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조성 예정지구 내에 위치한 문화재 중 민속자료에 대한 결과보고서이다. 문화재 지표조사에서 민속자료란 형태가 남아있는 민속물이나 전통적으로 연희되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1985
-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조성 예정지구 내에 위치한 문화재 중 민속자료에 대한 결과보고서이다. 문화재 지표조사에서 민속자료란 형태가 남아있는 민속물이나 전통적으로 연희되어 ...
본 글은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조성 예정지구 내에 위치한 문화재 중 민속자료에 대한 결과보고서이다. 문화재 지표조사에서 민속자료란 형태가 남아있는 민속물이나 전통적으로 연희되어 왔던 의례나 놀이를 지칭하고, 이에 대한 조사보고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그러나 순천만에 생태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라고 한다면, 오랫동안 이곳을 중요한 삶의 터전으로 삼아왔던 주민들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대한 총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즉 갯벌 생태계의 범주 안에 살아왔던 인간들이 만들어 낸 문화에 대한 조사가 있어야 한다. 인간은 나름대로의 행동양식을 가지며 그러한 양식을 세대간에 이어 나간다. 또 그러한 양식에 기초하여 한 사회만의 독특한 문화패턴을 갖게 된다. 이러한 문화 패턴 연구는 여러 세대에 걸친 경험들에서 나온 것으로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본 조사는 순천만을 삶의 터전으로 여기며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먼저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크게 다음과 같은 점에 주목해 모아야 한다. 첫째로, 자연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한 지역 주민들은 오랜 경험으로 자신들만의 지식을 가지고 바람과 물 때, 조류, 지형 등을 읽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들이 이러한 사항들을 자연과 연관시켜서 어떻게 이해하는가를 보아야 한다. 둘째로, 자연 환경 속에 살고 있는 동·식물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동·식물에 대한 인지 연구는 주민들의 생업 방식과 일년 생활, 다양한 채취기술, 도구 등을 연구하기 위한 기본틀이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의 조직에 대한 연구이다. 한정된 자원을 영유하기 위해서 지역민들은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자원을 통제, 조정, 관리하면서 살고 있다. 오랜 세월 속에서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공동체의 운영 규칙들은 자원 이용 방식을 연구하는 근거이다.
개발과 관련된 문화재 지표조사가 종래 중시해왔던 유형민속의 소재여부를 먼저 밝히고 시작하겠다. 이 지역에 남아있는 유형민속으로는 해룡면 상내리 와온마을의 장승 4기가 있다. 순천대학교가 2000년 발행한 『순천시의 문화유적』(Ⅱ)에는 장승과 짐대가 서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짐대는 썩어 없어졌고, 마을 어귀에 장승 2쌍 4기만이 남아 있었다. 이들 장승은 1997년 정월 보름에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들 장승은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으로서 본래 이 자리에 있었던 것이 아니고 해룡면 지역발전 추진위원회에서 주최한 제2회 ‘대보름맞이축제’가 상내리에서 열렸을 때 세워진 것이다. 마을로 들어가는 입구 왼쪽에 ‘天下大將軍’과 ‘地下女將軍’이 새겨진 목장승이 머리를 맞대고 서있고, 오른편에 ‘환경보존대장군’, ‘조류보호여장군’이라 명문을 한 장승이 나란히 서있다. 명문 내용으로 보아 마을장승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은 거리를 알려주는 이정표의 기능을 의식해 세워지는 장승이고, 환경보존대장군과 조류보호여장군은 순천만의 환경과 철새를 보호하자는 염원을 담아 세워진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는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이 조성될 예정지역인 순천시 대대동의 동편·서편마을, 별량면 학산리 장산·우명·화포마을, 해룡면 농주리 농주·노월, 상내리 와온마을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조사는 2001년 9월 한달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를 수행한 연구원은 선영란(목포대학교 강사)·김미향(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대학원)이다. 조사방법은 제보자와의 면담과 현장참여관찰을 중심으로 면담내용 채록과 사진·영상촬영을 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조사개요 Ⅱ. 순천만의 자연환경과 마을형성 1. 순천만의 자연환경 2. 순천만 주변 마을의 형성과정 Ⅲ. 순천만 지역의 생업활동 1. 농경활동 2. 어업현황과 어로활동 ...
Ⅰ. 조사개요
Ⅱ. 순천만의 자연환경과 마을형성
1. 순천만의 자연환경
2. 순천만 주변 마을의 형성과정
Ⅲ. 순천만 지역의 생업활동
1. 농경활동
2. 어업현황과 어로활동
3. 소금생산
4. 자연마을별 생업활동
Ⅳ. 순천만 갯벌에서의 채취활동과 어로도구
1. 주요 어패류와 채취방법
2. 채취도구
Ⅴ. 순천만 지역의 어촌계 조직과 어장운영
1. 대대어촌계
2. 우명어촌계
3. 노월어촌계
4. 와온어촌계
Ⅵ.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