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에 대한 비교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를 비교하고 차이점을 분석한다. 해석학과 구조주의는 두 철학자의 핵심적인 철학적 방법이다.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현존재의 근본구조...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를 비교하고 차이점을 분석한다. 해석학과 구조주의는 두 철학자의 핵심적인 철학적 방법이다.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현존재의 근본구조들과 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실존론적 분석론이다. 즉 하이데거는 해석학을 통해 현존재가 존재를 이해함으로써 존재를 열어 밝히고 해석학적 순환을 통해 실존하게 된다는 존재론적 사실을 보여준다. 나아가 하이데거는 전회를 겪으면서 기존의 해석학을 넘어서 존재 중심의 존재시성의 분석론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후기의 분석론은 해석학의 구도와 목적이 포기되지 않고 전개된다는 점에서 전기의 해석학과 연계되어 있으며, 해석학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이 ‘존재사건’임을 드러낸다.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순수생성에 의해 주어지는 비물체적인 표면효과로서 제시되는 사건에 대한 분석론이다. 사건은 의미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면서, 언어를 통해 명제 안에 존속한다. 사건의 발생은 객관적 선험이라는 역동적인 구조를 전제한다. 구조는 잠재적인 특이성의 체계로서, 비인칭적이고 전개체적인 장이다. 이러한 구조는 심층의 생성으로부터 언어의 형성이라는 동적 발생과 우발점에 의한 특이점들의 분배라는 정적 발생, ‘이중의 발생’을 통해 주어진다.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존재와 차이의 존재론을 위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생성에 대한 긍정과 역동적인 선험적 구조의 발생 그리고 인간 중심적이지 않은 의미에 대한 이해는 동일한 존재론적 관점을 가진다. 차이점도 존재한다.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거시적이고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미시적이며 의미 발생의 근간이 되는 존재와 차이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도 다르다. 특히 하이데거의 해석학이 현존재를 상수로 두고 있다는 점은 들뢰즈의 구조주의와 가장 큰 차이로 여겨진다. 이에 대해 필자는 해석학의 전제가 구조주의에서 드러나는 합리주의를 넘어서는 근원적인 조건으로서 합당한지를 논할 것이다. 나아가 들뢰즈의 철학 체계 안에 스며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존재자에 대해서도 논할 것이다. 이 논문은 특정한 철학적 방법의 우월성을 판단하는 목적이 아니라 두 철학자의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현대 존재론이 가지는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mpares Heidegger"s hermeneutics with Deleuze"s structuralism. Heidegger"s hermeneutics is an existential analysis that reveal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Dasein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After the ‘kehre’, Heidegger reformulates...

      This paper compares Heidegger"s hermeneutics with Deleuze"s structuralism. Heidegger"s hermeneutics is an existential analysis that reveal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Dasein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After the ‘kehre’, Heidegger reformulates the analysis of temporality over the prophas hermeneutics. This analysis of temporality reveals that the key to enabling the hermeneutics is ‘Ereignis’. Deleuze"s structuralism is the analysis of events presented as non-physical surface effects given by pure becoming. Events exist in propositions through language, having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mean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premise the dynamic structure of objective transcendence. Structure is a system of potential specificity, an impersonal and unindividual field. Heidegger"s hermeneutics and Deleuze"s structuralism have similar roles in that it is a method for their ontology. The similar roles are the same existential view of positive to becoming, the occurrence of dynamic transcendental structure, the understanding of nonanthropocentric meaning. There are differences, too. Heidegger"s hermeneutics is macroscopic and is always associated with Dasein, On the contrary, Deleuze"s structuralism is microscopic and is removed from the discussion by considering humans as derived. I will discuss whether the Dasein of hermeneutics is reasonable as a fundamental condition beyond rationalism presented in structur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Ⅱ.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통한 존재 이해
      • Ⅲ. 들뢰즈의 구조주의를 통한 생성에 대한 이해
      • Ⅳ.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에 대한 비교분석
      • 논문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Ⅱ.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통한 존재 이해
      • Ⅲ. 들뢰즈의 구조주의를 통한 생성에 대한 이해
      • Ⅳ.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에 대한 비교분석
      • Ⅴ.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르틴 하이데거, "현상학의 근본문제들" 문예출판사 1995

