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와 독일에서는 최근 정치적·공공적 담론 및 입법과정에서 이주운동, 이주와 관련된 규정과 조정, 그리고 이주배경을 가진 시민의 사회통합문제가 핵심적인 주제가 되었다. 이러한 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49421
2012
Korean
300
KCI등재
학술저널
71-98(28쪽)
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최근 정치적·공공적 담론 및 입법과정에서 이주운동, 이주와 관련된 규정과 조정, 그리고 이주배경을 가진 시민의 사회통합문제가 핵심적인 주제가 되었다. 이러한 배...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최근 정치적·공공적 담론 및 입법과정에서 이주운동, 이주와 관련된 규정과 조정, 그리고 이주배경을 가진 시민의 사회통합문제가 핵심적인 주제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단서로 삼아 이 글은 프랑스와 독일의 사회통합정책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우선 사회통합정책의 새로운 위상과 더불어 사회통합정책 및 담론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그 다음 보다 더 구체적인 수준에서 사회통합정책 프로그램을 비교하고, 특별히 지방자치단체 수준의 사회통합정책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할 때, 본고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명제로 정식화하여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프랑스와 독일에서 사회통합 및 기회균등에 관한 최근의 담론에서 핵심적인 주제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독일에서는 언어와 문화가 주요쟁점인 반면, 프랑스에서는 공화주의적 자기이해(공화국과 보편적 가치)가 핵심주제이다. 이것은 담론이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둘째, 적어도 기본사상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회통합정책의 분야에서 독일과 프랑스 사이에 상당히 큰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의 동향을 살펴볼 때, 사회통합정책과 관련된 입법과 사회적 담론 및 실천에서 공통점도 역시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양국 사이의 수렴현상과 관련하여, 프랑스의'사회통합계약'과 독일의'사회통합강좌'를 살펴보았다. 이 두 가지 프로그램은 구상에 있어서 유사한 점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사회통합조치의 목표는 새로 이주해 들어온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자질과 능력을 키워주는 조치를 통해 특히 이주자의 경제적 사회통합을 개선하려는 데 놓여 있다. 또한 상기 수렴현상과 관련하여, 사회통합이 부족하다는 진단에서 출발하여 최근 지방자치단체 수준이 정책의 주변에서 핵심으로 부상했다는 점을 특기할 만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Bongrand, P, "Zones d’éducation prioritaires. Integration im Spiegel der neuen ZEP-Politik"
2 Michalowski, I, "Vom nationalen Integrationsmodell zum europaweiten Pragmatismus?" (3) : 26-45, 2006
3 Demorgon, J., "Multikultur, Transkultur, Leitkultur, Interkultur, In Interkulturell denken und handeln. Theoretische Grundlagen und gesellschaftliche Praxis" Campus 27-36, 2006
4 Schrader, M, "Merkel erklaert‘Multikulti’fuer gescheitert"
5 Bommes, M, "Kommunen: Moderatoren der sozialen Integration?" (46) : 36-41, 2010
6 Neumann, W, "Kommunen und Integrationspolitik im franzoesisch-deutschen Vergleich"
7 Thraenhardt, D, "Integrationsrealitaet und Integrationsdiskurs" (46) : 16-21, 2010
8 Mueller-Haerlin, M, "Integrationsdebatten in Frankreich und Deutschland. Unterschiedliche Konzepte fuer dieselben Probleme?"
9 Woerner, F, "Hintergrund:‘Multikulti’wird unterschiedlich interpretiert"
10 Scherr, A, "Fremdheitskonstruktion und politische Bildung" (4) : 14-21, 2005
1 Bongrand, P, "Zones d’éducation prioritaires. Integration im Spiegel der neuen ZEP-Politik"
2 Michalowski, I, "Vom nationalen Integrationsmodell zum europaweiten Pragmatismus?" (3) : 26-45, 2006
3 Demorgon, J., "Multikultur, Transkultur, Leitkultur, Interkultur, In Interkulturell denken und handeln. Theoretische Grundlagen und gesellschaftliche Praxis" Campus 27-36, 2006
4 Schrader, M, "Merkel erklaert‘Multikulti’fuer gescheitert"
5 Bommes, M, "Kommunen: Moderatoren der sozialen Integration?" (46) : 36-41, 2010
6 Neumann, W, "Kommunen und Integrationspolitik im franzoesisch-deutschen Vergleich"
7 Thraenhardt, D, "Integrationsrealitaet und Integrationsdiskurs" (46) : 16-21, 2010
8 Mueller-Haerlin, M, "Integrationsdebatten in Frankreich und Deutschland. Unterschiedliche Konzepte fuer dieselben Probleme?"
9 Woerner, F, "Hintergrund:‘Multikulti’wird unterschiedlich interpretiert"
10 Scherr, A, "Fremdheitskonstruktion und politische Bildung" (4) : 14-21, 2005
11 Eckardt, "Frankreichs Schwierigkeiten mit den Banlieue" (38) : 32-39, 2007
12 Eder, K, "Ethnien, Nationen, Zivilisationen, Interkulturalitaet, In Interkulturell denken und handeln. Theoretische Grundlagen und gesellschaftliche Praxis" Campus 37-46, 2006
13 Wilhelm, O, "Empirische Grundlagen zum Einbuergerungstest, In Buergerrolle heute. Migrationshintergrund und poliitsches Lernen" Barbara Budrich 49-64, 2010
14 Riedel, S, "Einwanderung: das Ende der Politik der Chancengleichheit" (38) : 40-46, 2007
15 Feil, R, "Der Beitrag der Integrationskurse zur politischen Partizipation von Zuwanderten, In Unsere Wirklichkeit ist anders. Migration und Alltag" Bundeszentrale fuer politische Bildung 270-280, 2009
16 Goddar, J, "Auf Zeit. Fuer immer. Zuwanderer aus der Tuerkei erinnern sich" Bundeszentrale fuer politische Bildung 2011
독일 통일헌법 제정상의 교훈을 통한 한반도 통일헌법 구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7 | 0.855 | 0.29 |