 속에서 일본의 전통문화와 서구 모더니즘을 융합하 려는 일본 디자이너들의 화혼양재 표현 경향이라 할 수있다. 이러한 양상은 경제대국이자 동시에 문화대국으로 서의 일본의 모던 이미지를 시각화하려는 디자인계의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5인의 포스터에서 문화적 전통과 미의식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보편적 디자 인을 지향하는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글로컬(glocal) 한 화혼양재를 재조명하였다. 특히 알파벳 문화권 디자인이 주류인 그래픽디자인 영역에서 일본 디자인은 한자, 히라카나, 가타카나를 사용하면서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고유한 일본 양식의 그래픽 디자인 토대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 현대그래픽디자인의 표현 특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중국‧일본의 철학과 미학에 내재한 보편성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계기와 함께 K-Design의 대외적 인지도 확산을 위하여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후쿠다 시게오, "후쿠다시게오의 디자인 재유기" 안그라픽스 2011
2 윤민희, "프랑스 벨 에포크의 그래픽포스터 유형 및 의미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6 (26): 375-388, 2020
3 박효신, "일본 디자인의 신화 가메쿠라 유사쿠" 디자인하우스 2003
4 민병걸, "일본 그래픽디자인의 실천적 기점으로서의 에도 우키요에 고찰" 한국디자인학회 23 (23): 115-130, 2010
5 신희경, "일본 그래픽디자인에서의 일본적 조형성과 그 유래인 일본적 미의식 분석" 한국디자인학회 21 (21): 203-214, 2008
6 박세연, "이미지의 올림픽 : 1964 도쿄 올림픽의 디자인 프로젝트 다시보기"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23 : 110-143, 2020
7 강지언, "율리우스 에볼라(Julius Evola)와 근대 일본 선" 불교문화연구원 (90) : 289-311, 2020
8 레너드 코렌, "와비사비: 그저 여기에" 안그래픽스 2019
9 이길호 ; 이정욱, "와비-사비의 일상미학적 해석을 통한 실내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현대 일본 실내디자인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110-118, 2011
10 하라 켄야, "백" 안그라픽스 2009
1 후쿠다 시게오, "후쿠다시게오의 디자인 재유기" 안그라픽스 2011
2 윤민희, "프랑스 벨 에포크의 그래픽포스터 유형 및 의미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6 (26): 375-388, 2020
3 박효신, "일본 디자인의 신화 가메쿠라 유사쿠" 디자인하우스 2003
4 민병걸, "일본 그래픽디자인의 실천적 기점으로서의 에도 우키요에 고찰" 한국디자인학회 23 (23): 115-130, 2010
5 신희경, "일본 그래픽디자인에서의 일본적 조형성과 그 유래인 일본적 미의식 분석" 한국디자인학회 21 (21): 203-214, 2008
6 박세연, "이미지의 올림픽 : 1964 도쿄 올림픽의 디자인 프로젝트 다시보기"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23 : 110-143, 2020
7 강지언, "율리우스 에볼라(Julius Evola)와 근대 일본 선" 불교문화연구원 (90) : 289-311, 2020
8 레너드 코렌, "와비사비: 그저 여기에" 안그래픽스 2019
9 이길호 ; 이정욱, "와비-사비의 일상미학적 해석을 통한 실내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현대 일본 실내디자인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110-118, 2011
10 하라 켄야, "백" 안그라픽스 2009
11 하라 켄야, "디자인의 디자인" 안그라픽스 2009
12 박암종, "디자인 생각" 안그라픽스 2008
13 안점식, "대승불교의 공(空) 사상과 논리에 대한 선교변증론적 고찰"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 (20): 205-235, 2012
14 이봉만 ; 김현선, "다나카 잇코(田中一光)의 포스터에 표현된 일본적 그래픽 디자인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383-396, 2016
15 필립 B. 멕스, "그래픽디자인의 역사" 미진사 2014
16 허은주, "‘선문화・선예술’ 구축에 있어서 스즈키 다이세쓰[鈴木大拙] 전사(前史) ー무로마치 문화에 대한 근대일본의 이해(일본사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ー" 일본연구소 42 : 49-68, 2014
17 "https://www.ndc.co.jp/hara/en/"
18 "https://www.isseymiyake.com/ikkotanaka/en/concept"
19 "https://www.indiepost.co.kr/post/8550"
20 "https://www.famousgraphicdesigners.org/shigeo-fukuda"
21 "https://go.distance.ncsu.edu/gd203/?p=28006"
22 "https://go.distance.ncsu.edu/gd203/?p=27992"
23 "https://casabrutus.com/posts/4260"
24 "https://blog.naver.com/wannabintl/220999239858"
25 "https://blog.naver.com/wannabintl/220999239858"
26 "http://www.designculture.it/interview/kenya-hara.html#start"
27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1/50769"
28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215"
29 강태웅, "Ukiyo-e and Japonisme in the 21st Centur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20 : 78-99, 2019
30 Goodman David, "Angura : Posters of the Japanese Avant-Garde" Prince Architectural Press 1999
31 서종순, "2000년의 공(空)사상의 의미" 6 : 2001
중국 명·청 시대의 전통문양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산시성 핑야오 쇠고기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시가화 유형과 PM10 미세먼지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 경기도 14개 시 사례를 중심으로 -
MZ세대의 운동 동기부여에 UX 디자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애플사의 'Fitness' 앱의 기능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