      2 리차드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17

      3 오토 푀겔러, "해석학의 철학" 서광사 1993

      4 신승환, "해석학" 이카넷 2016

      5 로버트 베르나스코니, "하이데거의 존재의 역사와 언어의 변형" 자작아카데미 1995

      6 한산동, "하이데거와 들뢰즈의 존재론적 경험" 대한철학회 155 : 193-225, 2020

      7 마르틴 하이데거, "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 한길사 2010

      8 마르틴 하이데거, "철학입문" 까치글방 2006

      9 마르틴 하이데거, "철학에의 기여" 새물결 2015

      10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15

      1 마르틴 하이데거, "현상학의 근본문제들" 문예출판사 1995

      2 리차드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17

      3 오토 푀겔러, "해석학의 철학" 서광사 1993

      4 신승환, "해석학" 이카넷 2016

      5 로버트 베르나스코니, "하이데거의 존재의 역사와 언어의 변형" 자작아카데미 1995

      6 한산동, "하이데거와 들뢰즈의 존재론적 경험" 대한철학회 155 : 193-225, 2020

      7 마르틴 하이데거, "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 한길사 2010

      8 마르틴 하이데거, "철학입문" 까치글방 2006

      9 마르틴 하이데거, "철학에의 기여" 새물결 2015

      10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15

      11 마르틴 하이데거, "종교적 삶의 현상학" 누멘 2011

      12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헤르만, "존재와 시간을 찾아서" 한길사 1997

      13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까치글방 2006

      14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론, 현사실성의 해석학" 서광사 2002

      15 마르틴 하이데거, "이정표 2" 한길사 2005

      16 마르틴 하이데거, "이정표 1" 한길사 2005

      17 질 들뢰즈, "의미의 논리" 한길사 2015

      18 마르틴 하이데거, "언어로의 도상에서" 나남 2012

      19 질 들뢰즈, "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2016

      20 신상희, "시간과 존재의 빛" 한길사 2000

      21 마르틴 하이데거, "사유의 사태로" 길 2008

      22 질 들뢰즈,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이학사 2015

      23 김상환, "데리다의 글쓰기와 들뢰즈의 사건: 구조주의 수용의 두 양상" 한국기호학회 29 : 9-44, 2011

      24 마르틴 하이데거, "논리학의 형이상학적 시원근거들" 길 2017

      25 지바 마사야, "너무 움직이지 마라" 바다출판사 2017

      26 김휘택, "구조적 사고와 폴 리쾨르(1) -「구조와 해석학 Structure et herméneutique」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학회 74 : 157-190, 2020

      27 마르틴 하이데거, "강연과 논문" 이학사 2015

      28 Heidegger, M, "Zeit und Sein(1962) Zur Sache des Denkens" Vittorio Klostermann 2007

      29 Nagel, T., "What is it like to be a bat?" Duk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Philosophical Review 83 : 1974

      30 Deleuze, G, "The Logic of Sens" The Athlone. press 1990

      31 Heidegger, M, "Sein und Zeit" Max Niemeyer 2006

      32 Heidegger, M, "Protokoll zu einem Seminar über den Vortrag »Zeit und Sein«(1962) Zur Sache des Denkens" Vittorio Klostermann 2007

      33 Richatdson, W. J., "Heidegger. Through Phenomenology to Thought" Martinus Nijhoff 1974

      34 Deleuze, G, "Difference and Repetition" Columbia Univ. Press 1994

      35 Heidegger, M, "Brief über den »Humanismusm« Wegmarken" Vittorio Klostermann 1976

      36 Heidegger, M, "Beiträge zur Philosophie" Vittorio Klostermann 1989

      37 Deleuze, G., "Anti-Edipus" University of Minnesota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